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차별시정조치’: 대학 입학시의 흑인우대조치를 중심으로

        심계순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09 미국학 Vol.32 No.2

        It was not that long ago when black students could not enter predominantly white universities. The situation has changed greatly since affirmative action required universities to adopt race-conscious admission policies to address racial inequalities. Since 1970s, black student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presence at various universities. Favorable consideration of black applicants, however, aroused a considerable amount of anger among white population who felt that they are faced with reverse discrimination. Many papers and books have been written on this issue, but almost all of them take a side of either pro or c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valuate the issue objectively from the viewpoint of disinterested third party. Those who are opposed to affirmative action charge that affirmative action violates the principles of equal protection guaranteed by the Fourteenth Amendment of the U.S. Constitution. In settling the Bakke case, the U.S. Supreme Court allowed the university to pursue the race-conscious admission process with a purpose to increase racial diversity on campus. Finding that the assault against the affirmative action failed to bring about its demise, opponents of affirmative action switched to the strategy to abolish it through political and intellectual battles. Supporters of affirmative action have had a hard time justifying its existence, but managed to persuade the public that it is still necessary.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face an uphill battle to defend it as the racial gap in the American society narrows. It was not that long ago when black students could not enter predominantly white universities. The situation has changed greatly since affirmative action required universities to adopt race-conscious admission policies to address racial inequalities. Since 1970s, black students have rapidly increased their presence at various universities. Favorable consideration of black applicants, however, aroused a considerable amount of anger among white population who felt that they are faced with reverse discrimination. Many papers and books have been written on this issue, but almost all of them take a side of either pro or c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valuate the issue objectively from the viewpoint of disinterested third party. Those who are opposed to affirmative action charge that affirmative action violates the principles of equal protection guaranteed by the Fourteenth Amendment of the U.S. Constitution. In settling the Bakke case, the U.S. Supreme Court allowed the university to pursue the race-conscious admission process with a purpose to increase racial diversity on campus. Finding that the assault against the affirmative action failed to bring about its demise, opponents of affirmative action switched to the strategy to abolish it through political and intellectual battles. Supporters of affirmative action have had a hard time justifying its existence, but managed to persuade the public that it is still necessary.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face an uphill battle to defend it as the racial gap in the American society narrows.

      • KCI등재

        『바보 윌슨의 비극』: 법과 관습의 허구와 흑백문제

        심계순 미국소설학회 2005 미국소설 Vol.12 No.2

        Published in 1894, The Tragedy of Pudd’nhead Wilson occupies a central position in the dark period of Mark Twain’s literary career. In this book, Twain criticizes the race slavery and American racial politics. The main topic is the highly artificial category of race. Both the servant Roxy and his son look white, but they are black according to “a fiction of law and custom,” and it is this fiction the novel sets out to expose. The fact that white and black can be changed simply by a single act of switching children testifies that the racial identity in Dawson’s Landing is nothing but a fiction supported by laws and customs. Twain introduces a stranger as a means of exposing and criticizing the evils and injustices of the slavery. Wilson, “pudd’nhead” stranger, tries to restore justice with scientific knowledge of fingerprints, but shows his limitations by joining the injustices of the slave-holding town. He scores a success in the court by restoring the switched identities of Tom and Chambers, but his success is anything but a real success.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racial identity, he in effect justifies racial discrimination and re-establishes the distorted social order based on it.

      • KCI등재

        마크 트웨인의 '도금시대'와 폴 크루그먼의 '신도금시대'

        심계순(Kye soon Shim) 한국아메리카학회 2014 美國學論集 Vol.46 No.1

        Mark Twain, a novelist representing the late 19th century American literature, and Paul Krugman, a modern-day Nobel laureate economist, are wid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many respects. Therefore it appears that one cannot find any kind of similarity between them. But they share one important characteristic in that they are witnesses of the periods in which distributional inequity rose to its highest levels in American history. The late 19th century, which Twain named the 'Gilded Age,' was a period when a new class of industrial captains amassed huge amounts of wealth while a vast majority of farmers and laborers were alienated from the fruits of economic development. Twain was a harsh critic of the rampant materialism and political corruption of his time. However, due to his contradictory attitude, Twain seems to have failed to rais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social Darwinism which largely supported the social and economic order of the Gilded Age With the coming of the New Deal in the 1930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began to narrow and the trend of equalization seemed to take root. Around the end of the 1970s, however, the trend of equalization suddenly came to a halt, and inequality in distribution began to surge at an alarming speed. Soon the degree of inequality went back to the level of the Gilded Age, and Krugman declared that American society had entered the period of the 'New Gilded Age.' Krugman and many critics point out that the long reign of the Republican Party is the main cause of the advent of the New Gilded Age. One may ask whether it will be possible to see the trend of rising inequality reversed in the near future, but such a prospect does not seem likely.

