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화주의적 자유와 애국심 교육

        신호재(Shin Ho J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9

        역사적으로 볼 때, 공화주의적 자유는 개인이 향유할 수 있는 사적 자유의 중요성을 인정하 며 그 전제가 되는 자유로운 공화국을 추구하였다. 따라서 공화주의적 자유는 정치적인 의미 를 가지며, 억압에서 벗어나 스스로 자유를 누리고 삶을 즐기고자 하는 시민들의 이야기에서 발견될 수 있다. 공화주의적 애국심은 이와 같은 자유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자유로운 조국에 대한 사랑으로 설명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선조들이 추구하 였던 자유는 바로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공화주의적 애국심에서 비롯되는 자유였다. 따라서 우리의 애국심 교육은 공화주의적 자유를 강조해야 하며, 그 형태는 공화주의적 자유가 전개 되어 온 역사적 과정들을 담고 있는 내러티브적 구조로 제시되어야 한다. Historically, republican libert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ivate freedom and sought a free republic, the prerequisite of that freedom. In this context, the republican liberty has a political meaning, and can be found in the stories of citizens who want to enjoy their freedom without any alien control or domination. Republican patriotism is love of the fatherland based on the concept of the liberty. In our history, it was the republican liberty originated in republican patriotism that ancestors pursued. Thus, patriotism education must focus on the meaning of republican liberty, and it should take the form of narrative structures which show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republican liberty process.

      • KCI등재

        사회통합 측면에서의 도덕과 시민성 교육의 전제와 방향 - 볼테르(Voltaire)의 ‘관용’을 중심으로 -

        신호재 ( Shin Ho-ja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한국 사회에서는 현재 다양한 영역에 걸쳐서 혐오를 동반한 깊은 사회적 갈등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은 곧 사회통합을 저해하며 한국 사회의 영속적인 발전에 큰 장애로 작용될 수 있기 때문에, 시민성 교육 차원에서 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 사회에서 발생되는 갈등의 원인을 관용의 부족이라고 판단하고, 그 해결책을 인간의 오류 가능성을 중심으로 하는 볼테르의 관용 해석에서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도덕과 시민성 교육이 사회통합을 위하여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내용 측면에서는 ‘나’를 이해하고 반성하는 측면에서 관용의 의미를 재설정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방법 측면에서는 관용의 의미를 학습자의 맥락을 반영한 도덕적 대화 및 토론을 통해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re are many types of social conflicts among citizens in South Korea, and they are growing stronger and bigger. Since this conflict destroys social cohesion in this society, citizenship education is needed to cope with the difficulty. This thesis analyzed related studies and found out that the main cause of the conflicts was lack of tolerance, especially lack of cognition of human fallibility, which Voltaire emphasized. In this context, this thesis suggested two method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for achieving social cohesion based on Voltaire’s tolerance. First,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contents, the concept of tolerance needs to be re-approached according to Voltaire’s understanding. Second,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methods, the contents of tolerance should be presented with moral communications and debates among students.

      • KCI등재

        종교현상학의 방법적 기초로서의 현상학적 환원 - M.엘리아데의 『성과 속』에서 ‘속(俗)’의 이중적 의미를 중심으로 -

        신호재(Shin, Ho-Ja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3 No.-

        종교를 ‘현상학적’으로 연구한 대표적인 학자로 엘리아데(M. Eliade)를 꼽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그렇다면 과연 엘리아데의 종교연구를 ‘현상학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이 물음은 본질적으로 철학이, 그중에서도 문제의 당사자인 현상학이 답해야 하는 문제일 것이다. 본고는 철학적 현상학, 특히 후설(E. Husserl) 현상학의 입장에서 위 물음에 답하려는 하나의 시도다. 엘리아데가 『성과 속』전 범위에 걸쳐서 대립되는 것으로 설정하는 종교인의 ‘성(聖)’과 비종교인의 ‘속(俗)’이라는 두 가지 삶의 태도는, 후설의 현상학을 주도하는 방법인 ‘현상학적 태도변경’으로서의 ‘현상학적 환원’, 특히 ‘생활세계적 환원’을 통해서만 정확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성’과 ‘속’의 대립은 사실이 아닌 본질구조의 기술이라는 점에서 후설의 ‘형상적 환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엘리아데가 말하는 ‘초월’ 개념은 ‘초월론적 현상학적 환원’과 상통하는 해석의 여지를 담고 있다. 엘리아데가 말하는 ‘속’의 이중적 의미는 후설의 현상학에서 ‘자연적 태도’가 가지는 이중적 의미에 상응한다. 즉 ‘속’은 한편으로는 ‘성’이 현출하기 위한 가능성의 토대이자 지평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성’을 위해 극복되어야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M. Eliade is indisputably the most prominent scholar in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religion. Then one must ask: how were Eliade"s religious studies invested with the character of ‘phenomenology’? This question requires a philosophical answer, particularly through phenomenology, which factors in the question itself.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is question from the standpoint of philosophical phenomenology, specifically Husserl’s phenomenology. Eliade’s dual viewpoints on life, the ‘sacred’ of the religious person and the ‘profane’ of the non-religious can only be understood through Husserl’s concept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as shifts of phenomenological attitudes. In my view, what Eliade called the profane corresponds to what Husserl called life-world. Accordingly Eliade needed the method to analyze the profane. I maintain that it must be Husserl’s methode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to life-world. In addition, the contrast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can be described only through Husserl’s ‘eidetic reduction’ as it is positioned to describe the essential structure of religious life, rather than the facts of it. Lastly Eliade’s concept of ‘transcendence’ has theoretical room to be interpreted as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duction. His double meaning of ‘the profane’ corresponds to the dual meaning of natural attitude in Husserl’s phenomenology. In short, ‘the profane’ functions paradoxically as the potential horizon from which ‘the sacred’ emerge on the one hand, also it must be overcome by the transcendental reduction in order to enter into the origin of humanity, ‘the sacred.’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시민성 교육의 방향과 과제

