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 2 : 섬개야광나무 서식처현황 및 형태적 특성

        신현탁,김용식,유지현 한국환경생태학회 200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 결과 울릉도에 자생하는 섬개야광나무의 자생지를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곳 외에 추가로 탐문조사와 현지조사를 통하여 새로운 자생지 두 군데를 찾아내었다. 현지 조사결과 남양 일몰대는 자생지가 일몰대 부근에 위치하여 사람에 의한 체손이 우려되며, 통구미의 자생지는 자생지의 위치가 산 능선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하고 치수의 생육이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각 자생지에 생육하고 있는 개체는 약 25개체에서 50개체이며, 앞으로 기존의 천연기념물지역을 복원하기 위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섬개야광나무의 형태적 분석결과 꽃의 경우 지역별로 화판장과 화판폭의 차이가 없었지만, 잎의 경우에는 엽장. 엽폭. 엽면적 모두 3개지역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섬개야광나무가 다른 식물과 달리 서식처가 분획화되어 생육하는 지역의 환경적 특징에 의해서 잎의 모습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three wild populations including unrecorded two wild populations and Do-dong population, where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NO 51, of Cotoneaster wilsonii in Ulnung Island were studied. The population at Yilmoldae, western coast of the island is in the threat by the visitors, while the population at Tonggumi is well conserved due to the geomorphologically difficult to access . The existing 25 to 50 maturing individuals are are potentially vital sources fer the island species recovery projects in the future. There are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lor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such as both length and width of the petals, while statistical difference were shown from the leaf characteristics such as length, width and area of the leaves in the three studies areas.

      • KCI등재

        개나리와 미선나무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신현탁,이명훈,김용식,이병천,윤정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10 식물 분류학회지 Vol.40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port the augmented wild populations of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nd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Korea. Forsythia koreana was found in Budong-myeon, Cheongsong-gun, Gyeongsangbuk-do. The overall size of the natural habitat of Forsythia koreana is 5 m × 5 m. A total of 12 individuals were recorded in the wild, and 3 of them were in the seedling stage. The wild habitat is in a secondary forest, which is co-dominated by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and Robinia pseudoacacia L, with 15% coverage. The coverage of the shrub layer is 40% and is dominated by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The natural habitat of Abeliophyllum disitichum, which is recorded in Uisong-up, Gyeongsangbuk-do, is distributed in sites characterized by boulders along streams, with a patchwork of 15 scattered areas over a habitat size of 50 m × 15 m. Quercus variabilis Blume is a dominant species in this habitat, with this species dominating at the sub-tree layer. Celtis aurantiaca Nakai also dominates at the shrub layer. The natural ranges of these two species in Korea were mapped based on the terms of the extent of occupancy (EoO). 본 연구는 개나리와 미선나무의 새로운 자생지의 보고이다. 개나리의 자생지는 경상북도 청송군 부동면에서 발견하였다. 자생지의 규모는 5 m × 5m크기로 12개체가 생육 중이었으며 그 중 3개체는 7−10 cm 정도의 유묘였다. 자생지의 식생은 주로 소나무와 아까시나무가 우점하는 2차림으로 교목층의 피도는 15% 정도였으며, 관목층의 피도는 40%로 조팝나무가 우점하였다. 경상북도 의성읍에서 발견한 미선나무는 하천변에 위치하여, 전석지 혹은 돌이 많은 곳으로, 하천을 따라 15개의 패치(patch)상으로 분포하고 있다. 자생지 크기는 50 m × 15 m로 약 750 m2이며, 교목과 아교목층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관목층은 산팽나무가 우세하였다. 기존의 보고 및 새롭게 밝혀진 개나리와 미선나무의 자생지를 대상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 종보전위원회의 적색목록 평가기준의 하나인 분포역(EoO)를 적용하여 미선나무에 대한 분포역을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 면적은 21,513 ㎢로 산출하였다.

      • KCI등재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 1 : 울릉도 지역의 식물상

        신현탁,김용식 한국환경생태학회 200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16 No.2

        울릉도의 식물상은 총 109과 355속 526종 2아종 89변종 10품종 총 627종류(Taxa)로 파악되었다. 현재까지 보고된 울릉도 식물상은 총 122과 465속 762종 5아종 178변종 21품종 9교잡종 총 975종류로 정리되었다. 울릉도에 분포하는 식물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한반도, 울릉도 및 일본열도 간 식물상을 비교한 결과, 울릉도의 식물은 한반도와 더 유사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울릉도에 자생하는 특산식물을 포함하여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는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관광객의 증가로 귀화식물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외래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울릉도의 특정 생태계나 특산식물을 포함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를 보전하기 위하여 생태계 보전지역 이상의 수준에서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점차 파괴되어 가는 울릉도의 자연생태계를 보호해야 할 것이다. The flora of Ulleung island was summarized as 975 taxa with 122 families, 465 genus, 762 species, 5 sub-species, 178 varieties, 21 forms, and 9 hybrids. This extent of plant diversity of the island ecosystem was modified from the field surveys by the authors adding the number of 627 taxa; 109 families, 355 genus, 526 species, 2 sub-species, 89 varieties and 10 forms, and Considering the aspects of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island, the flora showed much closer to the Korean penninsula than that of the Japanese Archipelago. An action plan including intens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both for habitat and plant to conserve the island ecosystem should be prepared. The naturalized plants is expanding gradually due to the increase of the tourist. The Ulleung island ecosystem should be conserved as the Protected Area, which is enlarged habitat compared with the present legal conservation actions.

