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rection selection of termites at a skewed T-shaped tunnel junction

        심승우,이상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20 No.1

        Subterranean termites live their tunnel networks constructed below ground. Thus, they often encounter tunnel junctions during traveling in the networks. Directional selection by termites at the junctions is likely to affect foraging efficiency because the selection determines the total traveling distance of the termites in the networks. To understand how termites select their direction at the junctions, we artificially constructed skewed T-junctions (with skew angle, θ = 0°, 10°, 20°, …, and 80°) in small arenas and observed termite behavior at the junctions. When an advancing termite touched the tunnelwall of a junction using left (right) antenna, the termite strongly tended to turn their body to the right (left) side.We measured the ratio of termite's directional selection for right side tunnel (γR). The ratio of the left selection was given as γL=1−γR. The value of γR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as θ increased in the range of 0° ≤ θ ≤ 70° and dramatically decreased at θ=80°. This experimental result was expla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nna touching order and the geometry of junction area. Based on the selection behavior, we built a mathematical model and verified it through the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data. In addition, we briefly discussed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and the selection mechanism in relation to the foraging efficiency.

      • KCI등재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사회통합의 과제

        심승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통일과 평화 Vol.14 No.2

        이 글은 서구와 한국의 다문화주의 정책 및 담론에 내재한 근본적인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특히 인종주의와 종족적 민족성을 극복할 수 있는 사회통합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비판적 다문화주의는 지배적인 다문화주의가 근본적으로 뿌리 깊은 인종주의적 이분법을 극복하지 못했으며 지나치게 관용 담론에 의존하면서 현실 속의 지배와불평등을 결과적으로 외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극복할 동력과 전략을 효과적으로 구성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본 논문은 백인 중심의 인종적 위계가 한국적인 맥락에서 이주민, 소수자 집단에게 동형적으로 투영되고 있다는 측면을 강조하면서 한국적인인종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배타적인 민족성을 재구성하는 것이 진정한 다문화 사회통합을 위한 근본적인 과제임을 강조했다. 특히 본 논문은 한국 사회가 향후 다문화주의국가로 나아가고자 한다면, 다문화 사회통합이라는 공동선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시민의권리와 의무, 시민성을 함양하는 완전주의적 국가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inherent in multiculturalism policies and discourses in the West and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seeks the direction of social integration that can overcome racism and ethnic race. The critical multiculturalism based on this paper criticizes that the dominant multiculturalism has not overcome the fundamentally deep-rooted racist dichotomy and orientalism. It is also criticized for relying too much on tolerance discourse and consequently turning a blind eye to dominance and inequality in reality. Moreover, mainstream multiculturalism criticizes that it does not effectively construct the power and strategy to overcome such practical limitations. This paper emphasizes that the white-centered racial hierarchies are projected on migrant and minority groups in a Korean context, and stresses that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Korean racism and reconstructing exclusive ethnicity is a prerequisite for true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emphasizes that if Korean society seeks to move toward a multicultural country in the future, it needs a perfectionist view of citizens' rights, obligations, and citizenship to promote the common good of multicultural social integration.

      • KCI등재

        이주민의 증가와 국적 제도의 개선 방향

        심승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3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5 No.1

        As ‘Multiculturalism’ emerges as a new wage in this global village age, Korea is also gradually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increase of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marriage. Korean government is trying to make new policy for foreign nationals in Korea as the number of immigrants into Korea is increasing nowadays. Determining the boundaries of member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hat political communities faced in the global multicultural modern period. I deal with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Nationality System. Firrst of all, this thesis deals with dual nationality systems and I contend that the increasing occurrence of dual nationality which a necessary means of adjusting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global system. Second, for multicultural society, it is pre-requisite to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about jus sanguinis and jus soli. Third, this thesis contends improvement plan of the naturalization procedure. Ultimately, I will contend that the muiticultural citizenship would be realized by transforming and overcoming the citizenship developed in the nation-state. 국민국가의 경계는 아무런 조건 없이 누구나 횡단할 수는 없다는 것이 주권 국가 체제의 고유한 특징이다. 그러나 급증하고 심화되는 이주의 시대에 국적의 문제는 보다 개방적으로 변하고 있다. 때문에 한국 사회의 경우에도 국적의 부여와 관련하여 국민의 지위와 자격에 대한 전향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엄격한 혈통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개선, 이중국적에 대한 전향적인 사고, 귀화 절차의 간소화, 영주권 전치주의에 대한 제고 등이 시급한 개선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세계적 추세에 맞게 국적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다문화 시대의 도전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며 이는 이민정책과 사회통합 정책을 체계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는 장기적·거시적 이민정책 로드맵 구축을 필요로 한다.

