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애주기별 주택소유와 주거유형: 연령대별 손바뀜 현상에 대한 실증분석

        심승규 ( Seung-gyu Sim ),지인엽 ( Inyeob Ji ) LH 토지주택연구원 2021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2 No.4

        본 연구는 연령에 따른 주택수요의 비단조성에 착안하여 주택 소유 및 거주 형태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스플라인 로짓 모형을 채택하였고 생애주기에 따라 주택소유수요가 비단조적임을 밝혀내었다. 우리나라 가구의 무주택 확률은 생애주기에 따라 가변적이다. 청년층일 때 소형 무주택으로 시작하여 중장년 때 중대형 주택을 소유하게 되고 노년층에는 주택을 처분하고 소형주택을 선호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present article we examine life-cycle housing demand for Korea. Distinguished in this work from prior research is the consideration of non-monocinity in the life-cycle housing demand. To this end, we adopt spline logistic regression models. Our findings suggest that life-cyclicity is most clear in Korean housing demand; namely, 1) small (mid-large) house ownership falls (grows) dramatically as households age into middle aged; 2) middle aged households do not participate in the rental or purchase market actively; 3) elderly population does not dispose of their housing to the same extent as younger generations acquire housing.

      • KCI등재

        소득효과와 자산효과에 의한 주택점유형태 분석

        이준민(Lee, Jun MIn),심승규(Sim, Seung Gyu),홍지훈(Hong, Gi Hoon) 한국부동산연구원 2022 부동산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유주택/무주택 가구를 구분 짓는 특성을 자산 격차와 소득 격차라는 측면에서 조명해 본다. 특히 자산과 소득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단계 로짓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한 결과, 자가 확률에 대한 소득과 (순)자산의 중첩된 효과를 통제한 순수한 자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값을 갖는 반면, 소득과 (순)자산의 중첩된 효과를 통제한 순수한 소득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산 증가로 설명되지 않는 추가적인 소득이 많은 가구일수록 오히려 ‘자가’에 살 확률이 낮다는 의미로, 주택 소유 여부는 소득격차보다는 (순)자산격차와 더 긴밀하게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freehold and leasehold households in terms of wealth and income. In particular, we exploit the two-stage logit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marginal effects of wealth and income separately. Our estimation results reveal that i) the marginal effect of wealth after controlling the wealth effect explained by the income effect significantly improves the freehold probability. However, ii) the marginal effect of income after controlling the income effect explained by the wealth effect significantly lowers the leasehold probability. In other words, the household with additional income that is not explained by its own wealth is less likely to have freehold ownership. The results imply that homeownership relies on wealth disparity rather than income disparity.

      • KCI등재

        성별 교육불평등의 기회비용에 관한 연구

        김소영 ( Soyoung Kim ),박근환 ( Geunhwan Park ),심승규 ( Seung-gyu Sim ),홍지훈 ( Gihoon Hong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8 여성경제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성별 교육 기회의 불평등의 원인을 탐구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관점에서 성별 교육불평등이 갖는 기회비용을 실증적으로 추정하고자 한다. 먼저 Barro and Lee Educational Attainment Data를 근거로 성별 교육격차는 초등학교 수준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지만 점차 감소하여 대학교 수준에서 사라지는 경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교육 투자와 관련한 가구 내 주인-대리인 문제를 성별 교육불균형의 원인으로 식별하였다. 성별 교육수준의 불평등이 야기하는 기회비용을 추정하기 위하여 2010년 기준 144개 국가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별 교육불평등이 전통적 개념의 경제성장지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경제발전과 관련된 대안적 지표라 할 수 있는 영아사망률, 기대수명, 인간개발지수 및 환경성과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 교육 투자가 인적자본 및 임금의 증가로 나타나는 사적 혜택을 넘어 지속가능한 성장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외부경제를 유발하고 있음을 함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causes of the educational gender gap that is prevalent in developing countries and estimate the economic costs of the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al attainment on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a descriptive analysis on the Barro and Lee Educational Attainment Data, we first identify the intra-household principal-agent problem as the main driving force of the gender gap in educational investment. In order to estimate the opportunity costs associated with the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al attainment, we construct cross sectional data on various measures of economic development for 144 countries in 2010.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the gender inequality has no discernable effect on the traditional measure of economic growth. In contrast, we find that a rise in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al investmen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rimental impacts on various alternative measures of economic growth such as infant mortality, life expectancy, Human Development Index and Environment Performance Index. The result offers important policy insights in that investment in women’s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substantial external benefits in terms of achieving sustainable growth and improving the standard of life.

      • KCI등재

        최저임금의 지역별 차등화가 성별 고용형태에 미치는 영향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이소헌 ( So-heon Lee ),정예은 ( Ye-eun Jeong ),심승규 ( Seung-gyu Sim ),홍지훈 ( Gihoon Ho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0 지역개발연구 Vol.52 No.2

        본 연구에서는 현재 최저임금 지역별 차등화를 실시하고 있는 일본 통계국 자료를 활용하여, 최저임금의 지역별 차등화가 지역 노동시장의 정규직/비정규직 고용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먼저 2012년과 2016년 자료를 각각 분리하여 활용한 횡단면 분석에서는 최저임금이 높은 지역일수록 임금 노동자중 비정규직 종사자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2012년에서 2016년 사이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 종단면 분석에서는 지역최저임금이 10엔 상승할 때, 지역내 남성 정규직 노동자수는 16,730명 감소하고,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 수는 7,650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저임금의 지역차등화가 최저임금이 높은 지역 그리고 최저임금 상승폭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고용의 질적 하락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uses data from Statistics of Japan to examine the effects of regional difference in minimum wage on the employment pattern by gender in the local labor market. In a cross-sectional analysis using data separately from 2012 and 2016, we find that a region with a higher minimum wage tends to have a higher proportion of non-regular workers among paid employees. In a longitudinal analysis focused on the changes between 2012 and 2016, it was found that an increase in the regional minimum wage leads to a fall in the number of male regular workers but a rise in the number of female irregular workers in the reg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ional differential of the minimum wage could lead to a decline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especially in areas with a higher minimum wage and areas experiencing a fast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