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바이스 유형을 고려한 온라인 멀티 채널 마케팅 효과 및 채널 전환 분석

        신하정,남기환 한국경영정보학회 2018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1

        다양한 디바이스 유형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등장으로 고객별 온라인 환경에서의 탐색 및 구매 행동은 더욱 세분화되었다. 하지만 디바이스의 UI(User Interface)와 UX(User experience) 특성을 반영하여 구매 여정에서의 멀티 마케팅 채널 효과와 채널 전환 행태를 고려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고객의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활용 하여 디바이스 유형을 고려한 방문 및 구매 흐름 과정을 제안한다. 고객이 선호하는 디바이스 유형을 구별하고 유입 채널 종류별 방문을 증진 시키는 디바이스 유형을 분석하였다. 구매 단계에서는 Affiliates 채널, Direct 채널, Price comparison 채널을 활용할 때 수익을 높였다. 고객의 과거 누적 경험과 채널 전환 행태를 분석하여 방문 및 구매 수익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구별하였다. 따라서 온라인 소매업체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디바이스 유형에 따른 멀티 채널 환경에서 고객의 의사결정 과정을 보다 잘 이해하고 최적의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디바이스 유형을 고려한 온라인 멀티 채널 마케팅 효과

        신하정,남기환 한국경영정보학회 2018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0 No.4

        다양한 디바이스 유형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등장으로 온라인 환경에서 고객들의 탐색 및 구매 행동은 더욱 세분화 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고객 구매여정에서의 마케팅 채널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드러나는 UI(User Interface)와 UX(User Experience)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글로벌 쇼핑몰의 대규모 클릭스트림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고객들의 유입 채널 효과를 분석하였다. 온라인 쇼핑을 활성화 시키는 디바이스 유형을 구별하고, 디바이스 유형에 따라 방문을 증진시키는 유입 채널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고객의 과거 쇼핑 누적 경험과 유입 채널 전환 행태를 통해 방문과 구매액 미치는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판별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고객이더라도 디바이스 선택에 따라 활용하는 마케팅 채널이 달라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온라인 소매업체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디바이스 유형을 고려하여 멀티 마케팅 채널 환경에서의 고객 의사결정과정을 더욱 잘 이해하고 최적의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실제 글로벌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얻어진 유의미한 결과를 기반으로 경영학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계량 경제 모델을 활용하여 의미 있는 이론적립에 학문적으로 기여한다. 실제 온라인 쇼핑 마케팅 담당자들이 시도할 수 있는 전략적 통찰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

      • KCI등재

        해외 자회사 내 지식 공유 촉진자로서의 현지 직원의 문화지능에 관한 연구: 다중매개모형 분석

        신하정,박용석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4 동서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현지 직원에 내재하는 지식의 전략적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현지 직원의 문화지능이 그들의 지식 공유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연구하고자 했다. 사회 정체성 이론을 기반으로 현지 직원의 문화지능과 지식 공유의 관계에서 (i) 주재원 – 현지 직원 간의 관계와 (ii) 현지 직원의 조직 동일시가 갖는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가설화했다. 한국에 위치한 16개 해외 자회사의 414개 한국 현지 직원의 응답을 기반으로 가설 모형을 검증했다. 구조 방정식 모델을 검증한 결과, 현지 직원의 문화지능은 주재원 - 현지 직원 간의 관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며, 주재원 - 현지 직원 간의 관계는 현지 직원의 조직 전체에 대한 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지 직원의 조직 동일시는 해외 자회사에서 그들의 지식 공유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지 직원의 문화지능과 지식 공유의 관계는 제시된 두 매개변인에 의해 완전 매개됨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주재원에 치중되어 문화지능을 탐구한 기존의 지식 경영 연구들과는 달리 문화지능의 효능을 현지 직원의 관점에서 설명한다는 것에서 기여점이 있다. 또한 주재원과 현지 직원 간의 다문화 업무 환경에서 현지 직원의 지식 공유가 촉진되는 과정을 완전매개모형을 통해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s the strategic importance of knowledge that resides in host county nationals (HCNs) increases, this study begins with the motivation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HCNs’ cultural intelligence (CQ) as a prominent promoter of their knowledge sharing. Drawing on social identity theory, we hypothesized a serial mediation effect of (i) relationship between HCNs and expatriates, and (ii) HCN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e empirically tested the model with 414 responses collected by HCNs working for 16 foreign subsidiaries in Korea.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 that high CQ of HCN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xpatriates and HCNs. Th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ies is found to facilitat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HCNs. Lastly, it was shown that HCN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active knowledge sharing within foreign subsidiaries. Moreover, we found that the impact of HCNs’ CQ on their knowledge sharing is fully mediated by two suggested mediator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investigating the role of CQ in knowledge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HCNs, rather than following extant studies that give more focus on expatriates. We also proposed the full mediation model that identifies the process by which HCNs’ knowledge sharing is promoted in a multicultural work environment.

