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온톨로지 관점에서 전자상거래를 위한 한국어와 독일어 e-카탈로그의 비교 분석
신효식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7 독어교육 Vol.68 No.68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koreanische und auf Deutsch verfasste e-Kataloge unter ontologischem Gesichtspunkt verglichen und analysiert. Am Beispiel von 'Fußballschuhen' wird veranschaulicht, inwieweit die strukturierten Informationen der e-Kataloge trotz der linguistischen Parameter eine Parallelität zur Ontologie aufweisen. Die Taxonomie der koreanischen e-Kataloge unterscheidet sich von der deutschen in konfigurationeller Hinsicht: eine Instanz kommt im Koreanischen nur einmalig innerhalb einer bestimmten Klasse vor, während sie im Deutschen die verschiedenen Klassifizierungswege entlang mehrfach vorkommen kann. Im Koreanischen erscheinen deshalb - anders als im Deutschen - weder Homonymie noch Synonymie in der Nomenklatur der Taxonomie. Aber für die Interpretation der Klassennamen gilt derselbe auf Merkmalsvererbung beruhende Mechanismus. Die Instanz identifiziert sich mit einer Menge von Merkmalen (od. Attributen). Wegen ihrer nicht-standardisierten Verschiedenheit unterscheiden sie sich in Bezug auf ihre Ausführlichkeit von e-Katalog zu e-Katalog, sogar von Sprache zu Sprache. Durch die Modellierung der verschiedenen e-Kataloge (mittels Unifikation und Unterspezifikation) lässt sich eine vollständige Liste von Merkmalen der Instanz gewinnen. Die Teilmengenbeziehung der Merkmallisten bildet eine taxonomische Hierarchie, die die Transitivität in der Inferenz wie in der Ontologie ermöglicht. In diesem Sinne zeigt sich die Parallelität zwischen dem e-Katalog und der Ontologie, die Möglichkeit des e-Kataloges zu einer dynamischen distributionellen Wissensressource erhöht.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e-커머스)의 핵심요소인 e-카탈로그를 언어학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기존에 연구된 독일어의 e-카탈로그에 비교하여 한국어의 e-카탈로그가 갖는 특성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이다. 스마트 기술 환경으로 대변되는 지식정보시대의 화두는 인간과 기계의 소통에 관한 문제이다. 빅데이터가 무한 지식원으로 자리매김한 오늘날에는 지능적인 에이전트로서 컴퓨터가 갖는 사회적 위상이 날로 높아가고 있다. 지식의 공유와 소통을 위해서는 컴퓨터(인공) 지능이 언어를 통해 매개되는 인간의 지식체계를 얼마만큼 이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컴퓨터가 장점으로 갖는 계산력에 기댄 통계기반의 기술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지만, 아울러 온톨로지와 같은 집적된 지식 자원 또한 지식정보시대의 중요한 인프라이다. 왜냐하면 기계로 하여금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원으로서의 역할 때문이다. 대규모의 범용 온톨로지 구축과 더불어 하위의 도메인 온톨로지 또한 상호운용 및 병합, 재사용 차원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인터넷 쇼핑으로 대변되는 전자상거래의 부상은 쇼핑몰의 범람을 초래하였다. 가상의 공간에서 상품의 검색과 소개를 담당하는 e-카탈로그는 전자상거래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e-카탈로그는 상품들의 분류체계 Taxonomie와 상세한 소개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바로 이와 같은 구조화된 의미정보는 소비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의 지식이 반영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바로 이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e-카탈로그가 갖고 있는 온톨로지적 지식원으로서의 가치를 논하고자 한다. e-카탈로그에는 특정한 언어를 통해 구현된다는 점에서 언어적 요인과 그 언어권의 문화적 요인이라고 하는 파라메터가 작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신효식(2016)에서 논의된 독일어 e-카탈로그의 특성에 대하여 한국어 e-카탈로그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주제를 ‘축구화 Fußballschuhe’에 한정하여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실 표준화와는 상반된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난립적으로 부침하고 있는 e-카탈로그의 다양성을 중화시켜 궁극적으로 정제된 지식을 얻고자하는 기반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절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연구 방향,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논한다. 3절에서는 e-카탈로그의 분류체계에 관련하여 독일어와 한국어 자료를 비교 분석한다. 4절에서는 e-카탈로그의 상품 정보에 관하여 독일어와 한국어 자료를 비교 분석한다. 5절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e-카탈로그의 모델링 방안과 온톨로지적 관점에서의 이론적 함의를 제시한다. 마지막 절에서는 열린 문제와 향후 연구에 대해서 정리한다.
