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실태와 인식

        신혜리,박재국,김은라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3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활용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실태와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200명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메타버스 활용 실태, 메타버스 교육에 대한 인식, 메타버스 교육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메타버스 활용 교육 실태에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활용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모두 수업 시 활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메타버스 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해 내용이해와 학습흥미에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관한 실태와 인식에 기반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메타버스 활용 교육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tried to obtain basic data by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order to conduct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targeting special education students. Method: A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using the metaverse, perception of metaverse education, and awareness of the effect of metaverse education was conducted targeting 200 special and general teacher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utilization level of special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was low in the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Second, in the perception of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willing to use it in clas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content understanding and learning interest regarding the effects of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aliti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on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ways to actively support metaverse utilization education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돌봄 충족 연구

        신혜리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 연구는 타인에게 돌봄을 제공 받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공적인 돌봄 및 사적인 돌봄 주체로부터 노인들이 충분한 돌봄을 제공받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족, 친척, 장기요양보험서비스 등 다양한 도움주체로부터 일상생활에 있어 도움을 받은 노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돌봄주체 및 일상생활수행 정도를 독립변수로 두고,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역, 가구소득을 통제변수로 둔 뒤에 이 변수들이 도움의 충분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돌봄을 받고 있는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돌봄주체 별 돌봄 충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사적인 돌봄이 돌봄 충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적인 돌봄 중에서도 비공거가족원이나 가족 외 지인보다는 동거가족원에 의한 돌봄을 제공받았을 때 돌봄이 충분하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기요양이용노인을 대상으로 돌봄주체별 돌봄 충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장기요양보험서비스와 동거가족원이 함께 돌봄을 제공할 때 돌봄 충분성이 높은 수준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일상생활수행 항목별 돌봄 충분성을 분석한 결과, 세수나 샤워 등의 목욕 항목, 근거리 외출이나 교통수단 이용등의 이동항목 등에 어려움을 겪을수록 돌봄 충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공적인 돌봄에 대한 충분성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사회적 관계망이 적은 노인들과 목욕 및 이동 등 특정 항목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공적돌봄이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 경험이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에 미치는 효과: 성향점수매칭(PSM)을 중심으로

        신혜리,김명일 한국직업재활학회 2015 職業再活硏究 Vol.25 No.1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return-to-work(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ho had experienced to use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s. Using the data from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of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Corporation, this study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habilitation services and return-to-work. The sample is 1,907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ho finished medical care.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this study employed the method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return-to-work(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do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turn-to-work (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On the other hand,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return-to-work(pre-injury job and work at a new firm). It is assumed that the goal of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is usually for social adjustment in this respec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들의 재활서비스 이용 경험이 직장복귀 및 원직장 복귀에 실질적 효과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산재근로자들의 직장복귀 혹은 원직장 복귀를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산재 요양종결 근로자 1,907명을 대상으로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제도 및정책,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Propensity Score Matching(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한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재활서비스는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와 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서비스 중 직업재활과 의료재활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사회심리재활서비스는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및 원직장복귀와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심리재활서비스가 (원)직장복귀에 목적을 갖고 제공하는 서비스라기보다는, 산재를 경험한 근로자의사회적응을 위한 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재근로자들의 직장복귀 및 원직장 복귀를 위한 재활서비스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시나리오 기반 그린리모델링 공사비 추정 모델 개발

        신혜리,임지연,이승언,이준성,장예은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22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6 No.6

        In this study, to develop a scenario-based green remodeling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model, green remodeling work types and processes were analyzed, and a scenario-based green remodeling construction cost Database was established. To estimate the green remodeling construction cost, the unit cost required for construction was derived, focusing on the core work types of green remodeling, such as insulation, windows, lighting, facilities, and renewable energy, and through this, a database was established for each work type, based on which green remodeling is operated. A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model was developed.

