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심옥주 한국보훈학회 2014 한국보훈논총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rection to enhance education for patriotism and love for country in elementary schools. Thus, the educational status and systematic basis for elementary education to strengthen patriotism was identified to search for directions to take. First, in the background research of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the trends of patriotism education systems and the features of curricular fields of patriotism education was identified to state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In the education course that goes from elementary, middle to high school,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becomes the systematic basis of education for love of country. When examining the love for country education in cases 1 and 2, it was found that when using both textbook and interactive learning, education to enhance love for country could be enhanced. The love of country education in the two cases displayed that interactive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textbook learning and strengthening patriotism, and it was confirmed that when school-community-family relationships were achieved, the effects could be strengthened further. Based on this, several opinions were suggested for the direc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o strengthen patriotism. First is that the importance of specialization of patriotism education course - education that contributes in reproducing culture, examples of importance of curriculum and communication education - must be acknowledged in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Second is that the list of patriots in textbooks must be strengthen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that can link the nation-community-school-family and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can identify with by publishing additional books or commentary books that lists patriots and by reflecting lesser publicized patriots. Therefore, when elementary patriotism education links educational institutes, national institutes and subjects of education, national patriotism can be strengthened.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보훈의식 강화와 나라사랑 교육함양을 위한 정책과제 도출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보훈교육에 대한 실증적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보훈의식 강화를 위한 초등 보훈교육의 현황과 제도적 기반을 파악하고 그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훈교육의 제도적 흐름과 교과영역 특성을 진단하여 초등 보훈교육이 갖는 의미를 파악코자 하였다. 호국 보훈활동의 사례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훈교육 교과 운영과 경험학습의 병행이 나라사랑 정신을 함양시키는데 교육효과를 가져온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초등 보훈교육 강화가 향후 중학교와 고등학교 나라사랑 교육의 체계적 기반이 된다는 점을 확인한 셈이다. 둘째, 나라사랑 교육은 경험학습이 교과학습과 보훈의식 강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학교-지역-가정의 연계구도가 이루어졌을 때 더욱 효과가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보훈의식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보훈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도산 안창호의 정치활동의 성격과 의미 -공립협회와 신민회 활동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심옥주 한국민족사상학회 2012 민족사상 Vol.6 No.1
Dosan Ahn Chang Ho has many modifiers such as independence activist, nationalist leader and patriotic enlightenment activist. That is because the significance of political activity spread by Dosan for his lifetime is as much significant. The researcher became focused on the activity period when the independence activity became more extend and domestic or foreign independence activities became related to become great foundation in spreading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mong the political activities of Dosan. Among his activities, the Kong Rip Association activity and New People’s Society became mental driving force to organize and systematize the domestic and foreign independence activity while being able to spread the steady independence activity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domestic and foreign activities became an interlink to become the central point of foreign independence activity starting with the Kong Rip Association activity and New People’s Society activities of Dosan. Such activity of his reflects the reformation intention of the nation itself trying to gather domestic and foreign people to practice freedom and justice of the nation independently. Therefore, the significance was considered first as the realistic people’s self awareness, second as the practice of continuous will of independence, third as the opportunity of subjective reformation awareness and fourth as the presentation of nationwide pacificism. The reflection of total unity and will of domestic and foreign independence movement reflected in his activity is giving great significance in performing the task to solve the national unity problem we are faced with today. 도산 안창호는 독립운동가, 민족지도자, 애국계몽운동가 등 많은 수식어를 가지고 있다. 그만큼 도산이 일생동안 전개한 정치활동이 주는 의미가 크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도산의 정치활동 중에서 독립활동이 보다 확장되고 국내외 독립활동이 연계되어 민족독립운동을 전개하는 데 큰 기반이 되었던 활동시기에 주목하게 되었다. 도산의 활동 중에서 공립협회와 신민회 활동은 국내외의 독립활동을 조직화되고 체계화하며 민족독립을 위해 지속적인 독립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던 정신적 원동력이 되었다. 그리고 도산의 공립협회와 신민회 활동을 기점으로 국내외 활동이 연결고리가 되어 해외독립활동의 중심점이 되었다. 이런 도산의 활동은 국내외 민족을 규합하고 주체적으로 민족의 자유와 정의를 실천하려는 민족 스스로의 개혁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그 의미를 첫째, 현실적 국민자각운동 둘째, 연속적 독립의지의 실천 셋째, 주체적 개혁인식의 계기 넷째, 범국가적 평화론 제시로 보았다. 도산의 활동에 반영된 국내외 독립운동의 총체적 단결과 의지의 반영은 오늘날 당면한 민족통일문제를 풀어야 할 과제수행에 큰 의미를 주고 있다.