        신호재(Shin Ho J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8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서의 시민성 교육이 그 정체성을 확립하고 초등학교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도 적합하기 위해서는, 관계성을 중심으로 한 도덕적 시민성 접근이 유효하다. 관계성을 중심으로 한 도덕적 시민성은 법적 혹은 지위로서의 시민성 영역을 넘어서서, 타인과의 관계를 도덕적인 맥락에서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 및 공동체의 복지와 행복을 함께 고려하는 실천적인 능력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시민성을 갖춘 시민은 매일의 삶에서 개인적으 로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시민이며, 타인과의 관계를 도덕적으로 형성하고 이를 기초로 자 신을 발견하며 공동체의 목표도 공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서는, 첫째 도덕적 공감이나 죄책감 혹은 수치심과 같이 타인과의 관계를 고려한 도덕적 정서에 관한 연구 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도덕적 시민성에 대하여 의식, 판단, 의도, 그리고 행위를 모두 포괄하 는 통합적인 관점을 견지해야 한다. 셋째, 적절한 평가 도구를 제작하여 도덕적 시민성에 대한 효과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우리나라만의 상황과 문화를 반영하여 그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In order to establish an identity of citizenship education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an appropriate method for the developmental stage of elementary students, it is recommended for educators to use this approach of moral citizenship based on relationality. This approach goes beyond the concept of citizenship as a legal area or a status. It makes students recognize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a moral way, and consider the well-being and happiness of others or a community. It also includes and emphasizes the ability to practice these values in the real world. Citizens who have an understanding of moral citizenship based on relationality are more personally responsible in their daily lives and form mor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y can identify themselves based on their connections with others, and furthermore, use these connections to form shared aims for their communities.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this kind of citizenship education, educators must do the following: First, they should study how moral emotions― such as compassion, guilt, or shame―inform and affect relationships with others. Second, they have to keep and support an integrated view regarding moral citizenship which includes the four components: awareness, judgment, intent, and behavior. Third, they need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moral citizenship based on relationality that reflects the culture and context of South Korea.

      • KCI등재

        초등 도덕과 교과서 어휘의 통계적 분포 분석

        신호재(Shin Ho J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2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초등 도덕과 교과서 어휘의 계량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21세기 세종계획에 근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도덕과 교과서 어휘를 빈도수 분포와 종수 분포로 나누어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 다. 어휘 빈도수 분포와 관련하여서는, 첫째 특정 단원에만 과도하게 높은 어휘 빈도수가 나 타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둘째 6학년에서는 보다 많은 어휘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셋째 내용 영역별 어휘 빈도수의 차가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해야 하고, 넷째 도덕과 만의 어휘 특성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독립적 어휘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다섯째 정의적 특성을 지닌 어휘들이 자주 출현되어야 함을 언급하였다. 어휘 종수 분포와 관련하여서는, 첫 째 단원의 목표 및 내용, 성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어휘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지 검토되 어야 하며, 둘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보다 다양한 종류의 어휘가 사용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 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교과서 개발에 있어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emonstrated the lexical analysis results on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s, a subject of research rarely mentioned in the moral education field. According to the Sejong 21st century criteria, the words of 2009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number of tokens(running words) and the number of type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numbers of tokens: First, units should not have large frequency differences with each other. Second, it is recommended for the six grade textbook to use more words. Third, the frequency of words used in content units needs to be similar. Fourth, since the unique character of words in moral education was proved, more independent lexic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ifth, words that reflect the affective character of morality need to be used more.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types: First, it should be reviewed whether units should have various types of word, within the object, contents, and character of the units. Second, it is recommended to use diverse types of words as the grade level increases. The implications from this analysis can be a useful reference data for developing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미래 사회를 위한 도덕교육의 방향과 과제