신효식,유난숙,정난희,허영선,이주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described the status of family dining and personality of adolescents, determined the differences in family dining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dining and personality in adolesce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inventory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 city and 1,259 data copies were used for analyses.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α,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PC 18.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weekly family dining frequency, more than 7 times had the most number of responses(44.2%), followed by 1~2 times(20.8%), 3~4 times(18.1%), 5~6 times(12.9%). The average scores for family dining perception and family dining attitudes were 3.75 and 3.42 on a 5-Likert scale, respectively, which means moderately high. But, family dining rules was 2.80, which means moderate. Agreeableness was the highest(3.68) among the personality components followed by Openness/intellect(3.42), Extraversion(3.33), Conscientiousness(3.14), and Emotional Stability(3.05) out of 5-point Likert scal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dining frequency, family dining perception, family dining rules, and family dining attitudes depending on the gender, school level, and the father's academic attainment. Third, family dining frequency, family dining perception, and family dining attitud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sonality of adolescents after personal variables were consider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mily dining rules and the personality. The outcomes indicate that family dining affects the personality of adolescents. School needs to offer quality programs with various teaching methods to enhance family dining frequency, family dining perception, and family dining attitudes.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가족식사와 인성특성을 살펴보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식사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가족식사가 인성특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주지역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1,259개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 t 검증, ANOVA, scheffe 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식사 빈도를 한 주일을 단위로 알아본 결과 매일 한끼 이상(44.2%)이 제일 많았으며, 1~2회(20.8%), 3~4회(18.1%), 5~6회(12.9%)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식사 인식은 3.75, 가족식사 태도는 3.42로 다소 높았으며, 가족식사시간 규칙은 2.80으로 중간이었다(5점 리커트 척도). 인성특성의 하위요인 중 친근성이 3.68로 제일 높았으며, 개방성/지성은 3.42, 외향성은 3.33, 성실성은 3.14, 감정적 안정성은 3.05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식사 특성은 어떠한지 알아본 결과, 가족식사 빈도, 가족식사 인식, 가족식사시간 규칙, 가족식사 태도는 성별, 학교급, 부 학력에 따라 달랐다. 셋째, 가족식사가 인성특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가족식사 빈도, 가족식사 인식, 가족식사 태도가 인성특성에 영향력이 있으며, 가족식사시간 규칙은 영향력이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정과수업을 통한 구체적인 인성 함양 방안을 모색하였다.
목적어로서의 독일어 zu-부정사 연구 - 영어 to-부정사 및 동명사와의 대조 분석 -
신효식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3 독어교육 Vol.56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er Zu-Infinitiv als Objekt imDeutschen im Vergleich zum to-Infinitiv und Gerundium im Englischenbehandelt. Im Fremdsprachenunterricht als EFL oder DaF ist es schwierig,dass man die richtige Form für eine satzwertige Ergänzung auswählt, weiles konkurrierende Ausdrucksmöglichkeiten wie zu/to-Infinitiv, Gerundium(im Englischen), dass/that-Nebensatz gibt. Vor allem für koreanischeLerner, die Deutsch als zweite Fremdsprache lernen, kann das Wissenüber die entsprechende Konstruktion im Englischen eine Interferenz haben. Darum wird die Untersuchung des zu-Infinitivs im Deutschen imVergleich mit den entsprechenden Konstruktionen im Englischen motiviert. Unter der morphologischen Betrachtung sind die Bezeichnungen wie‘V+ing’ und ‘zu/to V’ anstelle des Infinitivs und des Gerundiums bevorzugt. Im Englischen bieten die morphologie-fokussierten Bezeichnungen einenLösungsschlüssel für Unterschiede zwischen dem Infinitiv und demGerundium an. ‘To’ kommt aus der Präposition und behält noch dieetymologische Bedeutung: Es bezieht sich auf die temporale Futur oder dieModalität für Potentialität. Die Form ‘V+ing’, die im Progressiv erscheint,impliziert die Bedeutung für den durativen oder imperfektualen Aspekt. Aber der zu-Infinitiv im Deutschen lässt sich abhängig von demMatrixverb der Form ‘to V’ oder ‘V+ing’ entsprechen. ‘Zu’ hat keinebestimmte grammatikalische Bedeutung bezüglich Temporalität undAspekt, obwohl es etymologisch einen präpositionalen Ursprung hat. DerGrund dafür, warum ein Gerundium im Deutschen fehlt, könnte sich eng auf die Tatsache beziehen, dass es im Deutschen keinen progressivenAspekt gibt.