      • KCI등재후보

        신용장 및 독립적 은행보증 관련 지급금지가처분 ― 우리나라 법원의 하급심 결정례를 중심으로 -

        심승우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15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11 No.-

        신용장 및 독립적 은행보증에는 그 원인관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독 립·추상성 원칙이 적용된다. 물론 구체적 타당성 차원에서 독립·추상성 원 칙의 예외를 인정할 필요가 있는 사안도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지만, 신용장 및 독립적 은행보증의 기능이나 효용 등에 비추어 독립·추상성 원칙의 예외 를 인정함에 있어서는 매우 신중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신용장 및 독립적 은행보증 관련 지급금지가처분 사건에서 우리나 라 법원의 하급심 결정례를 살펴보니, 독립·추상성 원칙의 예외를 인정하여 그 대금의 지급금지를 명하는 가처분을 발령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사실 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로는 심리의 초점이 주로 청구의 부당성에 맞추어져 있는 점, 개설은행이 적극적으로 다투지 않고 수익자 등은 절차에 관여하기 어려운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고, 그 외에도 준거법 문제가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심리의 초점을 청구의 부당성뿐 아니라 선의의 제3자 보호 관점에도 맞추고, 실질적 이해당사자인 수익자 등의 입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며, 판단 단계마다 적용되는 준거법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식의 심리 및 결정을 통해 우리나라 법원이 독립·추상성 원칙의 예외를 인정함에 있어서 더욱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 장기적으로 국제거래에 있어서 우리나라 법원이나 금융기관의 위상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inciples of independence and abstraction apply to letters of credit and independent bank guarantees, in that these instruments are not affected by the fate of the underlying transactions. Though it cannot be denied that exceptions to the principles of independence and abstraction are necessary on a case-by-case basis for individual fairness, these exceptions should be recognized only with great caution due to the function and benefits of letters of credit and independent bank guarantees. However, an analysis of Korean lower-court decisions regarding injunctions against payment on letters of credit and independent bank guarantees revealed that a considerable percentage of these decisions issued injunctions against payment based on exceptions to the principles of independence and abstraction. This was because the focus of the hearings was generally on the wrongfulness of the claims, the issuing banks were not aggressive in contesting the claims, and the beneficiaries found it difficult to intervene in the proceedings. The problem of governing law also seems to have played a role. Therefore court hearings in these cases should make findings not only on the wrongfulness of the claims but also on the protection of innocent third parties. Additionally, interested parties such as beneficiaries should be represented,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governing law that applies to each stage of the decision. Korean courts must show increased caution in recognizing exceptions to the principles of independence and abstraction by making the abovementioned changes to hearings and decisions. In the long run, such changes will also contribute to raising the profile of Korean courts and financial institutions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 KCI등재

        소수자의 주체성과 다문화 정치의 모색

        심승우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硏究 Vol.- No.94

        This paper analyzes the intercompositional mechanisms of structures and schemes centered on the practice of subjects.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intended to identify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subjects and the dynamics of multicultural politics. A true multicultural subjects can fundamentally change its identity amid growing differences and diversity. This paper emphasizes the capabilities of these subjects, and actively seeks multicultural politics,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dominant politics. In conclusion, the political practice of immigrants as a key play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new politics directly and indirectly linked to changes in our society. Such politics can trigger multicultural self-reliance of large groups and settlement groups. Such politics will also serve as an opportunity to foster the democratic capacity of our society as a whole. Then, it is important to seek new politics that can actively think of changes in the identity of minorities and the majority. 본 논문은 변형의 능력으로서 주체의 실천을 중심에 놓고 구조 및 제도의 상호구성적 메카니즘에 기반하여 다문화적 주체의 형성과 다문화주의 지향적인 정치의 역동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진정한 다문화적 주체는 차이와 다양성의 증가라는 시대적 조건(구조)과의 적극적인 상호 작용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존재이다. 이런 가능성에 주목할 때 기존의 지배적인 정치와 다른 다문화 ‘주의’적 정치도 적극적으로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다문화 사회의 핵심적인 주체로서 이주민들의 정치적 실천은 우리 사회의 변화와 직간접적으로 연동되어 정치의 외연과 내용을 확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다수집단, 정주민 집단의 다문화적 주체성을 촉발시키는 동시에 사회 전체의 민주적 포용 능력을 함양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다수자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주체성을 함양하기 위한 새로운 정치의 모색이 중요해진다.

