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사회과 핵심역량 및 핵심과정: 도덕일사, 역사지리, 일사지리 통합적 접근

        심광택(Sim, Kwangtae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4

        이 글은 바람직한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의 배움을 지원하기 위해,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사회과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핵심과정(내용-활동)을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사회과는 비판적·심미적·체계적·전략적 사고역량, 정체성·장소감 인식역량, 비지배 자유 보장역량, 사회적 상호관계성 인정역량, 환경정의·사회적 형평성 실천역량 등 5개의 핵심역량 함양에 집중하는 실제적인 교과로 달라져야 한다. 둘째, 민주시민 사회 형성을 의도하는 도덕 및 사회과는 과목통합적(도덕일사, 역사지리, 일사지리) 접근을 지향하여, 공통과목 사회과(도덕윤리, 일반사회, 역사, 지리) 내용을 정치생태, 경제지리, 문화역사, 사회윤리 영역으로 재편하고 정의로운 전환을 추구해야 한다. 셋째, 학생은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사회과 핵심 개념을 기후정의, 상품화, 장소감, 국토 인식→ 정체성, 상호존중, 행복, 평화와 통일→ 생활안전, 주민 자치, 성실과 배려, 정의와 책임→ 소비자 주권, 에너지 자립, 문화와 전통, 지구촌 시대→ 갈등 해결, 국제 협력, 협력과 경계, 상호의존→ 사회 개혁, 역사의식→ 자연의 권리, 지속가능성, 국가·인간·생태 안보→ 기본 소득, 4차 산업사회, 대중 매체, 인권과 공동체 순으로 배울 수 있다. 넷째, 학생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기본 과정),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심화 과정) 두 주기에 걸쳐 핵심 개념과 관련된 학습 주제를 분석, 예상→ 비교, 관련→ 토론, 변화→ 계획, 행동, 반성 순으로 단계적이고 순환적으로 배우는 과정에서 자기 주도성을 기를 수 있다(그림 4). This theoretical paper delves into key competencies and processes (contents-activities) of social studies to support students’preparation for the transition to a preferable future. The author discusses the following point. First, social studies must transform into a practical subject which is focused on cultivating key competencies in critical thinking, esthetics, systemic analysis, and strategic thinking as cognitive and affective competencies. Combined with a strong identity and sense of place, the new focus will build towards competency in civic pursuits regarding freedom as non-domination, social reciprocity, and practical competency seeking environmental justice and social equity. Second, in order to promote a democratic civil society and a just transition, the moral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must reorganize their contents into political ecology, economic geography, cultural history, and social ethics. The overall outcome would be to unify ‘social studies as a common subject’ through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including civics responsibility, moral judgement,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geography. Third, during processes for transitions to a social studies classroom for justice and equity, students will engage in key concepts such as climate justice, and attachment to place, among several content conceptualizations shown in Figure 4. Fourth, key processes will permit students to transition through systemic principles of learning (analysis and expectation→ comparison and relation→ discussion and change→ planning, action, and reflection).