격지배 못 받는 논항의 형태론 – 독어 문법 교육의 관점
신효식 한국독어독문학회 2019 獨逸文學 Vol.60 No.3
Die vorliegende Arbeit geht davon aus, dass die Grammatik im Deutschunterricht in Korea an Oberschulen, Universitäten oder in der Erwachsenenbildung nicht vernachlässigt werden sollte. Ihr Stellenwert wird wegen der Betonung der Kommunikationskompetenz im Fremdsprachenunterricht tendenziell geringer. Aber älteren Lernenden mit stabileren kognitiven Fähigkeiten können grammatische Erläuterungen helfen, das deutsche System besser zu verstehen. Die Untersuchung argumentiert, dass ein grundlegendes Verständnis der Argument- Sättigung bei Satzbildung und Satzinterpretation unverzichtbar ist. Wortarten, die Prädikationsfunktion haben, d. h. Verben und Adjektive, haben lexikalisch eine Argumentstruktur. Es ist jedoch nicht einfach zu überprüfen, ob die Argumente gesättigt sind, weil zwischen der morphologischen Form des Subjektarguments und seiner semantischen Funktion eine Undurchsichtigkeit besteht. Das Subjekt-Argument, auch externes Argument genannt, ist anders als interne Argumente nicht kasus-regiert. Seine morphologische Realisierung hängt von der syntaktischen Umgebung ab: Nur wenn es ein Finitum gibt, wird es als Nominativ realisiert, sonst erscheint es wie ein Objekt des Matrixverbs als Akkusativ oder wie ein Subjekt des Matrixsatzes als Nominativ. Es kann auch morphologisch unsichtbar realisiert sein. In dieser Arbeit werden seine verschiedenen Verteilungen und seine morphologischen Realisierungmöglichkeiten anhand ‘des Prinzipien & Parameters-Modells’ der generativen Grammatik erläutert. Zusammenfassend wird in dieser Arbeit betont, dass das morphosyntaktische Phänomen des Subjektarguments von Verben und Adjektiven im Grammatikunterricht behandelt werden sollte. 한국에서의 독어 학습은 주로 고등학교 혹은 그 이후부터 시작된다는 점에서 모국어로서 한국어, 제1외국어로서 영어 지식이 암암리에 전제된다. 본 논문은 언어지식 모형을 통해 제2외국어인 독어의 문법위상을 정립해보고, 구체적인 사례로서 문장구성의 틀을 제공하는 술어 성격의 동사와 형용사의 논항 충족을 다룬다. 문법적인 문장이란 궁극적으로 이들 논항을 명사 혹은 그 대체표현들이 충족한 결과이다. 명사의 격 형태는 논항의 의미적 역할을 표현하는 주요한 수단이 되기도 하지만, 격 지배 받지 못하는 논항의 형태는 그 의미적 역할의 표지 기능이 없다. 왜냐하면 그 논항의 통사적 환경에 따라 가시적으로 다양한 격 형태를 갖기도 하고, 비가시적이어서 맥락으로부터만 해석되어야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와 의미의 불투명성의 문제가 이론언어학적 언어기술에서는 문법의 주요 관심을 끌어왔지만, 독어 교육의 학교문법 현장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언어학적 문법 설명이 언어교육에 있어서, 특히 독어 교육처럼 이해력이 수반된 성인 학습자에게는 설명력이 있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문장은 어휘부의 단순한 정보가 문법부에 입력되어 일관된 연산 과정을 통해서 출력되는 생산물로, 사실은 겉보기에 복잡해 보이는 문장구성일지라도 그 생성과정을 규칙화하면 간단히 설명될 수 있다.
