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영향

        심선옥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nslation patterns, trends and influence of the Third World Poetry in the 1970s. It is a basic work for research that gave an overview of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hird World Poetry from 1910 to the 1960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historical common experience, emotional similarities, cosmopolitanism, and universal culture are important in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This paper surveyed the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on literary magazines, poetry magazines, and books of publications in the 1970s and compiled it into a list.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hird World Poetry in the 1970s are four major trend. First, Latin American and African poetry is the mainstream in translation, but translations to Middle East Asia and Southeast Asia are minimal. Second, the trend of translation has changed from Latin American poetry to African poetry and American black poetry. Third, They are classified by medium and the concept of world literature. One is the case of translation the Third World Literature is in order to introduce recent World Literature trends, and the other is the case of transl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Third World literature. Especially, These translated poetry used the method of resistance to the violent regime, Popular Literature, and realism in Korean literature. Lastly, This paper explained the reason why Pablo Neruda was a problematic text in the 1970s in Korea. His collection of poems was censored because he was a communist. Also,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wide trend of his poems at the level of criticism in Korea. Translation of the Third World Poetry is that Korea has become a member of the Third World and has a common position and sense within the world system. 이 연구는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수용 현황 및 당대 시단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1910~60년대까지 제3세계 번역시를 개관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한국 근현대시문학사에서 제3세계 시 번역의 기준으로 역사적 공통 경험과 정서적 유사성, 그리고 ‘세계성’과 ‘보편적 교양’이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1970년대 문예지, 시 전문지, 출판 시집 등을 대상으로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수용 양상을 조사하고 목록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970년대 제3세계 번역시의 경향, 번역 대상과 매체별로 시기적 변화양상과 의미를 분석하고 제3세계 문학론과 번역시의 관계, 제3세계 번역시가 한국시에 미친 영향 등을 검토하였다. 1970년대 제3세계 시의 번역 양상을 정리하면, 먼저, 번역 대상으로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시가 주류를 이루며 중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대한 번역은 미미한 편이었다. 시기적으로는 1971년 네루다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것을 계기로 라틴아메리카 시문학에 대한 관심이 확장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에는 아프리카 시와 흑인시로 번역의 중심이 옮겨갔다. 매체별로는, 제3세계 문학에 대한 특정한 인식 없이 최근의 세계문학 동향을 다양하게 소개하는 과정에서 스페인, 남미, 인도, 중동남아 시를 번역하는 경우(『시문학』과 『세계의 문학』), 한국문학과 제3세계문학의 관계에 집중하여 번역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후자의 경우, 『문학사상』이 국내의 정치적 억압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저항문학의 관점에서 라틴 아메리카 시와 제3세계문학을 연재한 것, 동인지 『반시』가 ‘민중적 민족문학’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아프리카 시 번역을 연재한 것이 해당된다. 특히, 제3세계 문학과 민족문학을 통합하는 관점으로 ‘민중적 관점’과 ‘리얼리즘’을 주장하였던 백낙청, 구중서, 박태순의 제3세계문학론은, 제3세계 번역시의 중심이 라틴 아메리카문학에서 아프리카 시와 흑인시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끝으로, 제3세계를 대표하는 시인 네루다가 1970년대 한국문학 장에서 ‘문제적 텍스트’가 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가 공산주의자라는 사실로 인해 『네루다시집』에 남아 있는 검열의 흔적은, 1970년대 네루다 시집 출판의 어려움뿐 아니라 이념적인 문학작품의 출판에 대해 엄혹했던 당시의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1970년대 제3세계 시문학의 번역과 소개는, 서구 중심의 세계문학 개념에 대한 반성적 인식과 새로운 세계문학의 기준점을 마련했다는 점, 제3세계 문학과 한국문학이 세계사적 과제의 실현을 위한 연대를 모색했다는 점, 그리고 한국 시의 영역과 비평 언어를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1920~30년대 근대시의 정전화 과정 - 시인선집을 중심으로

