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민관협력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신희정 ( Heejung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민관협력의 대표 사례인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운영과 성과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관련 활동에 참여한 사람들의 FGI와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Q 모집단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최종 27개의 Q 표본을 선정하고, 44명의 P 샘플에게 조사한 자료를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가지 인식유형으로 구분되었는데, 제1유형은 “민간의 적극적인 역량강화 지향형”, 제2유형은 “민관협력 체계에 대한 긍정적 인식형”, 제3유형은 “과도기적 민관협력 인식형”, 제4유형은 “전반적인 변혁 추구형”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반영하여 실질적인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participants on 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security council, which is a representative case of public private cooperation. To this end, the Q popul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FGI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community security council and the search for previous studies. And the final 27 Q samples were selected and the data surveyed on 44 P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ivided into 4 types of perception. Type 1 was “an active private capacity building orientation”, Type 2 was “a positive perception on the public private cooperation system”, Type 3 was “a transitional public private cooperation perception”, and Type 4 was “overall transformation seek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basic data was prepared for the activation of substantial community security council by reflecting the awareness of various participants.

      • KCI등재

        시각장애성인의 생애주기별 사회활동 및 문화⋅여가활동 실태

        김두영(DooYoung Kim),신희정(Heejung Shin),권정숙(JeongSuk Kw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3 시각장애연구 Vol.39 No.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성인의 생애주기별 사회활동 및 문화⋅여가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시각장애성인의 생애주기별 사회생활 및 문화⋅여가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를 위해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의 원 데이터에서 25세 이상의 시각장애성인 658명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다시 성인 전기, 중년기, 노년기로 구분하여 시각장애성인의 생애주기별 사회활동 및 문화⋅여가활동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노년기 시각장애인 10명 중 2명은 혼자 외출이 어렵고, 외출 빈도도 낮았다. 성인 전기의 경우 20.0%, 중년기의 경우 38.9%, 노년기의 경우 53.7%가 집 밖 활동 시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주로 동반자가 없어서 혹은 편의시설 부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성인의 문화⋅여가활동 참여 수준이 매우 미흡하였으며, 성인 전기 시각장애인의 경우 중년기와 노년기에 비해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이 다소 높았으나 비장애인에 비해 낮은 관람률을 보였다. 문화 및 여가활동에 대해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시각장애인은 성인 전기의 경우 50.0%, 중년기의 경우 55.1%, 노년기의 경우 47.5%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성인의 생애주기별 사회활동과 문화⋅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실천적 노력의 방향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social activities, and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f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according to their life cycle, and to seek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o provide support for their social,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by life cycle. Method: To this end, the author collected data from 658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aged 25 and older from the original data of the "2020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n the gathered data were categorized into the three life cycle stages of early adulthood, middle age, and senior age, and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f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then analyzed according to the life cycle stage. Results: First, the research found that two out of ten visually impaired elderly found it difficult to go out alone, and that they went out less frequently. 20 percent of those in early adulthood, 38.9 percent of those in middle age, and 53.7 percent of those in old age experienced difficulty in doing outdoor activities. Second,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participated less in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significantly. Visually impaired people in early adulthood had slightly more experiences in joining cultural and art events compared with those in middle age and elderly. However, their view rate was lower than non-adults with disabilities. Visually impaired people who were content with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accounted for 50.0% in early adulthood, 55.1% in middle age, and 47.5% in old age, respectivel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 discussed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policies and practical efforts intended to promote social activities,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f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according to their life cy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