      • KCI등재

        건물부문 화석연료 전환을 위한 서울지역 아파트의 도시가스를 이용한 취사에너지 사용 특성 분석

        신혜리,김유민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23 에너지기후변화학회지 Vol.18 No.2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in the building sector by 2050, a reduction of direct emissions is necessary, and they ar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fuel. In the building sector, it involves the direct combustion of gases such as briquettes, heating oil, LPG, and city gas, and is mainly used for heating, hot water supply, and cooking. While the proportion of energy used for heating and hot water is expected to decrease by 2050, but that used for cooking is expected to increase relativel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cooking energy consumption using city gas for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and presented trends in cooking city gas consumption according to building area and year.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of each local government, we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set reduction goa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 KCI등재

        치매 서비스 경험과 인지기능 간의 관계 연구: 건강정보이해능력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신혜리,김영선,이상화,최은영,맹성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dementia service utilization i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and whether health literac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service utilization and cognitive function. Data were drawn from the 2016 Dementia Literacy Survey collected by K University. The final analytic sample included 522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s aged 60 to 79. Results from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both dementia service use and higher levels of health literacy were related to better cognitive function and that health literac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When older adults used dementia service, those with higher levels of health literacy reported higher levels of cognitive function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of health literacy. Our findings suggest that health liter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cognitive health benefits arising from dementia service utilization.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및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매 서비스 이용 여부와 인지기능의 관계를 살펴보고,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두 변수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에서 전국 60~79세 지역사회 거주자를 대상으로 직접면접조사를 통해 수집한 2016년 치매이해능력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자로는 522명이 선정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치매 서비스 경험이 있는 노인일수록 인지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을수록 인지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치매 서비스 경험과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치매서비스 이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발견하여 고령자의 치매 및 건강 관련 정책에 주요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제로에너지수준의 그린리모델링을 위한 단열공사의 공사비 예측 모델 개발

        신혜리,이승언,홍은빈,장예은,임지연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21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5 No.6

        This study conducted a cost prediction model that minimizes project risk and enables rational decision-making by predicting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for insulation work. The essential factors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have to evaluate in the early stages of the green remodeling project. Criteria for each building’s semi-performance for green remodeling of zero energy level defined, detailed classification items and standards established, and conditions of five group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semi-performance degree. The prediction model consists of three stages: 1) existing building information, 2) insulation material composition, and 3) construction cost derivation. The construction cost consists of 21 insulation items according to the legal standards of existing buildings, calculates material costs, labor costs, and cost. This prediction model constructed a more substantial construction cost calculation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costs is possible to present an optimal construction cost scenario according to options such as semi-performance, structure, and region during green remodeling.

      • KCI등재

        중고령자의 자기효능감이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장년층과 노년층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혜리,김수경,김영선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for digital health devices by middle-aged and aged groups. We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2019 Korean Senior Technology Acceptance Surve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of the middle-aged had higher score of the intention to use for digital health devices than the group of the elderly. Second, the group of the middle-aged group also had higher self-efficacy than the group of the elderly.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was not significant in the middle-aged group.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in the elderly group had a positive influence. We suggested that the differentiated strategy is needed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igital health devices for middle-aged and ag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fundamental study of digital health devices and suggest the research model including the usefulness, ease of use, and anxiety.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디지털헬스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중장년층과 노년층 집단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9 한국 중·고령자 기술수용도 조사』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T-test 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를 비교한 결과, 중장년층의 이용의도(5.07점)는 노년층(4.86점)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장년층의 자기효능감(7.74점) 역시 노년층(6.21점)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두 연령집단 모두 절반보다 높게 나타나 상당히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령집단별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중장년층의 경우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년층의 경우에는 자기효능감과 이용의도 간의 관계가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년층의 경우에는 디지털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중고령자의 디지털헬스기기 활용 증진을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선제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중장년층과 노년층의 연령집단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령집단에 따른 디지털헬스기기 이용의도 연구의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후속연구로서 유용성, 편의성, 불안 등이 포함된 연구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서울지역 지역난방 사용 공동주택의 연식 및 매매가에 따른 용도별 에너지 사용량 분석

        신혜리,이승언,김유민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22 에너지기후변화학회지 Vol.17 No.2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is one of the important means of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2050. Toachieve carbon neutrality in building sector,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apartment houses, whichare the building type with the largest share of the area and total energy consumption among building types. This studyanalyzed energy consumption according to age which is one of the indicators of energy performance, and the sales priceof the apartment, which is an indirect indicator of income level of occupants, for apartment complexes using districtheating in Seoul. District heating, electricity, and gas energy were divided into five uses: heating, cooling, hot water,cooking, and appliances, and differences of each uses by age and sales price of the apartment were analyzed. Throughthe analysis, the potential of energy reduction was estim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