      • KCI등재

        생태적 다중시민성에 기반한 초등사회과 교실수업 설계

        심광택(Kwangtaek S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1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 다중시민성에 기반하여 국가시민성, 세계시민성,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논의하고, 개발한 수업모형에 초등사회 5-1 학습내용을 적용하여 교재분석 및 수업안을 예시하였다. 첫째, 국가시민성, 세계시민성과 의사소통에 관해 논의한 결과, 네트워크시대의 국가시민성으로서 개인정체성은 지역사회-경제-생태 영역에서 민족과 국경을 넘어 이웃의 안녕과 행복을 담보하려는 세계시민적 정체성으로 발전할 수 있다. 교육내용으로서 공감하는 시민, 비판적 시민, 생태적 시민과 관련된 지식이해, 기능, 가치태도 영역을 선정하고, 교육방법으로서 비지배자유 보장을 위한 토론, 관용과 비판적 사고, 비교와 논쟁을 권장할 수 있다. 둘째,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참여숙의에 관해 논의한 결과, 교육내용으로서 통치체제는 투기성 금융활동을 규제하고, 의료와 교육을 가치재로 인정하며, 가계와 기업은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을 추구하고,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시민 간 연대하여 환경정의와 사회적 형평성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으로서 학습자는 파리협정관련 백캐스팅 전략과 지구촌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환경 간 시스템적 사고에 토대하여 풀뿌리 민주공동체 간 상호연대를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다. 셋째, 생태적 다중시민성에 기반한 국가시민성, 세계시민성,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사회과 교실수업은 학문적 접근이 아니라, 생태적 다중시민성을 지향하는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학습자의 비판적 시민성과 관련하여 비교와 비판→ 토론→ 공감→ 계획과 실천 순으로 설계할 수 있다. An instructional model for nation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as developed. Four lesson plans in the elementary 5thgrade social studies were suggested to show the practice of the instructional model. Three outcomes are reported. First, identity as a citizen of a nation, global citizenship, communications are interrelated. National citizenship and communications in the network society can result in a stronger vision of one’s global citizenship. This is especially the case when the wellbeing and happiness of people in neighboring countries who live across the national boundary are viewed within the domain of community- economy- ecology. Each prepares citizens through knowledge and skills that enable them to empathize, criticize constructively, and live together sustainably. The educational methods recommended to attain global citizenship perspectives are critical thinking, comparative studies, and teaching controversial issues. Those methods tend to result in a commitment to guarantee of non-domination freedom and tolerance of others. Second, discussions regarding sustainable development focused largely on deliberative engagement as a teaching method. Issues discussed were: speculative banking and its regulation; medical treatment and education as value goods; the steps necessary for households and businesses to attain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justice and social equity. The educational methods recommended to live together sustainably are planning and practice for grassroots democratic communities’ solidarity by applying back-casting strategy and systematic thinking. Thirdly, social studies classrooms intent on to enhance nation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a five step task. They, should emphasize comparison and critique→ discussion→ empathy→planning and lastly the engagement of learners in content critical to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 KCI등재

        지속가능성 및 세계시민성을 지향하는 초등사회과 미래학습 실행연구

        심광택(Sim, Kwangtaek),박현석(Park, HyunSeo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4

        이 논문은 수업안에서 핵심역량 함양을 목표로 인지·정의·행동적 기능을 모두 다루도록 사회과 미래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여, 선행 연구(미래학습 논리)의 실제성과 효과성을 밝힌 실행연구이다. 실험수업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 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과 핵심역량과 관련된 사전 및 사후 설문조사, Wilcoxon 부호-서열 검증, 집단 및 개별 면담을 실시했다. 수업실천을 분석한 결과, 학생은 사회과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고, 사회과 핵심역량이 향상되었으며, 역량중심 배움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였다. 미래학습 논리를 적용한 모둠활동 수업에서 비판적 사고력 향상이 사회과에 대한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높이면서도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및 의사결정력을 높일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회과 교실수업의 실제성과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교사는 핵심지식, 디지털 매체, 비판적 사고, 모둠 구성을 학습의 출발점으로 삼아 수업안을 설계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report on action research in an elementary school. We designed three lesson plans on futures learning to deal with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skills for improving learners’ key competencies. They were presented to students as engagement activities in an experimental classroom. The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of futures learning logic (Sim’s prior study) were supported by each of the three experimental lessons. In order to confirm the factors that change learners’ accomplishments in experimental classes, we carried out pre- and post-questionnaires, a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related to key competencies of social studies. We found that students improved their knowledge about and interest in social studies as they improved their key competencies with social studies content. Students also recognized and reflected on the importance of deep knowledge of key competencies. The research confirmed that critical thinking raised learners’ concern about and interest in social studies, and improved student capacity in crea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making decisions. To increase the practicality and availability of a social studies classroom, teachers can design lesson plans that begin by learning with key knowledge, digital media, critical thinking, and formation of students groups.