        신호재(Ho-Jae Shin) 한국도덕교육학회 2021 道德敎育硏究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를 앞둔 현시점에서 도덕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였다. 먼저 도덕교육 측면에서 유의미하게 받아들여야 할 미래 사회의 변화 주요 양상을 2030년대로 한정하여 다섯 가지로 유목화하였다. 다음으로 변화 주요 양상에 따른 도덕교육의 방향을 정책 수준에서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특히 미래 사회 변화에 있어서 도덕교육의 전개 수준과 대비 내용을 큰 틀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 수준의 도덕교육 방향을 구체적인 문서, 즉 도덕과 교육과정 수준에서의 반영 방안을 중심으로 개정 및 수정과 관련한 다섯 가지의 실질적 제안을 하였다. 미래 사회 변화 주요 양상과 그에 따른 도덕교육의 방향 그리고 실질적 과제 간 연결은 논리적 개연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나, 각 관계가 서로 배타적이지 않음을 분명히 하였다. This paper presented the directions and tasks of moral education for our future society. First of all, five major features of 2030 future social change, deeply related to moral education, were analyzed. Second, five moral educational policy directions based on these features were suggested. Lastly, five practical tasks based on these policy directions, related to revision and modificat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were proposed. The links among the features, directions, and tasks were developed in terms of logical probability, but they were not mutually exclusive.

      • KCI등재

        율리시스의 돛대: 한국 사회에서의 비지배 자유

        신호재 ( Ho Jae Shin )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90 No.1

        Liberty as non-domination in the republican tradition is attractive to a person in terms of an instrumental and primary good. The concept of liberty as non-domination is based on Western culture which emphasizes independent and free individuals over the idea of community. However, Korean society is very different from the West in that it values harmony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in a community more than individualism. The Korean people, thus, can voluntarily limit their liberties in order to live peacefully, since their primary good is not enjoying liberty but living in harmony with people. This is similar to the action of Ulysses who let his sailors keep him bound while the ship passed the island of the siren voices. He gave up his liberty on purpose to ensure his safety. Therefore, likening the Korean people to slaves whose choices and behavior are controlled by others is inappropriate. Rather, they value harmony and community over liberty as non-domination, and choose to constrain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values.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의 방향과 도덕과교육의 역할

        신호재 ( Shin Ho-ja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2

        최근 교육 본질적 측면 및 국내외적 필요성과 함께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한 논의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주시민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세 가지 측면, 즉 그 근본적 토대를 제공하는 ‘도덕성’, 내용의 선정 및 조직의 원리를 제공하는 ‘통합성’ 그리고 실행에 있어서의 방법 및 적용의 원리를 제공하는 ‘일상성’의 관점에서 탐색해 보았다. 그리고 세 지향점이 도덕성을 기초로 통합성 그리고 일상성의 방향으로 나아가되, 내용의 특성상 일방향적인 것이 아닌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계라는 점을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특성을 지니는 민주시민교육은 다양한 전략 및 방안을 가지고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교과목의 신설이나 기존 교과목을 전환하는 경우 및 기존 교과 내용 체계에서의 관련 내용 요소를 강화하는 경우를 살펴보며 도덕과교육이 도덕적 맥락에서의 방향 설정과 내용 선정 측면에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Recently,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received a spotlight in terms of its educational nature and necessities, both home and abroad. Considering that,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future directions of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a macro view: First, a moral aspect that gives a basic foundation. Second, an integrative aspect that provides a principle for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Third, a daily aspect that shares a principle for educational methods and applications. These three are in order basically, but they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Using the philosophies of these three direction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practiced with multiple strategies such as creating a new subject, converting an existing subject, or reinforcing related content elements in existing subjects. In each case, moral education should play the key role in establishing the direction and selecting the contents, sinc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founded based on morality first.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까지 - 민주시민교육의 확장 가능성과 도덕교육적 의미 탐색 -

        신호재(Shin, Ho J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7

        본 논문에서는 교육적 수준에서나 정책적 수준에서 큰 관심을 받는 민주시민교육과 세계시민교육 간의 관계를 탐색하며 그 가치를 확인하고, 도덕교육적 의미를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먼저 민주시민교육은 세계시민교육과 거의 분리된 채 이루어지고 있지만, 민주시민교육의 논리는 확장되어 세계시민교육으로 연결되어야 함을 논증하였다. 민주시민교육의 확장과 관련하여서는 두 가지 가능성, 시간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에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시간적 측면의 확장에서는 가능성으로서의 지속의 의미에서 ‘정의’를 논의하였고, 공간적 측면의 확장에서는 가능성으로서의 보편을 실현하게 하는 ‘대화’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두가지 측면의 확장 가능성 담론은, 첫째 도덕적 가치의 연속적 적용을 의도한다는 점, 둘째 필연적으로 관용의 자세를 요청한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DCED)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highlighted on both an educational and policy level, and explored its values and moral educational meanings. First, it is examined that DCED has been separated from GCED in Korean society, but DCED should logically pursue the ideal of GCED. In the argument for extensibility of DCED, time-axis and space-axis perspectives are considered. On the time-axis, ‘justice’ as a possibility of sustenance is emphasized. On the space-axis, ‘conversation’ is considered as the way to refine the concept of what is universal. Lastly, it is explored that two different discourses of extensibility have two moral educational meanings: continuous application of moral values and the spirit of toler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