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철도사상사고의 위험도분석을 위한 효율적인 위험사건 구성방안에 관한 연구

        신형진(Shin Hyoung-Jin),김만웅(Kim Mhan Woong),최양규(Choi Yang Gyu),이장규(Lee Jang kyu),한상복(Han Sang Bok)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11월

        Railway passenger and public, worker typically have high potential of death and injury accident, as they are to be frequently adjacent to train or train operation. In order to reduce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 passenger and public, worker effectively, a systematic risk analysis must be performed to access the hazards that contribute to the accidents. In this study, hazard event are identified for the passenger and public, worker by analysing data from Korea Railroad and Metropolitan Companies that have occurred between the year of 2007 and 2009. The hazard event list produc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sed for the risk assessment of the railway death and injury, A successful risk assessment can be determined by efficiency event composition such as location of event, status of event, type of event, and subject of event.

      • KCI등재후보

        통일교육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성 -대구지역 중학교의 비교연구-

        신형진 ( Shin Hyoung-jin ),박민아 ( Park Mina ),박소윤 ( Park Soyun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9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4 No.-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에서 통일교육 연구학교로 지정된 한 개의 중학교와 이와 유사한 사회 인구학적 배경을 지닌 또 다른 중학교를 표본으로 선택하여 통일교육이 북한이탈주민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성을 ‘사회적 거리감’이라는 측면과 ‘사회 및 경제체제의 합류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측정하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성별, 학년, 가정의 경제적 형편, 보호자의 학력, 북한이탈주민 지인 여부, 보호자 및 친구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등 다양한 변수들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통일교육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및 경제체제의 합류에 대한 인식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에 사회적 거리감은 오히려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통일교육의 효과가 북한이탈주민 수용성의 두 가지 차원에서 서로 상쇄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통일교육을 통해서 통일이 가져다줄 경제적 이익이나 사회통합에 대한 규범적 가치에 대해서는 긍정적 태도를 불러올 수 있지만, 동시에 통일교육을 통해 습득한 북한에 대한 지식이 오히려 남과 북의 이질감을 심화시켜 북한 주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보다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함께 본 연구의 한계 또한 논의 및 결론에서 검토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unification education on accepting attitude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by analyzing the sample drawn from one middle school, which is designated as the Unification Education Research School, and another middle school with similar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in Daegu, South Korea.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accepting attitude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i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of ‘social distance’ and ‘the perception of social and economic integration’. The results from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suggest that unification education positively affects ‘the perception of social and economic integration’ whereas i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distance’ at the same time. This result imply that the knowledge of North Korea acquired through unification education deepens the sense of heterogeneity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s.

      • KCI등재

        하와이 한인 이민 1세의 사회경제적 동화

        신형진(Shin, Hyoung-Jin) 한국인구학회 2016 한국인구학 Vol.39 No.1

        이 논문에서는 미국 미네소타대학 인구연구소(Minnesota Population Center)에서 제공하는 IPUMS-USA의 1910년 1.4% 소수민족 과표집(over-sampling) 자료를 분석하여 기존의 구술사연구와 역사적 자료를 통해 알려진 하와이 한인 이민 1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신뢰할만한 대규모 자료를 이용하여 계량적으로 검증하고 20세기 초반 한인들의 미주 이민 역사를 복원하는 역사인구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또한 신동화이론(new assimilation theory)의 관점에서 사회경제적 동화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초기 하와이 이민자들이 정착과정을 분석하였다. 사회경제적 지위점수(SEI)를 종속변수로 하고 직업, 결혼상태, 거주지역, 그리고 하와이 현지에서의 체류기간 및 영어구사유무 등의 다양한 변인들을 독립변수로 삼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러 변수들을 동시에 통제하고도 가족동반 이민과 농장노동자인지의 여부가 종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투입된 상호작용항을 통해 농촌에 거주하더라도 영어를 구사할 수 있으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승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추론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표본의 대표성이 확보된 센서스 미시자료를 통하여 기존의 연구결과를 검증하는 동시에 선행연구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들을 추가로 관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Utilizing the 1910 US Census Public Use Micro Sample(PUMS) data provided by Minnesota Population Center(IPUMS-USA), this study analyzes family structure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Korean immigrants in Hawaii. From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Korean immigrants at the time were overwhelmingly young, single, and male who migrated to Hawaii circa 1903 as farm laborers- are confirmed. Also, it is inferred from the crosstabulation results that one’s family structure and occupation are closely related. As next stage,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 are applied, and it is revealed that family structure and occupation are two most important variables exer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ne’s SEI even after various factors-such as age, assimilation factors and urban/rural residence- are simultaneously controlled for. This study can be understood as a verification of the findings from existing studies using a large and representative US census microsample data, but some of the findings are new and adds new perspectives to the study of early Korean immigrants in Hawaii.