언어적 연산자로서 기능범주 재고 - 독일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신효식 한국독어학회 2022 독어학 Vol.46 No.-
Di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zu beweisen, dass syntaktische Unterschiede zwischen Sprachen auf morphologische Unterschiede zurückzuführen sind. In diesem Zusammenhang werden die funktionalen Kategorien im Rahmen des generativen Grammatikmodells erneut aufgegriffen, da sie als morphologisch relevante Elemente betrachtet werden, die die syntaktischen Beziehungen der Satzelemente aufzeigen. Der Einfluss des morphologischen Systems auf das syntaktische Phänomen ist eher systematisch als willkürlich. Diese systematische Beziehung wird als von der Funktionsweise menschlicher kognitiver Systeme herrührend angesehen, wie z. B. der auf Identifizierbarkeit basierenden Sprachökonomie. Mit Blick auf das Deutsche und das Koreanische werden die Verbkonjugation (INFL), Artikel und Kasus sowie Präpositionen/Postpositionen als Elemente der funktionalen Kategorie behandelt. Dadurch werden verschiedene syntaktische Phänomene wie flexible Wortstellung, NP-Aufspaltung, Auslassung des Subjektpronomens, appositive Konstruktion des Adverbials, Multisubjektsphänomen, etc. auf der Grundlage der morphologischen Identifizierbarkeit erklärt, wobei dem reichen Morphologiesystem eine entscheidende Rolle zukommt. Die Rolle der funktionalen Kategorie wird dabei als linguistischer Operator angesehen, die eine semantische Interpretation aus der syntaktischen Struktur heraus ermöglicht. Es gibt jedoch in einer augmentierten Kommunikationsumgebung, in der nonverbale Mittel zur Kommunikation hinzugefügt werden, Fälle, in denen die oben genannte Erklärung innerhalb des Sprachsystems nicht zutrifft. Man kann sagen, dass die Wiederherstellung des ausgelassenen Subjekts aus der Gesprächssituation heraus möglich ist, also nicht von der Funktionsweise des menschlichen kognitiven Systems abweicht. 언어들 간의 통사현상의 차이는 형태론적 차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실질적 의미는 없지만 문장구성요소들의 통사적 관계를 나타내는 형태적 요소를 기능범주라고 한다. 실질적 의미를 갖는 어휘범주는 언어들간에 본질적인 차이가 없는 반면에 기능범주의 형태체계는 언어 간에 큰 차이를 보인다. 형태체계가 통사현상에 미치는 영향은 임의적이라기보다는 체계적이다. 본 연구는 이 체계적인 관계를 식별 가능성에 기반을둔 인간의 인지체계의 작동 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다. 독일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기능범주의 요소로간주될 수 있는 것으로 동사의 활용(INFL), 관사나 격조사, 전치사/후치사를 다루었다. 특히 이들 기능범주의 하부 특정 자질 중에서도 INFL과 관사의 일치소(AGR) 자질, 격조사와 전치사의 통사적 정보에 주목하였다. AGR을 통해 관사의 대명사적 기능, 주어의 삭제 현상을 다루었으며, 독일어 명사구의 분열, 한국어의다중주어/목적어, 독일어의 동격부사어 현상을 단일한 적출 기제로 설명하였다. 탄력적인 어순, 생략 등을가능하게 하는 것은 기능범주의 형태적 표지로 귀결된다. 형태적 표지로 인해 각 문장요소의 통사적 기능이식별되며, 그럼으로써 의미적 해석이 가능해진다. 통사구조로부터 의미적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연산적기능을 기능범주의 역할로 간주하였다. 물론 의사소통에 언어외적 수단이 가미되는 증강의사소통 환경에서는 위 언어체계 내적 설명이 위반되는 경우가 있다. 생략된 주어의 복원은 대화상황으로부터 가능하다는점에서 역시 인간의 인지체계 작동 방식을 벗어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불연속 명사구의 형태 - 의미적 접근 - 독일어의 명사구 분열구조 및 한국어의 중출 구문 비교
