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0년대 신문기사를 통해 본 한국 미혼모 보호사업과 미혼모의 사회적 재현 변화 연구

        신필식(Shin, Philsik)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혼모 경험 형성기이자 관련 제도 도입기인 1970년대 미혼모 보호사업의 형성 과정과 미혼모에 대한 기사 재현 분석을 통해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 과정을 살피는 것이다. 1970년대 미혼모 보호사업은 70년대 초반, 정부가 약속한 미혼모에 대한 공적 보호사업 확대가 이뤄지지 않은 채 미혼모 상담사업이 확장되면서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고, 70년대 후반 점차 미혼모 보호사업은 본래의 목적인 미혼모 모성보호 성격을 상실하고 후반에 갈수록 아동보호사업과 구분되지 않는 양상으로 특히, 입양 상담사업과 동일시되었다. 미혼모 재현에 있어서는 1970 년대 초반 미혼모들은 위태롭기는 하지만 출산에 이어지는 어머니됨의 경계에 선, 어려움에 처한 어머니로 재현되었다. 반면 1970년대 중반 미혼모는 여공에서 더 나아가 아이를 버린 비정한 미혼모로 재현되었고, 1970년대 후반은 미혼모 재현 자체가 거의 이뤄지지 않거나 짧게 구호의 대상으로만 등장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the institutional protection system formation for unwed mothers and the social recognition of unwed mothers with newspaper articles in 1970s. Without expansion of the government’s promised public protection for unwed mother, unwed mother protection programs had to encounter limitations. As a result, unwed mother protection programs had lost their own purpose for unwed mother’s maternity protection and were identified with the adoption counseling programs. In the representation, unwed mother of early 1970s had maintained their maternal status as a mother in distress before and after of getting pregnant and giving birth in border of motherhood. In the mid-1970s, unwed mothers were represented as mother who gave birth but gave up a baby, and furthermore ‘abandoned’ their children. In the late 1970s, the number of unwed mother related articles became relatively rare and the represented images had become a symbol for social help, and a metaphor of women who were excluded as the social others.

      • KCI등재

        한국 해외입양 아동과 친생모의 이산 과정, 그리고 젠더화 된 고통

        신필식(Shin, Phil-sik)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해외입양 아동이산의 이면에 가려져 왔던 친생모의 고통에 다가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친생모가 자신의 자녀를 해외입양으로 떠나보내기로 결정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갈등과 슬픔, 고통은 지금껏 많은 경우 아동복지적 관점에서 가족찾기 목적으로 이루어진 입양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여성학적 해외입양 친생모 연구로서 본 연구를 통해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다섯 사례 해외입양 친생모의 이산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해외입양 친생모들이 겪었던 슬픔과 고통이 아동이산의 이면에 맞닿아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외입양 친생모들이 겪었던 아픔과 고통 속에는 당시 가부장적이고 부계 중심적 젠더 간 불평등 구조에 내재한 모순이 곳곳에 작용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the pain of birth mothers who have been hidden behind children diaspora of korean intercountry adoption. The conflict, sadness and pain of birth mother in the process of decision to send her child for international adoption and accepting the separation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adoption researches, which have been mainly restricted to the purpose of family search in a child welfare perspective. In this study as a feminist approach birth mother of intercountry adoptee, it is found that the grief and pain of birth mother were connected just to the diaspora of children through the five diasporic cases of korean international adoption from 1950s to 1990s. Furthermore, research shows partriarchal contradiction embeded in a gendered and patrilineal male-dominated social structure effected on the suffering and pain experienced by birth mother of intercountry adopt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