        심선옥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0 No.-

        This paper inquires into the canonizing process of Korean modern poems, focusing on the five selections of poets published in 1920s and 1930s. The selections took over the function of canonization when the education on the national legitimacy was impossible and Korean literary history was not set up yet. The ideological basis of all the selections can be said to be ‘cultural nationalism, and each of them contained the concept of ‘modern poems,’ its literary viewpoint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lyricism, diction and form in terms of poetry, and etc.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poets’ work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social situations, the tendency of the publishing capitals(or the editors) and the like. 〈A Selection of Joseon poets〉(1926) was published to realize the cultural education and enlightment for the masses. Not being able to collect all of the contemporary poems, it introduced the principle of selection and exclusion. The 〈Selection〉 choosed and published the works of 28 leading poets, under the standard of ‘contemporariness’ and ‘professionalism’. 〈A Selection of the best Joseon poems〉(1936) adopted ‘the idea of fostering national literature’ as its criterion. Most of the works collected in the 〈Selection〉 were Shijos, folk-song-style poems and lyric verses, and proletarian and modernistic poems were excluded. 〈An Anthology〉 in 〈A Collection of Current Joseon Literature〉(1938) and 〈A Selection of modern lyric poems〉(1939) also took up the same criterion. 〈A Selection of Modem Joseon Poets〉(1939) had its own publishing principle to introduce historical and modern viewpoint in selecting poems, and gathered only one work of each poet. Therefore, it turns out to be a very important anthology which includes various literary tendencies and young poets’ experimental mind shown in the past. Its sleeted poems became the basic list of the poetic canon inherited until now. 시인선집은 당대의 모든 작가와 작품 중에서 가장 ‘훌륭한’ 텍스트를 선택ㆍ수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는 점에서 정전화의 한 방법이다. 식민지 시대, 민족적인 교육과 아카데미즘, 국가 이데올로기가 결여된 상황에서, 문단의 권위를 바탕으로 매체 자본 혹은 출판 자본에 의해 발간된 선집과 전집은 식민지 시대의 유일한 정전으로 존재하였다. 『조선시인선집』(1926)은 대중의 교양 교육과 계몽을 목적으로 발간되었으며, ‘현재성’과 ‘전문성’을 기준으로 당대의 유명 시인 28명의 자선작품을 수록하였다. 『조선명작선집』(1936)은 정전의 목록이 구성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시도한 선집이다. 1920년대 국민문학론에 근거하여 시조와 민요시, 서정시를 중심에 놓고 프롤레타리아 시와 모더니즘 시는 배제하였다. 이 원칙은 『현대조선문학전집시가집』(1938)과 『현대서정시선』(1939)에도 적용되었다. 『현대서정시선』은 한국근대시에서 ‘서정시의 계보학’을 시도하였다. 『현대조선시인선집』(1939)은 현대적 관점과 역사적 관점을 이중적으로 적용하여 시대적인 균형감, 다양한 문학 경향과 새로운 시인들에 대한 개방성을 갖추고 있다. 이 선집의 목록은 오늘날 문학교육 현장과 독자대중들에게 수용되고 있는 근대시의 정전 목록에 가장 근접해 있다. 문학사에서 정전의 완전한 목록은 존재하지 않으며 텍스트에 가치를 부여하는 제도나 집단의 이익과 관심에 의해, 그리고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정전의 기능에 의해 정전의 목록은 역사적으로 변화한다. 1920년대 국민문학론 내지 ‘민족문학’적 관점은 당대의 시인선집에서 시인과 작품의 선택 및 평가의 기준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20~30년대 시인선집은 근대시의 정전화에서 초기적인 단계를 실현한 것이다. 시인선집의 비교ㆍ분석을 바탕으로 정전 목록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민지시대가 지향했던 한국 근대시의 이념형을 가늠해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해방기 기념시집 연구 ― ‘해방’과 ‘3·1’ 표상을 중심으로

        심선옥 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4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ymbols of ‘The Liberation and ‘3ㆍ1 Movement,’and their meanings shown in 3 collections of memorial poetry. The collections are TheLiberation Memorial Poetry, A Torch-Liberation Memorial Poetry and 3ㆍ1 Memorial Poetic Workswhich were published in the age of the Liberation. Their distinctive features and differenceswere examined in terms of three points : the poetic attitudes to reflect the ColonialAge and commemorate the Liberation, the features to reconstruct the national identity inthe Age of Liberation, and the poetic attempts to establish the new popualce subject. The Liberation Memorial Poetry turned out to be a collective sharing of the national trialsand to reconstruct the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realization of transcendental values. ATorch showed the poetic standpoint to regard the 8․15 Liberation as unfinished one inthe viewpoint of proletarian classes. It also represented the Colonial Age through realisticnarrative of the family and repatriation. 3ㆍ1 Memorial Poetic Works paid attention to thepopulace’s inclination for resistence and revolution. The symbolic and ritual meanings ofthe ‘blood,’ and ‘fire’ shown in the 3ㆍ1 Movement were succeeded to the shape of therevolutionary populace subject in the age of the Liberation.