신효식 한국독어학회 2016 독어학 Vol.34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die diskontinuierlichen Nominalphrasen aus morpho-semantischer Sicht analysiert und vor allem am Beispiel der sog. NPAufspaltung im Deutschen und der sog. Multi-Subjekt/Objekt-Konstruktion im Koreanischen kontrastiv veranschaulicht. Die Diskontinuierlichkeiten der Nominalphrasen beziehen sich eng auf das reiche morpho-syntaktische System der jeweiligen Sprachen. Das Deutsche und das Koreanische zeigen diesbezuglich Parallelitaten trotz ihrer morpho-typologischen Verschiedenheit (flektierend vs. agglutinierend): die diskontinuierlichen Nominalphrasen zeigen im Allgemeinen ihre Kasusidentitat mithilfe der sichtbaren Kasusmorphologie. Aber in der syntaktischen Distribution der Nominalphrasen gilt eine bestimmte Art semantischer Beziehungen: Einengung des Denotationsbereichs und Spezifizierung. Die topikalisierte NP, die im Deutschen im Vorfeld steht, wahrend rechts davon ein Topikmarker im Koreanischen agglutiniert wird oder die in demselben Kasus mit der Nominalphrase in situ steht, referiert auf einen allgemeineren unbestimmten Denotationsbereich, aber die in situ gelassene NP referiert einschrankend nur auf einen bestimmten Teil. In diesem Fall besteht zwischen den diskontinuierlichen Nominalphrasen, mengentheoretisch gesehen, eine Subsumptionsrelation. Daruber hinaus fungiert im Koreanischen eine lexikalische Spezifizierungsrelation als eine weitere semantische Restriktion im Sinne der Qualia-Struktur der generativen Lexikontheorie. Verallgemeinernd lasst sich sagen: die diskontinuierlichen Nominalphrasen mit demselben Kasus spielen kompositionell eine thematische Rolle, aber zwischen ihnen besteht eine strikte semantische Restriktion. 언어들간의 통사적 현상의 차이는 그 언어의 형태 체계와 밀접한 관련을갖고 있다는 견해는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스크램블링 Scrambling으로 대변되는 어순의 탄력성을 보이는 언어들은 차이는 있지만 비교적 풍부한 형태체계를 갖고 있다. 라틴어를 필두로 하여 독일어, 한국어 등이 그 대표적인예이다. 본고에서는 소위 불연속 명사구조2)에 속하는 온 독일어의 통사적 현상과흔히 중출 현상이라고 명칭되는 한국어의 다중주어/목적어 현상을 중심으로형태체계적 요인이 이러한 통사적 현상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더 나아가서는 의미 해석과 정보구조와의 밀접한 연관성을 살피고자 한다. (1) a. Französische Bücher hat Amina bisher nur wenige gute gelesen. (Ott, 2011: 2) b. 순이는/가 특히 얼굴이 크다. 이들 구문의 특성은 (1)에서와 같이 동일한 격표지를 지난 통사적 표현이불연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구문은 전통적으로 통사적 관점에서 두 개의 불연속 명사구의 기저구조에 대한 문제가 관심을 끌어왔다. 이들 구조가 단일명사구의 분리를 통해서 유도된 것이냐 여부가 논쟁의 핵심이었다. 본고는 불연속 명사구들의 기저구조상의 통사적 유래에 관심을 두기 보다는 이들 통사구조의 공통적인 특성인 풍부한 형태 표지 체계가 의미 정보적인 해석에 어떻게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특히 두 언어의 불연속 명사구들의 비교를 통해서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가 있는지, 또 그러한 특성에는 어떤 체계적인 요인이 관여하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중점을 둘 것이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절에서는 불연속 명사구 자료에 대한 연구 범위를 제한하고 기존의 관련 연구 상황을 검토한다. 3절에서는 두 언어의 형태론적인 비교를 통해 분열구조의 형태적 특성을 논한다. 4절에서는 언어간 분열구조의 의미 해석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힌다. 5절에서는 이론적인 함의로 분열구조의 일반화를 시도하며, 단일명사구로의 바꿔쓰기 가능성을 통해 통사적 절차보다는 의미적 관계가 더 중요함을 제시한다. 아울러소위 통사적 환경에 민감한 굴절형태론이 통사후 단계로 해석되어야함을 제시한다. 마지막 절에서는 결론적으로 연구의 성과와 더불어 남은 문제를 제시한다.