심옥주 한국민족사상학회 2010 민족사상 Vol.4 No.1
독립운동가 윤희순(1860-1935)은 일본의 침략에 대해 반제․반침략을 주장하며 의병운동에서 독립운동에 이르기까지 40여 년 동안 조국독립을 위해 몸소 실천한 인물이다. 국가의 위기상황에서 윤희순은 확고한 국가관과 민족관을 바탕으로 자신의 사상체계를 형성해 나가고 구국운동을 실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의 변화 속에서 확고한 국가관과 민족관을 토대로 변함없는 독립운동을 전개한 윤희순에 대해 정치사상적 차원에서 연구를 시도하였다. 윤희순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의 접근은 상황적 특수성, 연속성, 일관성의 세 가지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에서 윤희순의 정치사상의 성격을 윤희순의 정치사상의 형성배경을 바탕으로 민족주체의지론, 반외세저항론, 애국인재양성론, 여성구국의지론 등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윤희순의 확고한 사상은 평생 구국운동을 실천하고 조국독립을 염원했던 정신적 기반이었다는 점을 상기하며 오늘날 올바른 국가관과 민족관 정립의 중요성을 제기한다. The freedom fighter Yoon Hee-soon (1860-1935) claimed anti-imperialism and anti-invasion of the Japanese invasion and spent 40 years of her life for the independence of the nation as part of the Righteous Army an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crisis of the nation, Yoon Hee-soon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o save the nation by formulating her own conscious system based on her firm outlook of the nation and race. This studies attempts to research the unchanging independence movement of Yoon Hee-soon based on the firm outlook of the nation and race in times of historical change from a political-ideological perspective. Studies on Yoon Hee-soon's political ideology were approached from three perspectives: conditional features, continuity and consistence. In this study, the character of Yoon Hee-soon's political ideologies were, based on the background for forming the her political ideologies, examined by grouping into four section: national identity determinism, anti-foreign power theory, patriot fostering theory, and female nation saving theory. In the studies of Yoon Hee-soon's political ideologies, it is evident that her firm belief was the psychological basis for practicing life-long nation-saving activities and pursuing independence of the nation.
심옥주 한국보훈학회 2015 한국보훈논총 Vol.14 No.2
Korean female independence patriots cut a conspicuous figurein Korean independencemovementincluding the3.1IndependenceMovementin theflow of modernization,Japaneseinvasion,Japaneseoccupationandindependencemovement. However,ithas been limited to identify the contextand specificity ofKorean female independence movement due to the lack of relevant studies and indifferenc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local activities ofKorean female independence patriots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historicalcontextand activitieson thebasisoftheresults.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localactivities ofKorean female independence patriots,we classified them by their birthplaces and then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ties.Weanalyzed thecharacteristicsoflocalactivitiesthrough situationsof establishmentofmodern education institutionsand historicalflow.Toidentify the correlation with dynamics of local activities from the central and local perspectives,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female independence patriots, privategirls’schools,publicgirls’schoolsandfemaleorganizations.Asaresult,it wasfound thatthedistribution offemaleeducation institutionsgothigherasthe ratiooffemaleindependencepatriotsin thebirthplacegothigher.In addition,the establishmentsizeandlocaldistributionsofprivategirls’schoolswerehigherthan those ofpublic girls’schools.On the basis ofthe results ofthis study,it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studies on various local female independence activitiessuch aslocalfemale independence movement,association between local andcentralactivities,andlocalfemalefigures. 일제강점기 근대화,일제침략,독립운동의 흐름 속에 여성 독립운동가는 3.1운동을비롯하여 국내외 독립운동에서 두각을 나타냈다.하지만 관련 연구부족과 무관심으로지금까지 여성독립운동의 맥락과 특이성을 규명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본 연구에서는 여성 독립운동가의 지역활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역사적 맥락과 활동의 연계성을 규명하고자 했다.먼저,여성 독립운동가의 지역활동 특이성을파악하기 위하여 출생지별로 대상자를 분류하여 활동 특성을 살펴보았다.다음으로근대 교육기관의 지역설립 현황과 시대별 흐름을 통해서 지역활동의 특성을 분석했다.