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선 교차점 평균과 최적초점

        심상현,박성종,정창섭 한국광학회 1996 한국광학회지 Vol.7 No.4

        수차를 포함하고 apodized된 광학계의 출사동에서의 파면의 형태로부터 광선의 진행방향을 결정하고 이들의 평균 교차 위치를 결정하였다. 이 위치는 비교적 간단한 계산으로 구할 수 있으며 수차가 약 2.lambda.보다 클 때는 Safa의 회절초점보다 최대 강도점에 근접하였다. We numerically determined the direction of ray and the average ray-crossing position from the shape of the wavefront on the exit pupil of optical system which had aberrations and apodized aperture. This position was calculated easier and closer to the position of the maximum intensity than that calculated by Safa's method when the aberration is greater than about 2λ.

      • KCI등재
      • KCI등재

        啓請의 構成과 飜譯에 關한 硏究 - 『千手經』을 중심으로 -

        심상현 대각사상연구원 2012 大覺思想 Vol.18 No.-

        정부의 한글전용정책으로 금세기의 주역들은 한글세대로 바뀌었고 불교계에도 변화가 불가피했으니 경전이나 의식문의 한글화가 화두로 급부상한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일은 ‘대각사상연구원 설립취지문’에서도 분명히 했듯 백용성 스님께서 불교 대중화를 위해 한 세기 전에 이미 주장하신 바다. 본고에서는 장차 의식문의 한글화에 있어서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할지, 한국불교의식에서 불가결의 위치를 점하고 있는 의식용 『천수경』(이하 ‘의천수’)의 ‘啓請’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의천수의 ‘계청’은 불공 역 『천수경』의 해당내용을 의식에 원용하면서 「歸依禮」 부분을 증광․보충한 것이라는 것이 본고의 입장이다. ‘계청’은 ‘奏請’과 같은 말로서 의천수의 ‘계청’은 <계청문> 등 네 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주청의 典範이기도하다. 따라서 이를 번역함에 있어서는 계청이라는 주제 하에 이를 구성하고 있는 각항의 성격을 파악하는 한편, 다음과 같은 원칙을 세워 한글화 작업에 임해야 한다. ⑴ <啓請文>은 소원을 들어줄 상대의 德을 칭송하는 것이니 讚歎形으로, ⑵ <十願文>과 <六向文>은 성취코자 하는 내용을 아뢰는 것이니 請願形으로, ⑶ <歸依禮>는 끝없는 信心을 나타내는 것이니 歸依形으로 번역해야 한다. 이번 논문에서 ‘계청’을 번역함에 있어서 이상에서와 같이 세 가지 원칙을 세우고 시도했다. 특히 「귀의례」에 관한 내용은 본 논문의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한반도에서 구성된 것으로서, 귀의의 초점을 소례이신 관세음보살께 맞추면서도 전체적으로는 極樂四聖이라는 四聖禮의 기본 형식을 유지하고 있음은 매우 기발하다. 이 부분을 지금까지와는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고 번역하게 된 것이 이번 논문에서의 성과다. 그리고 ‘계청’의 구성 요건인 4개 항을 원만히 갖춤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이 大悲呪인 만큼 그 功能의 정도를 짐작함에도 도움이 되었다. 의식문의 한글화는 시대적 요청이며 교계는 이에 부응해야 한다. 그러나 玄奘 譯 『般若心經』이 한문문화권에서 가감 없이 통용되고 있음을 상기하면서 번역에 임하는 자세를 가다듬어야 할 것이다. The Hanguel generation who are educated under the policy only for using Hanguel have become the majority in these days and there should be so many changes in the buddhist community.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ranslating Sutra and rituals into Hanguel. The monk Bak yong-sung already insisted the same kind of issue for the purpose of popularization of buddhism a hundred years ago and the purpose of that issue is clearly elucidated in the prospectus of 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important things to translate the text of ritual into Hanguel and especially for the ‘Gyecheong’ of 「Cheonsugyong」 which is very important in the buddhist ritual. The contents of ‘Cheonsugyong’ transformed into a ceremonial offering to Buddha is applied to ‘Gyecheong’ in 「Eucheonsu」and 〈Gwiuirye〉is supplemented to ‘Gyecheong’. ‘Gyecheong’ has the same meaning as ‘Jucheong’ and has four parts of composition. so we have to understand the every meaning of its parts accurately and have to establish rules for translation. (1) The text of ‘Gyecheong’ has a meaning of acclaiming the virtue of Buddha who grants my wish, so it is translated in the style of ‘praise’. (2) The text of ‘Shibwon’ and ‘yukhyang’ have a meaning of the content of wish, so it is translated in the style of ‘petition’. (3) ‘Gwiuirye’ has a meaning of endless faith, so it is translated in the style of ‘devotion to Buddha’. I have established those three rules of translation in this paper. Especially ‘Gwiuirye’ is the core part of this paper. It is absolutely certain that ‘Gwiuirye’ was formed in Korean peninsula. It focused on the devotion to Avalokiteshvara and maintained the basic form of ‘Four Saint in the utmost bliss’. These statements from the different viewpoint are big accomplishments in this paper and We can assume the magnitude of the power of dharma from the Thousand Hand Dharani which can be achieved by meeting all the conditions of Gyecheong. Translation of the text of rituals into Hanguel is the needs of the times so the buddhist community should meet the demand but keep in mind that The Maha Prajna Paramita Heart Sutra translated by Hyunjang is popular in chinese cultural area.