      • KCI등재

        지역 학습의 논리와 교과핵심 역량

        심광택(Sim, Kwangtae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4

        이 글에서는 기존 지역 학습 논리의 한계를 넘기 위해, 생태적 다중시민성을 추구하는 세 가지 유형의 지역 학습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유형별 지역 학습 논리와 학습자에게 기대되는 교과핵심 역량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구적 위험 사회에 대처하기 위해, 지역 학습의 방향은 지역 · 국가 · 세계 시민성 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 그리고 교과핵심 역량을 강화하는 쪽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학교 지리에 반영된 지역(공간, 장소, 환경) 개념과 지식의 성격을 고려하여, 유형별 지역 학습의 논리를 구상하고, 예상되는 교과핵심 역량관련 하위 역량을 다음과 같이 각각 제시하였다. 학습자는 지역 학습의 장소 이해 과정에서 공감, 의사소통 능력, 공간 분석 과정에서 공간 정향, 방법활용 인식 능력, 그리고 환경가치 판단 과정에서 환경 평가, 개선실천 능력 등의 하위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To overcome the limits of logics of learning in existing regional instruction, the author proposes three types of regional instruction aimed at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in this paper. Furthermore, both topics, the logics of learn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regional instruction, and the expected subject key competencies of the learners, are argued. To cope with global risk society, the orientation of regional instruction should be turned toward strengthening regional, national,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tent based key competencies. To pursue these goals, regional instruction was constructed to encompass three types of learning methods, after considering the concepts (space, place, and environment) of the reg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in school geography. Logics of learning were designed and learners’ lower competencies related to key content competencies were presented as follows: the learners were able to cultivate empathy and, communicate clearly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of place; to cultivate spatial orientation and awareness of using method ability in the process of spatial analysis; and to cultivate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practice of improvement ability in the process of making judgements of environmental value.

      • KCI등재

        생태적 다중시민성과 교과 계통에 근거한 초등사회과 교실수업 설계

        심광택(Sim, Kwangtae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3

        한국의 초등사회과는 도덕이 분리되고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이 각각의 단원별로 구성된다. 초등사회과 교육에서 학습자의 인지능력, 창의성,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실수업이 꾸준히 혁신되고 있다. 초등사회과 교실수업의 혁신은 21세기 시민성 교육의 본령을 깊이 살펴보고, 미래 사회에 조응하는 생태적 다중시민성1) 교육을 지향하며, 교과 계통에 토대한 사회과 핵심역량 함양에 초점을 맞출 때 실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성장에 집착하지 않고 지속가능한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생태적 다중시민성과 교과 계통에 근거한 초등사회과 수업설계 논리를 제안하였다. 지리 교육에서 장소감수성 형성, 역사 교육에서 정체성 인식, 일반사회 교육에서 의사결정력 함양에 주목하여 교과 계통별 수업설계 논리를 살펴보고 사례 수업안을 예시하였다. The Korea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curriculum is comprised of geography, history and civics domains excluding morals, a subject based system. Classroom instruction is designed to improve learners’ cognitive adaptability, creativity, and interpersonal aptitude by us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from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In order to address new 21st century expectations for social studies, the paper presents and discusses key competencies based on the subject based system leading to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In order to pursue sustainable happiness without being obsessed by sustainable development, the author proposes the logic of an instructional design within the subject based system. Students will be queried to reveal their sense of place in geography, identity in history, and decision-making in civics. According to the logic of instructional design, 3 lesson plans resulted from the research that contribute to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or how the student views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through the lenses of geography, history, and civics education.