      • KCI등재

        1970년대 문학 장과 시 동인지: 신감각 동인을 중심으로

        심선옥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7 No.-

        This paper examined the position of poetry coterie magazines in 1970’s literary field. It wa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oets and poetry coterie magazines have continuously increased in 1970s. Poetry coterie magazines have confronted the major literature clique. They insisted new literary ideology and independent style.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Shingamgak. It is organized as a team of poets that recommended and debuted by Park Mok-Wol. The literary origin of Shingamgak was based on the idea of Park Mok-Wol and Shimsang(Image). The literary ideology of Shingamgak was traditional lyrical poems, pure literature theory and imagism. Its poetry can be summarized in three types. There are the early poems which expressed sorrow. The later poems described daily experiences and senses and developed the allegoric poetry. The early poems were moved with the sentimentality. It was understood as a crisis to begin differences of poetry and life. The later poems contained the self-consciousness of poetry and poet. It was a momentum to extend poem’s area into the everyday experience and sense. Allegoric poetry were created by the reflection on traditional lyrical poems and realism literature. Allegoric poetry criticized for contradiction of Korean society; problem of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국문초록> 이 논문은 1970년대 문학 장에서 시 동인지의 현황과 위치를 살펴보았다. 1970년대는 문학 재생산의 측면에서 폭발적인 시대였으며, 시인의 양적 팽창이 두드러졌다. 1970년대 시 동인지는 신인들의 발표 기회를 확대하고 문학 인구의 저변 확대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시 동인지는 새로운 문학 주체로서 기존의 지배적인 창작 경향과 대립하여 새로운 문학 이념을 주장하고, 독자적인 스타일을 창조함으로써 문학 장에서 자신의 존재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를 대표하는 시 동인지로 『반시』, 『자유시』, 『신감각』, 성좌 동인에 주목하였다. 반시 동인의 이념과 시 세계는 문학의 사회적 기능과 현실 반영에 주목한 리얼리즘과, 『창작과비평』의 민족문학론에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유시 동인의 ‘자유’ 개념은,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고 인간 소외를 유발하는 산업사회의 모순과 폐해를 드러내는 문제틀로서 설정된 것이었다. 성좌 동인은 전통 서정시와 리얼리즘 시를 부정하고, 시인의 감각과 상상력을 극단적으로 추구하는 난해시 계열을 창작하였다. 본 연구는 신감각 동인의 시 세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전통 서정시의 미학적 기반이 상실되고 있던 당대의 현실에서 전통적인 서정시의 변화 양상과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신감각 동인은 박목월의 추천을 받고 등단했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박목월과 『심상』은 신감각 동인의 문학적 기원이자 거점으로 작용하였다. 신감각 동인의 문학 이념은 전통적인 서정시를 바탕으로, 삶에의 성실성과 전인격적 시를 강조하는 순수문학론과, 이미지 시로 설명할 수 있다. 신감각 동인의 시 세계는 전통 서정시의 영역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하였는데, 비극적인 미의식과 감상성의 노출, 알레고리를 통한 당대의 현실 비판, 일상의 감각과 새로운 서정의 모색 등을 꼽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1920년대 민요시의 근원과 성격

        심선옥 상허학회 2003 상허학보 Vol.10 No.-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source and central features of the 1920s' folk-song-styled poems. The study of the source was focused on the modernity of the folk-song-styled Shiga which were written in the period of Enlightening Patrioticism and the 1910s. A research was also done on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he movement of folk-song-styled poems and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thoughts of the folk song. The differences in the poetic theories of the major writers such as Joo Yo-Han, Lee Kwang-Soo and Kim Eok were important aims of this study. The modernity and possibility of the folk-song-styled poems were brought out in the changing process of Kim So-Wol's folk-song-styled poems. 이 논문은 1920년대 민요시 운동의 근원과 성격을 연구하였다. 그 근원으로 애국계몽기와 1910년대의 ‘민요조 시가’의 근대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1920년대 지식인들의 민요 의식과 민요시 운동의 영향 관계도 검토하였다. 주요한이광수의 민요시론과 김억의 민요시론에 내재하는 차이점을 밝혔다. 그리고 김소월의 민요시가 변화하는 과정을 연구하여, 민요시의 근대적 성격과 가능성을 밝혀 보았다.

      • KCI등재후보

        애국계몽기와 1910년대 '민요조시가'의 양상과 근대적 의미

        심선옥 민족문학사학회 2002 민족문학사연구 Vol.20 No.-

        이 연구는 애국계몽기와 1910년대에 민요를 변형한 시가를 ‘민요조 시가’로 명명하고, 그 양상과 미의식, 근대적 성격을 고찰하였다. 애국계몽기 시가의 주류를 형성했던 창가의 미의식이 숭고를 지향하는 것과 달리 ‘민요조 시가’는 희극미와 비극미로 대표된다. 이것을 「흥타령」과 통속 민요의 근대적 변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1910년대에 국문 시가의 변모양상을 살펴보고, ‘민요조 시가’를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국내의 ‘민요조 시가’에서 「농부가」의 미의식을 해명하였다. 그리고 일본 유학생과 미국 이주자, 북간도의 유랑민들에 의해 민요가 민족의 노래, 고향의 노래로서 새롭게 ‘발견’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민요조 시가’에 대한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애국계몽기와 1910년대, 1920년대로 이어지는 한국 시문학사의 내적 연속성과 변화양상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entral features, aesthetic consciousness and modernity of the folk-song styled Shiga(民謠調 詩歌). The name, Folk-song-styled Shiga, was given to the poems of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and 1910s which showed the changed from of the Korean folk songs. Most of the Shigas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pursued the beauty of sublimity, bu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Folk-song-styled Shiga was typically embodied in the beauty of comedy and tragedy. That was found out through the study on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Hong Ta Ryung” and popular folk songs. This study also made a survey of the changing feacures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1910s’ Slhiga in the Korean language, and explained the difference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Folk-song-styled Shiga. The domestic Folk-song-styled Shiga show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Farmer’s Song”. And It was also an important part of this study to examine how Korean students in Japan, emigrants to America and nomads in Bukgando found traditional folk songs as songs of racial spirit and songs of nostalgia. The above-mentioned study also helped to shed light on the inner continuity and various transformations in the Korean poetic history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through the 192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