      • M&S기반 무기체계 획득에서 시스템 안전을 고려한시험평가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심상현,이재천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4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최근 현대 무기체계는 국방예산 절감과 보다 빠르게 전략화하기 위해 시험평가에 소요 되는 기간을 줄이고자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무기체계 시험평가 프로세스 에서 다루는 시스템 설계에 대한 단계별 안전 활동 강화의 필요성 역시 강조되고 있 다. 본 논문에서는 무기체계 획득 프로세스에서 위험 완화의 구성 요소로 확인 (Verification), 검증(Validation) 및 인정(Accreditation) 활동을 고려한 시험평가 프로세 스의 개선사항 도출과 모델링을 통해 무기체계 시스템인 함정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적용 및 조정 구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험평가 의 위험요소, 위험평가 데이터의 관리 및 추적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향후 M&S기반 획득 시험평가 시 체계 개발 및 운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철도차량 운전실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 DB 구축에 관한 연구

        심상현,이재천,박찬우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1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Vol.13 No.4

        The work environment of locomotive cabs has long been an important issue in the design of railload systems since it is quite critical in terms of system’s operational safety. It is getting more attention as the running speed of the trains goes up these days. To this end, this paper describes how to systematically construct a DB for the requirements set in the course of the improvement process for the aforementioned cab work environment. As a solution approach, we have adopted the requirement architecture concept to cover the whole activities required to do such as in requirements generation, DB construction, change management, and traceability management. Specifically, based on the requirement architecture framework a requirement process to collect requirements for improvement is discussed, and the guide lines are suggested for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the developed requirements. In addition, a base schema and requirements templates are developed, which will be used in generating requirements and constructing a DB. Finally, it is demonstrated how the requirements DB for locomotive cabs can be constructed using a computer-aided tool in an integrated fashion.