      • KCI등재

        지속가능성 및 세계시민성을 지향하는 사회(지리)과 미래 학습의 논리

        심광택 ( Kwangtaek S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1

        정치경제사회 체제와 기후 위기는 인과적 관계에 놓여있다. 지구촌의 미래는 인류의 기후 위기 대응 능력과 적극적인 기후 행동에 달려 있다. 이에 착안하여 필자는 사회과 교육에서 칸막이처럼 구분된 정치 · 경제 · 사회문화 영역(과목)과 기후 위기 영역을 상호 관련지어 사회(지리)과 미래 학습의 논리를 구현하였다. 일상생활적(기후 위기, 지구촌 시대, 상호 관계) 관점에서 지속가능 발전 목표의 체계화, 국민이면서 세계시민 되기, 인간너머 비인류와 공존하기를 미래 학습의 내용 요소로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실수업의 학습 목표-평가, 학습 내용, 교재분석-의사소통 차원에서 역량중심 교육에서 지속가능한 미래 만들기, 강력한 학문적 지식, 해체하기와 보이텔스바흐 합의를 각각 살펴보았다. 미래 학습의 내용 요소와 보이텔스바흐의 관계(그림 4) 그리고 미래(분석-예측-실행) 학습의 논리(표 7)를 예시하였다. Current observations suggest there ar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ystems and climate crisis. Future of the global village depends on human responding capacity for climate crisis and positive strike for climate. The author followed this idea in preparing this paper. The logic of futures learning was embodied in social studies (geography), which was then compartmentalized with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subjects and climate crisis domains. These domains were then interconnected in the logic of futures learning. In view of everyday life (climate crisis, age of global village, interrelation), systematization of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becoming a global citizen along with being a national citizen, and living together with non-human more than human were selected for the content elements of the futures learning. Based on those content elements, making of sustainable future, powerful disciplinary knowledge, deconstructing and Beutelsbacher Konsens were examined within the dimensions of learning, such as objective assessments, learning contexts, and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and communication levels in the classroom.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tent elements and Beutelsbacher Konsens in the futures learning (Figure 4) and futures (analysis- prediction- acting) learning logic (Table 7) were exemplified.

      • KCI등재

        한국ㆍ중국ㆍ일본 초등 사회과의 전환점

        심광택(Kwangtaek S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3 사회과교육 Vol.52 No.1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주의와 성찰적 민족주의에 근거하여 ‘시민과 국민 되기’에 관해 논의하고, 추출된 시민과 국민적 자질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한국ㆍ중국ㆍ일본의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교과서의 내용 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론적 논의 결과, 기존의 시민성 함양 교육의 한계를 넘어 ‘시민과 국민 되기’를 사회과 교육목표로서,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재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시민과 국민적 자질은 생태적 다중시민성으로서, 그 구성 요소는 사회적 형평성과 환경정의 실천, 사회적 상호관계 인정, 비지배(타인의 자의적 의지로부터)자유 보장, 정체성 인식과 장소감수성 회복 등으로 재개념화할 수 있다.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재현된 시민과 국민적 자질 분석 결과, 정체성 인식과 장소감 회복은 세 나라 모두 가장 강조하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제6차 교육과정에서 ‘국민’을 ‘시민’으로 수정한 이후, 시민성 함양 교육에 갇혀 정체성 및 장소감 영역을 공론화하지 못하고 있다. 네트워크 시대의 다문화 사회에서 한ㆍ중ㆍ일 사회과 모두가 사회적 형평성과 환경정의 실천, 사회적 상호관계 인정, 비지배자유 보장 영역을 시민과 국민적 자질로서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will review theoretical approaches to ‘becoming a citizen and nation’ based on multiculturalism and reflective nationalism. The second part will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urriculums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to determine the components presented for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According to the logics of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the current focus on citizenship education has a limitation in the network society. The goal to ‘becoming a citizen and nation’ is a reflective process in the 21st century social studies according to curriculum and textbook presentations from the three countries examined. The process of ‘becoming a citizen and nation’ can be reconceptualized through theoretical association within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This reconceptualization consists of social equity and environmental justice, recognition of reciprocity, guarantee of non-domination freedom, national identity and sense of place. Based on my analysis of citizenship and nationality represented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three countries each emphasized cognition of identity and renewed sense of place. In Korea that domain of social studies has not actively pursued by the impact of citizenship education following the 6th curriculum reform in 1992. In their curriculums and textbooks, three countries need to place greater value on practice of social equity and environmental justice, recognition of reciprocity, and the guarantee of non-domination freedom as the components of citizenship and nationality.