      • KCI등재

        차세대 재미한인의 통혼유형 분석

        신형진(Shin Hyoung-jin)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3

        본고는 1.5세대와 2세대 재미한인의 통혼유형을 계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차세대 재미한인들의 민족 정체성과 동화 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2000년 미국 센서스 자료를 통혼표에 기초한 대수선형모형과 로지스틱 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이민세대가 늘어날수록, 그리고 모국어의 사용범위가 줄어들수록 차세대 재미한인들이 다른 인종/민족과 결혼하는 경향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이민세대 및 영어구사능력과 같은 동화와 관련된 변인들이 다른 집단 구성원과의 친교 및 결혼과 같이 일차적인 단계에서의 사회적 통합을 의미하는 구조적 동화를 야기한다는 전통적인 동화론의 가설을 경험적으로 지지하는 결과이다. 한편, 교육수준별 통혼유형의 분석에서는 대학졸업 이상의 학력을 갖춘 재미한인들이 가장 높은 족내혼의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최고 교육수준의 재미한인들의 민족문화와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동족내 다른 교육수준별 집단보다 강하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는 분절동화론이 주장하는 선택적 동화 내지는 수용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재미한인들과 같이 교육수준이 높고 민족 정체성이 강한 이민자 집단은 정착사회로의 일방적인 동화를 필요조건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기에 사회경제적 차원에서의 동화 정도와 구조적 동화의 방향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한인 1.5세대 및 2세대의 통혼유형이 재미한인의 장기적 동화과정에서 함의하는 바도 결론에서 아울러 토론하고자 한다. Utilizing 2000 U.S. Census 5% PUMS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intermarriage patterns of 1.5 and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ir marital assimilation and ethnic identity. The result from log-linear models indicates that the endogamy propensity for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for their Chinese and Filipino American counterparts. Also, generational differences in endogamy propensity for Korean Americans are relatively smaller than other Asian groups compared.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ontrolled simultaneously in logistic regression equations that are exclusively focused on Korean American men and women, intermarriage propensities are strongest for English-monolinguals followed by bilinguals and mother tongue-speaking Korean Americans.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a traditional assimilation hypothesis. In the analysis of marriage patterns by educational attainment, however, Korean Americans with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present the weakest tendency for intermarriage. This result can be understood as an aspect of selective assimilation or accommodation where highly educated immigrant group members of strong ethnic identity are socioeconomically incorporated into the host society without the full-scaled structural assimilation. Several other important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브라질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적 맥락

        신형진(Shin, Hyoung-Jin),이채문(Lee, Chai-Mun),이현철(Lee, Hyun-Chul)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미국 미네소타대학 인구학센터에서 제공하는 IPUMS-International 자료 중 브라질 센서스를 활용하여 브라질 한인의 상이한 이민 시기가 그들의 이주와 정착과정에 가지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장 최신 자료인 2010년 브라질 센서스에서 한인들을 추출한 후에 여섯 개의 이민시기별로 인구의 크기, 이민당시의 평균 나이, 시민권자의 비율, 주택소유 현황, 직업 및 종사산업의 분포 등을 비교함으로써 브라질 한인들의 사회·인구학적인 특징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거시적이고도 구조적인 맥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는 구술생애사 등 미시적인 분석에서 관찰된 브라질 한인 개개인이 현지 정착 과정에서 겪은 경험의 차이가 상이한 이민시기로 대표되는 송출국과 유입국간의 관계 및 역사적 배경의 변화 등 구조적 차원의 개입으로 보다 더 잘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가 관련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점은 그 동안 중남미 지역의 한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학술적인 접근이 주로 소규모의 인터뷰나 구술생애사 방법 등을 통해서 미시적인 측면에서 다루어진 한계를 극복하고 대표성이 확보된 대규모의 센서스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브라질 한인의 이주와 정착과정을 구성하는 거시적인 측면의 이해를 확장하는 것이다. Utilizing the micro-sample data of the 2010 Brazilian Census provided by IPUMS-International, our study compar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n immigrants in Brazil by their different eras of immigration. After extracting Korean immigrants from the Brazilian census by six different immigration eras(before the 60s; 60s; 70s; 80s; 90s; post-90s), the size of population, age at arrival, citizenship status, occupational distribution, and other variables are compared side by sid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different historical and macroeconomic contexts, captured by the six different immigration eras, significantly exert influences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immigrants. This study also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iaspora studies mainly based upon historical and qualitative data. In this regard, our study, with an empirical analysis of large representative sample data, suggests a number of importan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immigrants in Brazil.

      • 철도사고 위험도 산정 시스템 적용 효과에 대한 고찰

        신형진(Shin Hyoung Jin),한상복 (Han Sang Bok),윤경철(Yun Gyeong Cheol),허남규(Heo Nam Gyu),김찬수(Kim Chan Soo) 한국철도학회 2011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10

        Rialway passengers and public workers typically have high potential on death and injury accidents because they are to be frequently adjacent to train or train oper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 passengers the public and the workers a systematic risk assessment should be performed to evaluate the hazards that contribute to the accidents.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risk assessment web base system and the extension need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regulation of railway accident report and information in Korea" application for national or railway safety operator sharing railway safety information.