중앙과 지역의 분리된 시각에서 지역활동의 역동성과 연계성을 규명하기 위하여여성 독립운동가,사립 여학교,공립 여학교,여성단체 현황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여성 독립운동가의 지역분포와 교육기관의 설립은 출생지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여성 교육기관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또한 사립 여학교가 공립 여학교에비해 설립규모와 지역분포에서 높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지역 여성 독립운동 연구,지역과 중앙간의 활동 연계성 및 지역 여성인물 등 다양한관점에서의 지역별 여성 독립활동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심옥주 한국민족사상학회 2009 민족사상 Vol.3 No.2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ism, and to investigate the modern meaning provided by Korean nationalism. Korean nationalism is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is the nation's psychological foundation and psychological basis to lead the future. I have approached the conceptual frame of the study from three approaches: 1) uniqueness of the Korean people, history of our nation, and the unique nationalism of the Korean nation. From such perspective, the character of Korean nationalism was categorized into four main groups. The first reflected the ethical spirit of humanitarianism, the second displayed a Korean democratic character reflecting the unique features of the Korean race, the third showed that for foreign ideas, the spirit of harmony based on recreation was developed into a national idea, and fourthly, it displays a Daedong (great virtue) ideal based on the people. This kind of Korean nationalism was the psychological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history, and plays a pivotal role for resolving the issues of the past, of which our nation confronts. In addition, it is the psychological center point of the incompleteness of Korean nationalism and for the current issue of national unification, in which modern significance is given. 본 연구는 한국민족사상에 대한 개념과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민족사상이 주는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민족사상은 우리 민족의 정신적 토대이자 미래를 이끌어주는 정신적 기반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연구자는 연구의 개념적 틀을 한민족이라는 특수성과 우리 민족이 지닌 역사성, 한국 민족의 특수한 민족성의 세 가지 틀에 근거하여 접근하고 있다. 이런 시각 하에 한국민족사상의 성격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는데, 첫째, 홍익인간의 윤리정신을 반영하고 있고 둘째, 한국민족만의 특성을 반영한 한(韓)의 민본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셋째, 외래사상에 대해 재창조의 조화정신으로 민족적 사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으며 넷째, 민중에 기반한 대동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한국민족사상은 민족사 발전의 정신적 원동력이자 현재 우리 민족이 당면하고 있는 과거청산문제해결의 중심적 역할로서, 그리고 한국민족주의의 미완성이자 당면과제인 민족통일지향의 정신적 구심점으로 그 현대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심옥주 한국보훈학회 2013 한국보훈논총 Vol.12 No.2
This study is to multilaterally analyze benefits given to Korean women involved wit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to suggest remedial measures against the patriot act policy. In this regard, there is the need to analyze the actual circumstances of 226 Korean women who have been recognized as of 2013 as independence patriots. The preliminary step is to exactly define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next step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riot act policy and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The actual circumstances of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erit ratings, birthplaces, movements and recognition days, on the basis of materials provided from Korea’s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he classifications were additionally analyzed in order that in-depth results might be produced, wherein respective features were observ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omen’s independent movement was in the same vein wit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reality, however, is that many women have not been recognized as independent activists due to insufficient evidences, the government’s lacing the will to collect evidences, public indifference. Nevertheless, studies on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have been made based on Korean women’s patriotism, and connote national respect for patriots that may lead to national unity. 본 연구는 한국 여성독립 운동가의 보훈예우 현황을 여러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훈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연구의 분석은 2013년 현재 국가로부터 인정받은 226명의 여성 독립 유공자의 실태를 파악하며 이 부문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 일환으로 한국 여성독립 유공자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적인 주요 과제라고 보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과제수행에 앞서 개념 정의가 되어 있지 않은 한국 여성 독립운동의 개념을 먼저 제시했고, 흐름 및 연구경향을 토대로 국가보훈과 여성 독립운동가의 상관성을 파악했다. 전반적인 여성 독립 운동가의 보훈 예우현황에 대한 분석은 국가보훈처로부터 제공받은 기초자료를 토대로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유형별 내용에 대해 추가분석을 함으로써 심층적 결과도출에 노력하였다. 즉, 보훈대상자를 훈격별, 출생지별, 운동계열별, 대상 인정시기별로 구분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각 부문별 특이사항이 파악되었고, 여성 독립운동의 동향이 한국 독립운동과 그 흐름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성 독립유공자에 대한 인정 문제는 활동 입증자료의 부족, 정부의 발굴의지 부족, 정부와 국민의 무관심, 비인기 연구 분야라는 점에서 현실적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여성 독립운동은 여성의 구국정신과 민족 독립의지가 자발적으로 발휘된 것으로서 국가보훈 정신이 함축된 국민통합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