텍스트로부터 구조화된 온톨로지적 의미속성 정보를 얻기 위한 언어적 연구 - 독일어 e-카탈로그를 중심으로
신효식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8 독일언어문학 Vol.0 No.79
Ein E-Katalog kann ontologisch insofern interpretiert werden, als er aus einer Taxonomie und detaillierten Informationen über das der Instanz entsprechende Produkt besteht. Dies liegt daran, dass es die grundlegenden Eigenschaften einer (Engineering-)Ontologie aufweist, die so konstruiert ist, dass der Computer sie lesen und verstehen kann. Die detaillierten Informationen eines Produkts können in einem Paar eines sogenannten "Attribut - Attributswert" strukturiert sein, können jedoch in Textform und unstrukturiert beschrieben werden. Um ontologisch verwendbar zu sein, muss diese unstruktuierten Informationen strukturiert sein. Ziel dieser Studie ist es daher, die linguistischen Muster zur Gewinnung strukturierter Produktinformationen aus unstrukturierten Produktinformationen in deutscher Textform aufzuzeigen. Insbesondere ist der Produktinformationstext Semitext, da er in der Regel nicht aus Sätzen, sondern aus Phrasen besteht. Die Phrasen, die den Semitext bilden, basieren auf dem morpho-syntaktischen System der jeweiligen Sprache. In deutschsprachigen Texten ist der repräsentative Teil eines Attributs ein Adjektiv, aber es gibt auch andere Ausdrücke wie Präpositionalphrase, Bestimmnungswort im Kompositum, etc., die Adjektive ersetzen. Im weiteren wird versucht, die strukturierten Attributinformationen aus verschiedenen syntaktischen Darstellungen umzustruktuieren. Die Umstrukturierung kann unter dem Gesichtspunkt der Qualia-Struktur der generativen Lexikontheorie erfolgen. Diese Studie ist letztlich eine linguistische Grundlagenstudie für die Ontologie-Population durch Text-Mining. e-카탈로그는 분류체계와 인스턴스에 해당하는 상품의 상세정보로 구성되어 있다는점에서 온톨로지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인간의 지식 개념체계, 더 나아가 정신사전을컴퓨터도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축한 공학적 온톨로지의 기본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상품의 상세정보는 일명 ‘속성(명) - 속성 값’이라는 쌍으로 구조화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텍스트 형태로 서술되어 비구조화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온톨로지로 이용되려면, 상품적보는 구조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일어 텍스트 형태의 비구조화돤 상품 정보로부터 구조화된 상품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언어적 형식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상품정보 텍스트는 구의 표현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준텍스트라고 할수 있다. 준텍스트를 구성하는 구의 표현은 해당 언어의 형태 통사체계에 기반한다. 독일어 준텍스트에서 속성을 표현하는 대표적 품사는 형용사이지만, 형용사를 대체하는전치사구, 합성어의 규정어 등 다른 표현 방식도 있다. 다양한 통사적 표현으로부터 구조화된 속성 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정보의 원자명제화를 시도한다. 정보의 원자화를 통해 얻어진 다양한 상품 정보들은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재구조화는 생성어휘론의특질구조 시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온톨로지의 증식을 위한 기초연구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