      • KCI등재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in School Geography: A Proposed Model

        Kwangtaek Sim(심광택),Joseph P. Stoltman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3

        이 연구는 지리 교육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모델을 구안하고 있다.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교육과정의 내용 차원과 인지적 차원을 평가하는 모델의 일반적 관점을 논의한다. 지속가능발전 교육은 기능과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하는 실행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 후반부에서는 목표 차원을 포함시키는 방법을 살펴본다. 목표 차원에서는 지속가능발전 교육 목적과 일치하는 지식, 기능, 시민성을 활용한 실천적 접근이 요구된다. 연구자들은 한국과 미국의 지리 평가의 실제에 근거하여 이론적 모델을 개발하고, 모델은 두나라 전문가 집단(고교 교사와 대학 교수)에게서 검증되었다. 이 연구는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10년 국제이행계획의 교육과정과 수업 활동을 보완할 것이다. 개발된 모델은 지속가능발전 교육 요소를 기존의 평가 활동에 도입하려는 제안을 구체화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model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within the geography curriculum. The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discusses the normal view of a model to assess the curriculum, namely the content and the cognitive dimensions. The ESD component necessitates an action program with skills and citizenship considered as the Objective Dimensio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examines the means for adding the Objective Dimension which follows a taking action approach through knowledge, skills, and citizenship that are consistent with ESD goals. The research procedure applied the methodology of the Delphi process. The theoretical model was initiall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current practices in geography assessment in South Korea and the U.S . The model was tested using the Delphi technique by high school geography teachers and geography education faculty members in both countries who were recognized experts in their field. The research complements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that have been under way with the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DESD). The model may be used to deliberate proposals for building an ESD component into existing assessment practices.

      • KCI등재

        생태적 다중시민성 기반 사회과의 핵심 개념 및 핵심 과정

        심광택(Kwangtaek S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육의 유용성과 실제성을 담보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역량중심 사회과로서 생태적 다중시민성에 근거한 사회과의 핵심 개념과 핵심 과정을 제안하고 있다. 생태적 다중시민성 기반 사회과는 시민사회 형성을 지향하는데, 시민 사회 및 시민 활동과 관련된 대부분의 주제는 학제적 접근을 요구한다. 따라서 생태적 다중시민성 기반 사회과의 내용은 학제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기존 교과의 계통을 근간으로 정치생태(생활안전, 주민자치, 갈등해결, 국제협력, 환경보전, 탈성장, 상호의존 개념군), 경제지리(장소애, 국토인식, 소비자주권, 인적자원, 인간과 환경, 지구촌 개념군), 문화역사(고금의식, 민족통일, 정체성, 사회개혁, 상호이해, 전통문화개념군) 영역으로 재편될 필요가 있다. 생태적 다중시민성 함양을 강조하는 역량중심 사회과는 시민과 국민으로서 나와 우리, 너와 그들의 안녕과 행복을 교과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생태적 다중시민성 기반 사회과의 핵심 과정은 내(우리)가 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장소감수성 및 정체성 인식), 나(우리)는 진정으로 자유로울 수 있는가(비지배 자유보장), 나(우리)는 다른 사람과 어울려 지낼 수 있는가(사회적 상호관계성 인정), 나와 우리 모두의 행복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환경정의 및 사회적 형평성 실천) 등에 관한 사고와 행동으로 규정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curriculum which can guarantee the usefulness and the practicality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author proposes key concepts and key processes in social studies based on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EMC) as a competencies-based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based on EMC is seeking to develop a civil society. Most of themes relating to civil society and activities are required to be approached with interdisciplinary viewpoints. Therefore, we need to restructure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with three new domains for learners that apply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hree new domains consist of political ecology, economic geography, and cultural history. Political ecology includes 7 key concepts: living safely, residents’ autonomy, conflict resolution, international cooperat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degrowth, and interdependence. Economic geography includes 6 key concepts: topophilia, territorial cognition, consumer sovereignty, human resources, human environment relationships, and, the global village. Cultural history includes 6 key concepts: chronological consciousness, ethnic unification, identity, social reform, mutual understanding, and traditional culture. The objective of competencies- based social studies which activate learners’ EMC promotes learners’ wellbeing and happiness as citizens. Key processes of competencies- based social studies as thinking and acting as follows: first, who can I be or who can we be? (cognition of identity and sense of place); second, can I be free or can we be free? (guarantee of non-domination freedom); third, can I get along with others or can we get along with the others? (recognition of reciprocity); fourth, what will I do for my own and others’ happiness? (practice of environmental justice and social equity)