      • KCI등재

        윌슨의 지문 읽기의 문제점: 『바보 윌슨』의 마지막 법정장면을 중심으로

        심계순 ( Kye Soon Shim ) 미국소설학회(구 한국호손학회) 2014 미국소설 Vol.21 No.1

        Mark Twain`s Pudd`nhead Wilson (1894)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novel to use fingerprints for forensic evidence in the courtroom. Even though fingerprints function as meaningful mechanisms in this novel, not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both fingerprints themselves and the connection between race and fingerprint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pecific way how lawyer/scientist Wilson is reading fingerprints in the final courtroom scene. Fingerprints are biological markers which show only individual identities and do not signify any ethnic or racial groups. But when Wilson announces Tom as ‘a negro and a slave’ in the courtroom, race-neutral fingerprints are being appropriated to reinforce socially constructed racial identities. Wilson uses fingerprints to prop up the fiction of law and custom which was prevalent under the Jim Crow regime. We can find the profound influence of dominant racial ideology 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Twain makes use of fingerprints anachronistically to criticize the absurdity of the false social constructs such as racial categories of white and black.

      • KCI등재후보
      • KCI등재

        Fifty Years of Affirmative Action: What Has Happened to the Racial Landscape of American Universities?

        심계순 ( Kye Soon Shim ) 한국아메리카학회 2010 美國學論集 Vol.42 No.1

        여성과 소수인종에게 평등한 고용과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출범한 차별시정조치는 이제 거의 50년에 가까운 역사를 갖게 되었다. 이 정책은 미국사회의 기본구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특히 대학 캠퍼스의 분위기와 대학의 문화도 엄청난 변화를 겪게 되었다. 본 논문은 출범 50년에 접어드는 이 정책이 미국대학의 인종적 상황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그 정책이 추구하고 있는 목표에 얼마나 다가가게 되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다시 말해 차별시정조치가 미국대학 캠퍼스에서의 인종적 관계에 과연 가시적이며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는지 여부에 관심의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차별시정조치에 반대하는 일부 백인들은 대학입학 사정 과정에서 흑인들을 우대하는 정책이 자신들을 역차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강력하게 반발했다. 이에 대해 차별시정조치의 지지자들은 그 정책이 학생공동체의 다양성 증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들은 인종적으로 다양한 교육환경이 흑인뿐 아니라 백인들에게도 인지능력의 성장이나 균형 잡힌 판단력, 그리고 지도자로서의 자질 배양 등의 긍정적 효과를 낸다고 주장한다. 인종적으로 다양한 교육환경이 긍정적 교육효과를 낸다는 사실은 교육전문가들의 많은 연구에 의해 이미 밝혀진 바 있다. 그러나 소수인종 학생들의 수가 증가했다고 자동적으로 긍정적 교육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인종적 다양성이 긍정적 교육효과를 낸다는 것은 한 가지 중요한 전제조건하에서만 성립할 수 있는 명제다. 그것은 캠퍼스에서 다양한 인종의 학생들이 유기적 교류를 통해 진정한 의미에서의 학생공동체를 이루어야만 한다는 조건이다. 즉 인종의 경계를 넘어 허물없이 어울리는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인종적 다양성이 긍정적 교육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차별시정조치가 상당히 진전된 오늘날에도 대학 캠퍼스에 여전히 인종적 장벽이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차별시정조치의 궁극적 목적은 미국사회 전체, 그리고 대학사회에서 인종적 차별을 없애는 데 있다. 그러나 이런 목적의 달성이라는 측면에서도 이 조치는 아직도 많은 숙제를 안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대학 캠퍼스에서 명백하고 폭력적인 인종차별은 사라졌다고 하지만, 아직도 소수인종 학생들은 여러 가지 종류의 눈에 보이지 않는 차별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이 이 정책의 폐지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미국사회의 인종차별은 워낙 깊은 뿌리를 갖고 있어 그것을 없애기 위해서는 엄청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미국 고등교육에서의 학점 인플레이션: 그 원인과 결과

        심계순 ( Kye Soon Shim ) 한국아메리카학회 2012 美國學論集 Vol.44 No.1

        미국 전역의 대학에서 평균 학점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 주목을 끌고 있지만, 혹자는 이것을 ‘학점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르는 데 이의를 제기한다. 그들은 평균 학점의 상승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을 반영하는 것이라면 그런 표현이 적절치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왔다는 증거를 찾기 힘들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국 대학에서의 학점 인플레이션의 존재는 거의 의심할 여지가 없다. 우리의 의문은 1960년대 독특한 사회적 상황에서 촉발된 학점 인플레이션이 그이후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이유가 과연 어디에 있느냐에 있다. 학점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대학 내의역학관계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교육 소비자로서의 학생들의 영향력증대가 우리의 의문을 푸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 특히 학생들의 강의평가제도가 도입되면서 학점 인플레이션 현상이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은 대학 내의 역학관계 변화가 학점 인플레이션 발생의 주요 원인이었다는 심증을 갖게 만든다. 이와 더불어 대학 당국이 교수들의 업적 평가에 학술연구 활동을 강조하기 시작한 것과 학점 인플레이션의 심화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학점 인플레이션이 여러 가지 교육적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거의 이견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 대학의 예를 찾기 힘든 상황은 과연 어디에 그 이유가 있을까? 손쉬운 해결책이 있는 것 같으면서도 해결이 어려운 이유는 학점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원인이 대학의 질적 향상을 위한 조처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한국의 대학들도 학생들의 강의평가와 더불어 교수들의 연구업적에 대한 의무조항을 점차 강화해 가는추세를 보이고 있어, 머지않아 학점 인플레이션이 더 이상 남의 문제로만 남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