      • KCI등재

        근대 유럽문명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새로운 정치의 모색 : 존재론적 전회(ontological turn)의 맥락에서

        심승우 한독사회과학회 202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3 No.2

        본 논문은 ‘코로나 펜데믹’으로 상징되는 유럽 근대문명이 야기한 위기의 본질을 철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인류와 자연, 지구의 공존과 공생을 위한 대안적인 정치철학과 새로운 문명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화이트헤드, 라투르 등의 논의를 기반으로 인간중심주의, 이원론, 기계론 등으로 상징되는 근대문명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그리고 근대문명의 한계를 보완하고 인간과 자연을 포함한 비인간 존재들과의 공존과 공생으로서 근대문명 극복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고 객체들이 포함되는 새로운 민주주의를 제안한다. 특히 본 논문은 비인간 존재들을 대변해줄 인간 존재들의 연대와 실천을 강조하면서 이런 흐름과 운동은 현대의 지배적인 문명을 성찰하고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한다. 특히, 지구적 위기를 촉발시키는 가장 중요한 메카니즘으로서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의 논리와 생활방식을 극복하는 새로운 민주주의 와 연대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he crisis caused by modern European civilization, symbolized by the Corona Pendemic,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and explores alternative political philosophy and the possibility of new civilizations for the coexistence and symbiosis of mankind, nature, and Earth. To this end, based on discussions by Whitehead and Latour, we critically reflect on the limitations of modern civilization symbolized by anthropocentrism, dualism, and mechanical theory. It also supplements the limitations of modern civilization, presents theoretical and practical tasks to overcome modern civilization as coexistence and symbiosis with non-human beings, including humans and nature, and proposes a new democracy that includes objects. In particular, this paper emphasizes the solidarity and practice of human beings that will represent non-human beings, and argues that this trend and movement should move toward reflecting on and overcoming modern dominant civilization. In particular, he stressed the decisive importance of new democracy and solidarity to overcome the logic and lifestyle of neoliberal capitalism as the most important mechanism to trigger the global crisis.

      • KCI등재후보

        보전처분의 남용 및 해결방안

        심승우,이혜민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13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9 No.-

        보전처분은 본안판결을 통하여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을 때까지 현상을 동결 시키거나 임시의 법률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잠정처분이다. 지금까지 우리 법원 실무에서의 보전처분은 신속성, 밀행성의 원칙 등에 따라 신속하고 간이 한 절차를 통해 발령됨으로써 채권자의 보호를 위한 역할을 비교적 충실히 하여왔으나, 한편으로 보전처분이 남용되어 채무자에게 과중한 고통을 주고 법원과 소송제도에 불필요한 부담을 주는 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하였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보전소송의 신속성과 밀행성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보전처분의 남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러 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 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일선 법원에서 보전처분 실무를 담당하는 판 사님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보전처분 실무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 을 수렴함으로써 보전처분 실무 현실과 개선방안에 대한 보다 폭넓고 실질적 인 견해를 얻을 수 있었다. 논문 제2장에서는 소명을 엄격히 요구함으로써 심리를 충실히 하는 방안으 로, ① 피보전권리에 대한 소명을 보다 엄격하게 요구하는 방안, ② 피보전권 리에 대한 항변사유의 부존재나 재항변사유의 존재에 관한 소명 책임을 사실 상 채권자에게 부담시키는 방안, ③ 보전의 필요성에 관한 심리를 충실히 하 는 방안, ④ 보전처분 요건의 소명 정도에 있어서 채무자 측 사정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방안의 당부와 이에 대한 견해 대립을 살펴보았다. 논문 제3장에서는 담보제도 개선방안으로, ① ‘현금 공탁’에 의한 담보제공 비율을 높이는 방안, ② 담보제공 액수를 사안마다 달리 정하는 방안, ③ ‘채 권자가 제공한 담보’와 ‘채권자가 부담하는 손해배상책임’을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논문 제4장에서는 손해배상제도를 활용하는 방안을, ① 통상손해의 발생으 로 보는 방안, ② 인과관계를 폭넓게 인정하는 방안, ③ 손해배상액을 결정함 에 있어 법원의 재량을 인정하거나, 위자료를 폭넓게 인정하고 이를 다소 증액 하는 방안 위주로 고찰해 보았다. 논문 제5장에서는 심문제도 개선방안으로, ① 현재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채권자심문제도를 확대하는 방안과 이에 부수한 개선과제를 검토하고, ② 채무자심문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는 것인지에 대하여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논문 제6장에서는 이의・취소절차의 신속한 처리를 통해 채무자를 구제하 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과 기타 이의・취소절차와 관련한 활용방안, 입법론 등을 검토하였다. 논문 제7장에서는 인지제도, 관할, 해방공탁금, 보전처분 진술서, 전산시스 템 등 보전처분과 관련된 부수제도나 인프라의 개선방안 등에 관하여 살펴보 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하여 추후에라도 심도 있는 논의가 계속하여 이루어져, 보전처분 제도개선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게 되기를 희망해 본다. Preservative measures(injunctions, provisional attachments) are legal methods to freeze the status quo or to create temporary relations until creditors become able to exercise their rights through litigation on the merits. Korean courts have acquired a certain reputation for granting preservative measures through fast and simple processes to effectively protect the rights of the creditors. However, the 'abuse of preservative measures'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as it imposes unnecessary hardship on the debtors and overburdens the courts. This thesis is aimed at finding ways to improve the processes and systems concerning preservative measures, without sacrificing the speed and simplicity of the existing system. In preparing this thesis, we were able to obtain many valuable opin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preservative measures by conducting a survey of judges who are in charge of such cases. This thesis includes studies on: ① intensifying court hearings by requiring a heavier burden of proof(Chapter 2), ② improving the security bond system(Chapter 3), ③ acknowledging compensation for damages by improper preservative measures(Chapter 4), ④ broadening the scope of (ex parte) hearing of creditors(Chapter 5), ⑤ speeding up the revocation process(Chapter 6), and ⑥ improving other relevant systems such as revenue stamps, jurisdiction, deposits, affidavits and computer network systems. We believe more studies are required in this field in order to prevent the abuse of preservative measures and to establish an efficient system.