      • KCI등재

        '인간 사회와 환경' 교실 수업에서의 학제적 접근 : 지역화와 지방 가치' 단원을 중심으로 Centered on the 'Regionalization and Local Self-government'unit

        심광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2 사회과교육 Vol.41 No.2

        필자는 제7차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 신설된 '인간 사회와 환경' 과목에서 사회과 세 영역을 학제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수업 내용의 조직 논리와 실천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 사회와 환경' 과목의 중단원에서 지리·역사·일사 세 교과 영역으로 구분된 학습 내용을 대단원 안에서 학습자의 인식론적(경험적·지각적·상상적) 배경을 고려하여 학제적으로 통합하였다. 즉, 입지 장소·시민 생활과 문화·경제 활동·도시 환경 계획 관점에서 세 교과에 공통적인 개념, 주제, 문제, 이슈, 탐구 기술, 고등 사고력 등을 추출하여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였다. 둘째, 위와 같은 학습 내용 선정과 조직 논리에 따라 '수원'을 사례 지역으로 '지역화와 지방 자치' 단원 수업을 네 가지 관점에서 설계하고 실험 수업을 실천한 결과,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과 교실 수업 태도가 개선되었으며, 11학년 수준에서도 자기 거주 지역이나 자기 거주 지역과 관련된 학습을 선호하였다. 한편, 설문 반응의 양적 분석 결과, '인간 사회와 환경' 과목의 '지역화와 지방 자치' 단원은 학제적 접근으로 협동 학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보 수집·분석력과 개념 탐구력 등 지적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동료 장학 결과, 실험 수업에 참여-관찰한 사회과 교사들 모두가 네 가지 관점에서 교수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방법을 통합 사회과수업의 대안으로 선호하였다. 셋째, 교육 과정은 학제적 접근을 표방하고 있지만, 개발된 교과서는 다학문적 접근방식으로 편찬되었기 때문에, 교사가 학생보다 '인간 사회와 환경' 교실 수업에서 학제적 점근에 대해 더욱 어렵게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다학문적 접근 방식에 의한 현행 교과서를 갖고 학제적 접근 방식에 의한 교수-학습을 실천하려면 교사에 의한 교재의 재구성이 필수적이며, 차기 교과서는 학제적 접근 방식에 의해 편찬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show how interdisciplinary teaching with common concepts and content, arranged by four criteria improves students' skills compared to simple multidisciplinary teaching. There are many discourses on integrating social studies interdisciplinarily in the high school level. It's rare that we find such a thesis. Human Society and Environment is an 11th grade optional subject in the 7th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is subject intends to integrate social studies simple interdisciplinary, but the actual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 didn't free themselves from multidisciplinary concepts. First, to integrate social studies interdisciplinary in the Human Society and Environment unit, I selected contents which related on common concepts, themes, probl;ems, issues, inquiry skills and higher thinking in three subjects- geography, history and civics. Then, considering the learner's epistemological background, I organized the contents on four criteria : location and place, everyday life and culture, economic activity, and environmental planning. Second, a high school lesson from Suwon Regional Text Organizing was carried out in a resident place(Suwon) and a non-resident place(Cheongju). As a result of qualitative intepretati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attitudes were improved by cooperative learning connected with common concepts and 4 critaria. Students also preferred resident place learning to non-resident. And, as a result of quantative analysis, the 'Regionalization and Local Self-government' unit in the subject Human Society and Environment is suitable for interdisciplinary cooperative learning. Such teaching and learning is useful for improving students' analysis skills and inquiry skills. As a result of peer supervision, all of the social studies teachers agreed that using 4 criteria was a viable alternative social studies model. But, considering the students' abilities, aptitudes and interests, I should have designed the lesson plan for each school differently. Third,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teach the subject Human Society and Environment in the classroom, because the textbook is edited multidisciplinarily. If social studies teachers try to approach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learning with a multidisciplinary textbook, they would need to reorganize the contents to study the subject Human Society and Environment. Therefore, the coming textbook should be edited interdisciplinarily based on the research to select and organize the contents in the subject Human Society and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