      • KCI등재

        將軍竹篦에 關한 硏究

        심상현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70 No.-

        We call a buddhism in Korean peninsula 'the Korean buddhism'. Itmeans that we admi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Wecan consider the buddhist ceremony to be one of the most distinctivecharacteristics. The buddhist ceremony has the character of composite artlike the movie or the play. This research is about ‘Jangkun-Jukbbi’ which exists only in theKorean buddhist culture. Jangkun-Jukbbi consists of long wood boardof 11cm×180cm×12cm, ‘守口攝意身莫犯 如是行者能得道’ is written onthe surface and 唵(oṃ)⋅阿(a)⋅吽(hūṃ) is written in Sanskrit on thelower part. Those are hung on doorposts of the main building and theDaebang. Jangkun-Jukbbi is used in Sikdang-jakbub and Evening buddhistservice at Bongwonsa-Youngsanjae preservation temple. It also played aimportant role in Syrieon-julcha Hadan-Kwanyok and Gandang-jakbub,which is described in Jakbub-gwuigam and BeomeumsanboJib. This research reminds people of Jangkun-Jukbbi which is almostvanished in people's mind and explained wrong in even dictionary. I hopethis research could be a opportunity to reconstruct the ancestor monk'sachievements in a crisis of extinguish. 한반도에 자리 잡은 불교를 ‘한국불교’라 한다. 특수성이 인정되기 때문이다. 이런 특수성을 살펴볼 수 있는 분야를 꼽는다면 단연 儀式이다. 의식에는 연극이나 영화처럼 종합예술적 성격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불교권에만있는 법구 ‘將軍竹篦’에 관한 연구다. 장군죽비는 40~50cm 정도의 일반 죽비와 달리 11㎝×180㎝×2㎝ 정도의기다란 나무판으로 조성되어 있다. 표면에는 세로로 ‘守口攝意身莫犯 如是行者能得道’라 쓰고 그 밑에는 여래의 三密을 표상하는 種子(bīja) 唵⋅阿⋅吽3자를 梵字로 써넣어 대웅전이나 대방의 어간 문설주 두 곳에 한 짝씩 걸어놓는다. 현재 영산재 보존사찰인 봉원사에서 「저녁예불」과 「식당작법」에 활용되고있음을 확인하였고, 지금은 볼 수 없지만 「시련절차」 「하단관욕」 「간당작법」등에도 중요한 역할이 있었음을 『작법귀감』과 『범음산보집』을 통해 살펴볼수 있었다. 이미 그 존재가 거의 잊혀져 아는 이 적고, 심지어 사전에서조차 잘 못 설명되고 있음이 실정인데 이를 지적할 수 있게 되어 다행스럽다. 이번 연구가이미 멸실되었거나 그럴 위기에 있는 선조사 스님들의 성업을 발굴⋅복원하는데 박차를 가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M&S기반 무기체계 획득에서 시스템 안전을 고려한시험평가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심상현,이재천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4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최근 현대 무기체계는 국방예산 절감과 보다 빠르게 전략화하기 위해 시험평가에 소요 되는 기간을 줄이고자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무기체계 시험평가 프로세스 에서 다루는 시스템 설계에 대한 단계별 안전 활동 강화의 필요성 역시 강조되고 있 다. 본 논문에서는 무기체계 획득 프로세스에서 위험 완화의 구성 요소로 확인 (Verification), 검증(Validation) 및 인정(Accreditation) 활동을 고려한 시험평가 프로세 스의 개선사항 도출과 모델링을 통해 무기체계 시스템인 함정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적용 및 조정 구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험평가 의 위험요소, 위험평가 데이터의 관리 및 추적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향후 M&S기반 획득 시험평가 시 체계 개발 및 운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OTF계산값을 이용한 ERF계산

        심상현 한국광학회 1993 한국광학회지 Vol.4 No.2

        Optical Transfer Function(OTE)으로부터 Edge Response Function(ERF)을 계산하는 computer program을 작성하였다. 이 program을 사용하여 무수차 광학계와 몇가지 형태의 수차를 포함하는 광학계의 ERF를 계산하였다. 왜곡수차, 촛점이동, 비점수차, 코마 또는 구면수차 등의 단일수차 및 이들이 조합된 몇가지 형태의 복합수차 등을 포함하는 광학계를 고려하였다. 계산의 결과로부터 sagital case의 경우, 촛점이동이나 구면수차가 코마에 비하여 ERF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tangential case의 경우, 코마가 촛점이동과 구면수차보다 나쁜 영향을 미침을 알았다. 한편 코마는 tangential case의 ERF의 형태와 위치를 변화시키지만 왜곡수차는 상의 위치만을 변화시킨다는 것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코마와 왜곡수차를 포함하는 광할계의 tangential case의 ERF는 이들중 하나의 수차만 포함하는 경우보다 오히려 좋은 형태를 나타내어 두 수차가 상호 보완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았다. A computer program for computing the edge response function(ERF) from the optical transfer function( 0TF) was developed. The ERFs of un-aberrated optical system and aberrated optical system were studied by the use of that program. We calculated the ERFs of the optical systems with a single aberration and with a combined aberration. In sagittal case, the ERE of the optical system with defocus or spherical aberration was worse than that with coma. In tagential case, the ERF of the optical system with coma was worse than that with defocusing or spherical aberraion. Both the shape and the position of ERF were varied with coma, but only the position of ERF was varied with distortion, in tangential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