      • KCI등재

        선비정신의 현대화와 정치철학적 함의

        심승우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84 No.-

        This study reinterprets and reconstructs the core of the Seonbi spirit from a political philosophy perspective and examines the possibility of modernization. The spirit of Seonbi can be used as an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ource in overcoming the crisis of modern politics and seeking the role of a new state, not the fossilized value of the past. In this context, this paper suggests that reflective citizens can enhance public good through participation and debate on constitutional values and interpretations, just as kings and Seonbis of the Joseon Dynasty fiercely argued over the interpretation and interpret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Second, the spirit of the Seonbi can be divided into self-discipline to protect its identity as a Seonbi, interpersonal ability to create and maintain moral ties through social relations, and political ability to seek justice and desirable coexistence principles and development of the entire community. This spirit of Seonbi, combined with a sense of the problem of governance, can be expanded to the moral and active role of governance power to create and cultivate the ethics and virtues of reflective citizens while creating a virtuous cycle of individual-social-state.

      • KCI등재

        한-아프리카의 경제교류와 대(對)아프리카평화외교전략의 구상

        심승우,김성수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9 평화학연구 Vol.20 No.4

        아프리카 국가들은 제조업 및 산업발전을 국가발전 계획의 핵심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들마다 분야와 정도,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향후 제조업 발전이 산업의 중추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으며 AFCTA를 계기로 대륙차원의 통합적 발전모델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중견국으로서 한국의 외교전략의 깊이와 외연을 확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대륙 차원에서 공통의 정책적 목표이자 과제가 되고 있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제조업 육성정책에 적극 관여함으로써 아프리카에서 한국의 위상과 영향력을 증대시킨다면, 이는 UN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아프리카 국가들을 기반으로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평화통일 프로세스 및 대북정책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지렛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반도 비핵화를 진전시켜 평화를 정착시키고 남북 경협 등을 통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추진하는 한국의 평화외교는 한-아프리카 외교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기존의 북한-아프리카 교류관계 및 다자간 외교를 적극 활용하는 것을 적극 검토할 수 있다. African countries present manufacturing and industrial development as key tasks of their national development plans. With the AFCTA.(Africa Continental Free Trade Agreement), the company is pursuing an integrated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model at the continental level. The situation calls for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s diplomatic strategy as a middle power. South Korea’s status and influence in Africa will increase if it is actively involved in fostering manufacturing in African countries, which are common policy goals and tasks at the African continent level. Based on this, it will be able to gain strong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South Korea’s peace and unification process, and North Korea policy. South Korea’s peace diplomacy is to push for a peace process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denuclearization, establishing peace and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Seoul can actively consider using existing North Korea-Africa exchanges and multilateral diplomacy while strengthening South Korea-Africa diplomatic cooperation.

      • KCI등재

        코로나19 담론형성체와 문학정치의 모색: 푸코의 담론이론을 중심으로

        심승우 인문예술학회 2023 인문과 예술 Vol.- No.15

        본 논문은 앞으로 반복해서 대면하게 될 코로나19 팬데믹과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보건의료 전문가와 방역 당국, 다양한 엘리트들이 주도하는 예외상황적인 논리가 아니라 민주주의 원리를 중심으로 일반 시민들의 집단 지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정치적 방안을 모색한다. 이 과정에서 푸코의 담론이론과 아감벤, 랑시에르의 급진적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문학정치의 규범적 방향을 주장한다. This paper seeks a political way to solve problems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of ordinary citizens, focusing on democratic principles, rather than exceptional logic led by health care experts, quarantine authorities, and various elites in overcoming the COVID-19 pandemic and climate change crisis, which will be repeatedly confronted in the future. In this process, based on Foucault's discourse theory and Agamben's and Rancière's radical democracy, the normative direction of literary politics is asse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