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톨로지 관점에서 전자상거래를 위한 한국어와 독일어 e-카탈로그의 비교 분석

        신효식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7 獨語敎育 Vol.68 No.68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koreanische und auf Deutsch verfasste e-Kataloge unter ontologischem Gesichtspunkt verglichen und analysiert. Am Beispiel von 'Fußballschuhen' wird veranschaulicht, inwieweit die strukturierten Informationen der e-Kataloge trotz der linguistischen Parameter eine Parallelität zur Ontologie aufweisen. Die Taxonomie der koreanischen e-Kataloge unterscheidet sich von der deutschen in konfigurationeller Hinsicht: eine Instanz kommt im Koreanischen nur einmalig innerhalb einer bestimmten Klasse vor, während sie im Deutschen die verschiedenen Klassifizierungswege entlang mehrfach vorkommen kann. Im Koreanischen erscheinen deshalb - anders als im Deutschen - weder Homonymie noch Synonymie in der Nomenklatur der Taxonomie. Aber für die Interpretation der Klassennamen gilt derselbe auf Merkmalsvererbung beruhende Mechanismus. Die Instanz identifiziert sich mit einer Menge von Merkmalen (od. Attributen). Wegen ihrer nicht-standardisierten Verschiedenheit unterscheiden sie sich in Bezug auf ihre Ausführlichkeit von e-Katalog zu e-Katalog, sogar von Sprache zu Sprache. Durch die Modellierung der verschiedenen e-Kataloge (mittels Unifikation und Unterspezifikation) lässt sich eine vollständige Liste von Merkmalen der Instanz gewinnen. Die Teilmengenbeziehung der Merkmallisten bildet eine taxonomische Hierarchie, die die Transitivität in der Inferenz wie in der Ontologie ermöglicht. In diesem Sinne zeigt sich die Parallelität zwischen dem e-Katalog und der Ontologie, die Möglichkeit des e-Kataloges zu einer dynamischen distributionellen Wissensressource erhöht. 본 연구에서는 전자상거래(e-커머스)의 핵심요소인 e-카탈로그를 언어학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기존에 연구된 독일어의 e-카탈로그에 비교하여 한국어의 e-카탈로그가 갖는 특성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이다. 스마트 기술 환경으로 대변되는 지식정보시대의 화두는 인간과 기계의 소통에 관한 문제이다. 빅데이터가 무한 지식원으로 자리매김한 오늘날에는 지능적인 에이전트로서 컴퓨터가 갖는 사회적 위상이 날로 높아가고 있다. 지식의 공유와 소통을 위해서는 컴퓨터(인공) 지능이 언어를 통해 매개되는 인간의 지식체계를 얼마만큼 이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컴퓨터가 장점으로 갖는 계산력에 기댄 통계기반의 기술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지만, 아울러 온톨로지와 같은 집적된 지식 자원 또한 지식정보시대의 중요한 인프라이다. 왜냐하면 기계로 하여금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원으로서의 역할 때문이다. 대규모의 범용 온톨로지 구축과 더불어 하위의 도메인 온톨로지 또한 상호운용 및 병합, 재사용 차원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인터넷 쇼핑으로 대변되는 전자상거래의 부상은 쇼핑몰의 범람을 초래하였다. 가상의 공간에서 상품의 검색과 소개를 담당하는 e-카탈로그는 전자상거래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e-카탈로그는 상품들의 분류체계 Taxonomie와 상세한 소개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바로 이와 같은 구조화된 의미정보는 소비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의 지식이 반영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바로 이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e-카탈로그가 갖고 있는 온톨로지적 지식원으로서의 가치를 논하고자 한다. e-카탈로그에는 특정한 언어를 통해 구현된다는 점에서 언어적 요인과 그 언어권의 문화적 요인이라고 하는 파라메터가 작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신효식(2016)에서 논의된 독일어 e-카탈로그의 특성에 대하여 한국어 e-카탈로그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주제를 ‘축구화 Fußballschuhe’에 한정하여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실 표준화와는 상반된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난립적으로 부침하고 있는 e-카탈로그의 다양성을 중화시켜 궁극적으로 정제된 지식을 얻고자하는 기반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절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연구 방향,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논한다. 3절에서는 e-카탈로그의 분류체계에 관련하여 독일어와 한국어 자료를 비교 분석한다. 4절에서는 e-카탈로그의 상품 정보에 관하여 독일어와 한국어 자료를 비교 분석한다. 5절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e-카탈로그의 모델링 방안과 온톨로지적 관점에서의 이론적 함의를 제시한다. 마지막 절에서는 열린 문제와 향후 연구에 대해서 정리한다.

      • KCI등재
      • 중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신효식,김근화 한국가정과학회 2004 한국가정과학회지 Vol.7 No.2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some basic materials for finding better ways to promote student-parent communication in order to elevate the sense of self-esteem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talk abou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through looking at the current student-parent communication reality resulting from socio-demographic changes among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ing some influences student-parent communication has on students' self-esteem. To attain the aforementioned purpose, total 650 2nd grade and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The schools that they are attending are 2 schools in Gwangju City and 2 schools in a township in Jeonnam. 617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In order to se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ion of major variables of the respondents, the data were used to produce frequency, percentile,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 quotient, and t-test, one-d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s were put to us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student groups that have good relations with other students seemed to be more open and active i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mother and father.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in their 2nd grade had more open talking relations with their mothers than male students and students in their 3rd grade. Students had more open talking relations with their father when father's occupation is office worker. In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that results from variables in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a significant variance was presented in the level of the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When they had open communication with both parents, they had a high sense of self-esteem, and when their communication style was problematic, they had a low sense of self-esteem. When they had better relations with other students, when they had more open communication styles with their mother, when they had better school records, when they felt more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self-estee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성폭력 경험과 인식

        신효식,이경주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 200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and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and to present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cognition of sexual violence. The subjects were 835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Kwangju and Chonnam. The data analysis used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is as follows; 1.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2.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cognition of sexual violence in sex, sex-role attitude, experience of obscene materials and sex education. 3. The variables which affect cognition of sexual violence is sex-role attitude, sex and experience of obscene materials that were explained about 10%.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