      • KCI등재

        지각된 원재료 오염도가 업사이클링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가격 공정성과 친환경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조단비,신하정,김은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5 No.2

        업사이클링 제품은 버려지는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높은 친환경적 가치를 인정받고, 또 기존 제품보다 높은 가격에 판매되는 경향이 있는 제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업사이클링 제품에 대해 지각하는 가격 공정성이 친환경적 가치만큼이나 구매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또한 업사이클링 제품의 원재료인 폐기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제품에 대한 가격 공정성 및 친환경성에 부적 영향을 미쳐 구매의도가 감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 1에서는 참가자들이 업사이클링 제품의 원재료에 대해 지각하는 오염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가격 공정성 및 친환경성 지각 감소가 이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2에서는 노스텔지어가 지각된 원재료 오염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집단 간 원재료(폐기물)의 오염도롤 다르게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재료의 오염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노스텔지어 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재료의 오염도가 낮은 집단에서만 노스텔지어가 활성화됨에 따라 업사이클링 제품의 가격 공정성과 친환경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업사이클링 제품 광고에서 원재료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때로 소비자의 지각된 원재료 오염도를 통해 역효과를 낳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업사이클링 제품에서 친환경성만큼이나 가격 공정성이 중요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 노스텔지어 활성화가 친환경성과 가격 공정성 지각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Upcycling products are recognized for their eco-friendly value in that they create new value by recycling waste that would otherwise be discarded, so they tend to be sold at higher prices than conventional produc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that consumers’ perceived price fairness of upcycling products can play as an important role on purchase intention as their environmental value. We also expected that negative perceptions of waste as a material for upcycling products would transfer to the product, and would negatively affect price fairness and eco-friendliness, resulting in decreased purchase intention. In Study 1, we found that contamination perception of material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urchase intentions for upcycling products, and that this relationship was mediated by reduced perceived price fairness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In Study 2, we sought to determine whether nostalgia moderate the negative effects of perceived contamination, manipulating perceived contamination of the material (waste) between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high contamination group, but only in the low contamination group did activated nostalgia enhance perceived price fairness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of upcycling produ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senting raw materials of upcycling product together in advertising can sometimes backfire through consumers’ perceived contamination. It also suggests that price fairness may be as important as eco-friendliness in upcycling products, and that activating nostalgia can increase both eco-friendliness and price fairness perceptions.

      • KCI우수등재

        근로환경이 근로자의 수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하영(Hayoung Choi),김시영(Siyoung Kim),신하정(Hajeong Shin),조교영(Gyo-Young Ch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0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1 No.5

        수면장애는 다수의 많은 사람들이 겪는 질환 중 하나이고, 수면 부족은 건강에 치명타가 된다. 이에 따라 수면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수면건강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근로환경이 임금 근로자의 수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그 효과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면 상태에 대한 비율에서 성별간의 차이는 작았고, 60대와 50대에서 특히 수면상태가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근로 환경을 직속상관 태도, 근무 형태, 신체적 노동, 정신적 노동, 하루 평균 근무 시간, 출퇴근 시간의 6가지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임금 근로자의 수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신체적 노동, 근무형태, 직속상관태도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신체적 노동과 직속상관 태도, 정신적 노동의 경우 긍정보다 보통이, 근무 형태의 경우 그렇다보다 아니다가, 하루 평균 근무 시간의 경우 8시간미만 보다 8시간이, 출퇴근 시간의 경우 30분미만 보다 30분 이상 60분미만이 수면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할 확률이 높았다. 적당한 신체적 노동과 일정하고 안정적인 근무 시간, 요일이 수면건강에 큰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가 근로자의 수면건강을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Sleep disorders have become one of the many diseases that many people suffer and lack of sleep is a fatal health condition. Accordingly, as the importance of sleep has recently emerged, social interest in sleep health has increa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working environment affects the sleeping health of wage earners and the extent of its effects.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was small in the ratio of sleeping conditions and the sleeping conditions were particularly unstable in the 60s and the 50s.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six characteristics: supervisor attitude, work form, physical labor, psychological labor, average working hours per day, and commuting hours. As a result, the impact on the sleep health of wage workers was large in order of physical labor, work form, and supervisor attitude. Not excessive physical labor, constant and stable working hours, and days of the week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sleep health.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policy data for workers’ sleep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