      • KCI등재
      • KCI등재

        인공지능(AI)의 법인격 – 전자인격(Electronic Person) 개념에 관한 소고 -

        신현탁 대한변호사협회 201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78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supposed to be treated as a property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law, which, however, may cause many problems. Property is fully controlled by human, but AI is able to acquire autonomy through sensors and/or by exchanging data with its environment and the trading and analysing of those data. Based on such autonomy and physical support, AI can behave independently. For any damages caused by AI, both principles of liability with fault and strict liability are not suitable because of such difference with a property. It is almost impossible that victim proves the negligence of AI. It does not seem fair as well that the owner shall be liable for all the damages caused by AI, even though AI is supposed to behave independently and such use of AI will be flourish. In this regard, the legal status of AI should be newly considered in the world. In this article, the concept of electronic person is scrutinized. First of all, the incorporator of electronic person is to be compensated, but s/he does not need to be necessarily allowed with shares in the electronic person. Rather, the incorporator needs to be allowed with monetary compensation within a designated sum or a designated period, which depends on legislation. The concession theory shall be applied to electronic person. Then, it shall be regarded as an artificial being, existing only in contemplation of law. Thus, any ability of electronic person can be restricted or deprived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government. The theory of legal person, which is established for companies, shall not be applied to electronic person in same way, because the activity of electronic person does not intrinsically represent the extension of the human rights. For the economic activity of AI, the earning of human will be reduced drastically. Decreased household consumption will paralyze market mechanism of capitalistic economic system. The fact shall not be disregarded that AI is using big data, which mainly consist of personal data produced by human. The data subject, human, shall be properly rewarded, and electronic person shall be designed to be able to process to whom to reward how much. The robo-tax is another option. AI의 발전은 향후 많은 사회문제를 야기할 것임에도 불구하고 AI를 단순히 물건으로 취급하는 것은 법적 한계상황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 물건은 전적으로 인간의 지시에 의해서만 구동되지만, AI는 상당한 추론 능력에 의하여 자율적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스로 현실적인 문제 상황에 대처하거나 창의적 능력을 발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AI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한 경우, 종전의 과실 책임주의를 유지한다면 피해자 입장에서 AI의 하자나 관리주체의 주의의무 소홀을 입증하기가 어려우며, 무과실 책임주의를 도입하더라도 AI 소유자 등의 입장에서는 예측 불가능한 규모의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법적 리스크에 노출되면서도 마땅히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일 방법도 없다. 즉, 어떠한 원칙에 의하더라도 AI가 초래할 상황을 규제하는 법질서로서 정당성이 인정되기 어렵다. 현재 EU에서는 전자인격의 개념을 논의하는 중에 있다. 우리나라의 법체계 및 일반적으로 인정된 법이론에 기초하여 전자인격의 개념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전자인격의 설립과정에서 초기비용을 투자한 발기인 등은 일정 기간 또는 일정 금액 범위 내에서 자신의 보수와 비용을 보전받으면 충분하며, 굳이 영속적인 지분권을 인정받을 필요성이나 정당성은 없다. 특히 전자인격이 법인격을 인정받는 근거로는 특허이론에 의하여 국가권력의 창조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며, 기존의 인격체나 법인과 동등한 지위를 인정받을 근거는 없다. 따라서 전자인격의 권리능력, 의사능력, 행위능력은 모두 사회적 필요성이나 현실적 요소들을 반영하여 사회상황에 맞게 제한되어야 하고, 윤리규범에 맞추어 설정되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능력이 박탈될 수 있다. 전자인격의 경제활동과 관련하여 인류의 소득감소가 큰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바, 전자인격의 소득이 인류의 소득으로 환류될 수 있는 체계가 확보되어야 한다. AI는 인간이 발생시키는 개인정보를 빅데이터로 활용하는 것이므로 정보주체인 인간에게 개인정보 사용에 대한 정당한 대가가 보장되어야 하며, 이러한 데이터 경제의 시스템화를 통하여 시장 자본주의 체제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자인격은, 개인정보의 대가를 정보주체에게 지급할 수 있도록 데이터 분석기능이 설정되는 것을 전제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이사의 의무위반과 경영판단원칙에 관한 미국의 판례법리 연구