      • KCI등재

        재미한인의 미혼 결정요인 분석

        신형진(Shin, Hyoung-jin)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1

        이 연구는 미국의 인구 모집단에 관한 가장 규모가 크고 가장 최근의 미시표본자료인 2006-2010 American Community Survey Public Use Micro Samples를 이용하여 재미한인의 가구형태에 대한 탐색적 연구와 함께 재미한인들의 미혼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원인들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기혼일 경우와 대비하여 미혼으로 남는 경우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향상이 미혼으로 남을 개연성을 증가시킨다는 가설이 지지되었고, 남녀별로 미혼을 예측하는 변인들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난 기존의 경험적 연구와도 일관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이민 1세대에서 2세대로 넘어 오면서 미혼으로 남을 개연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지만, 한인밀집지역에 거주할 경우 동족인 짝을 찾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해 미혼으로 남을 확률이 낮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거주국에서 이민자 집단이 경험하게 되는 광범위한 태도 및 가치의 변화로 규정할 수 있는 동화과정을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와 개념적으로 연결한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재외한인사회를 대상으로 한 비교가족연구 분야에서 경험적 연구의 축적에 기여하였다는 의의도 함께 지닌다. Utilizing the data of 2006-2010 American Community Survey Public Use Micro Samples, this study begins with descriptive statistics on the household structure of Korean Americans by their immigrant generations. After finding out that the levels of singlehood are dramatically different by nativity- even after age is controlled for- logistic regressions are applied to examine socioeconomic, demographic, and contextual determinants of singlehoo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pport a hypothesis that women of higher socioeconomic status(measured by college education and more, professional occupations, and annual income of over $60,000) are more likely to remain single while men of higher SES are less likely to do so. In line with assimilation theory, the level of singlehood are found to be higher among Korean Americans who were born in the US than their first generation counterparts(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Meanwhile, a hypothesis that living in metro areas where Korean Americans are heavily represented would decrease the level of singlehood (because it will increase the chance of meeting a coethnic marital partner) is not supported. This study adds to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comparative family studies by conceptually linking assimilation processes in a host society and the change in attitude toward marriage from a sending country.

      • 국내 열차탈선 전조 지수 개발 및 적용

        신형진(Shin Hyoung-Jin),장윤석(Chang Yun-Suk),최양규(Cheo Yang Gyu),김찬수(Kim Chan-Su) 한국철도학회 2012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5

        해외철도선진국에서는 열차 탈선과 관련된 전조사건(사고 전 단계 사건)을 관리하고 이를 모듈별, 년도별로 지수화한 열차사고 전조 지수를 모델화하여 이를 열차탈선사고예방에 활용하고, 지수관리를 통해 지속적인 전조사건 관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가 국가에 보고되고 있어 2001년부터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 정보가 철도안전정보종합관리시스템 DB에 관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철도뿐만 아니라 도시철도를 포함한 철도운영현장에서 발생하는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에 대한 2001~2009년간 데이터(철도안전정보종합관리시스템) 분석 및 영국의 RSSB(철도안전표준위원회)의 PIM(Precursor Indicator Model) 사례 조사 및 분석, 국내 전조사건 및 모듈별 건수 데이터 분석, 국내 Precursor Indicator(전조 지수) 모델을 적용하요 사고예방 및 철도안전정책결정 지표로 활용 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An advanced railway nations manage precursor events (events before the accident stage) of being relevant to railway train accident. Within the PIM(RSSB's Precursor Indicator Model), a train PIM is defined as one of the following: Infrastructure failures, irregular working, Public behaviour at level crossings, Objects on the line, SPAD, Trains & rolling stock. In this study, the domestic value of precursor Indicators is applied by analysing railway accident data of Korea Railway, and Metropolitan Companies, which occurred between the year of 2005 and 2009 for protection of the train derailment accident involving event. This study introduces analysis of precursor indicator model for the application to Korea Railway, and assessment process & result, and the application of the PIM putput to train operators in RSSB(UK).

      • 이민자들의 귀화결정 요인

        신형진(Shin, Hyoung-ji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7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7 No.11

        Utilizing the micro sample data of 2010 Brazil Census and the five-years data of American Community Survey(from 2010 to 2014) disseminated by the Minnesota Population Center, this study compares the effects of the same set of variables that are supposed to predict immigrant naturalization in both Brazil and the United States. Also, the immigrants of various national origins in both countries are categorized into seven major groups(European, Latin American, African, Chinese, Japanese, Korean, and Others), and their propensities to naturalize are compared. The results from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suggest that assimilation factors(i.e. age at arrival and length of stay) as well as socioeconomic standings(i.e. education and income) have a consistent effect in predicting the naturalization of the immigrants in both countries. However, gender and national origins have inconsistent effects in predicting the outcome variable. In addition, Asian immigrant subgroups(i.e. Chinese, Japanese, and Korean) display different propensities of naturalization within each host country.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may include considering other individual-level predictors such as family structure, home-ownership, and (il)legal status of immigrants in the analysis. Additional national origin factors- such as political freedom and geographic distance from the origin country-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