        신현탁 한국경영법률학회 2021 經營法律 Vol.31 No.2

        In the American corporate law, the review standard in determining whether director’s action is consistent with his/her fiduciary duty has been established by the court cases. This article focuses on introducing the Delaware case law. Apart from the conduct standard, the standard of review requires only gross negligence to trigger the director liability. Nevertheless, court cases sometimes found the directors with simple negligence to be liable without applying the business judgment rule (BJR), which made directors much vulnerable to the liability for the breach of the fiduciary duty. This trend of the courts is fully under- standable. The basic frame of the review standard, which allows the directors with powerful protection of BJR, is based on a simple dichotomy while the reality is so diverse that the courts may feel difficult to pursue justice with such extreme measure. The dichotomous approach might have been useful in the past for the market participants to comply with the fiduciary obligation, but it is getting more difficult to provide an exquisite tool for the legal analysis. Evolution was inevitable. The exculpation defense under the DGCL § 102(b)(7) is decided to be an affirmative defense, which requires the director to disprove all of the breach of the duty of loyalty and good faith. The courts found that a going private offer by a majority stockholder is inherently coercive, and business judgment rule cannot be applied even if a special committee or a majority of the minority vote allowed the transac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courts are struggling to restore the economic justice against the old fashioned prerogatives. 미국 회사법은 이사의 의무위반 책임을 판단하는 심사기준을 판례법리에 의하여 구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주의의무 위반사안에서는 이사에게 미필적 고의에 가까운 정도의 중과실이 없는 한 경영판단의 원칙(Business Judgment Rule)을 적용하여 이사가 의무를 위반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하고, 자기거래 등의 충실의무 위반사안에서는 완전한 공정성 기준(Entire Fairness Standard)이 적용되어서 이사가 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추정한다. 다만 이와 같이 극단적인 흑백논리적 추정을 활용하는 심사기준의 기본틀은 회사제도 발전과정에서 시장참여자들에게 규범을 인식시키고 내재화할 목적으로는 유용하였지만 현대적 시민사회에 이르러서는 정교한 법리체계를 형성하기 어렵게 발목을 잡는 과도하게 단순화된 이분법적 방식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시대흐름에 부합하는 구체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판례법리를 형성해야 할 역할을 부여받은 법원의 입장에서는 이분법적 심사기준의 기본틀에서 정교한 법리를 형성하기도 어렵고 종전의 기본틀에서 동떨어진 혁신적 판례를 만들기도 곤란하였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원은 심사기준의 기본틀은 유지하되 세부적인 다양한 조정을 시도함으로써 구체적 타당성을 추구해왔다. 중세유럽 봉건시대의 영주가 자신의 영토 안에서 왕권 자제의 특권을 누릴 수 있었던 것처럼 현대 미국의 이사는 경영판단 원칙의 강력한 보호에 의하여 사법 불개입의 특권(prerogative)을 누렸으나 이러한 법현실은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에 법원은 경영판단 원칙의 소극적 요건으로서 중과실(gross negligence) 기준을 내세우는 한편 단순과실에 불과한 경우에도 의무위반이 인정된다고 판시함으로써 사실상 경영판단 원칙의 적용범위 자체를 대폭 축소하였다. 나아가 이사가 정관상 면책규정에 의한 보호를 주장하려 하더라도 이를 적극적 항변사유라고 판시함으로써 일체의 충실의무 및 신의성실 위반책임이 존재하지 않음을 입증해야만 궁극적으로 주의의무 위반책임을 면제받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사의 주관적 동기를 문제삼아서 악의적으로 불성실한 동기가 있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신의성실 위반(bad faith)을 소극적 요건으로 인정할 수 있으며, 그동안 무의미한 요소로 간주되었던 비이성적 판단(irrationality) 개념 역시 판례에서 구체화된 회사자산낭비 기준(waste standard)을 활용함으로써 적용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자기거래 등의 충실의무 위반사안이라서 완전한 공정성 기준이 적용되어야 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당해 거래의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특별위원회 및 소수주주의 과반수에 의한 승인을 얻는다면 경영판단의 원칙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위 이중장치 중 어느 하나만을 얻은 상황에서도 경영판단의 원칙이 적용될 수 있다는 일련의 판례들이 있었으나 법원은 그러한 경우 회사내부 구조적으로 강압성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독립적인 판단을 기대하기 곤란하다는 경험칙을 새롭게 인정하면서 경영판단 원칙의 적용을 배제하였고 다만 입증책임은 전환될 수 있다고 정리하였다. 법원이 사회경제적 현실의 변화에 따라서 경험칙도 바뀌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