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사 능력 개발을 위한 교사 평가 체제 탐색

        신통철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2008 公州敎大論叢 Vol.45 No.2

        The author reviewed much of research articles both in teacher development / supervision and in teacher evaluation. In result, some school districts or scholars, define teacher supervision and evaluation as the same function both in policy and in practice. Many districts make a distinction between teacher supervision and evaluation in policy but end up using the exact same procedures for both functions. Teacher evaluation is an organizational function designed to make comprehensive judgements concerning teacher performance and competence for the purpose of teaching improvements and teacher accountability. Teacher supervision / development is an organizational function concerned with promoting teacher growth, which leads to improvements in teaching performance and student learning gain. As Sergiovanni and Starratt(1993) suggest, evaluation establishes an individual teacher's right to enjoy continuing membership in a given school community and supervision helps that teacher to exercise personal responsibility to promote continuing growth in that particular community. Both functions are essential, but they differ significantly in terms of purposes, rationale, data sources, teacher perspectives. Although supervision and evaluation are separate functions, they can be used together as powerful, complementary teacher supervision and evaluation system. 교사 평가 체제 구안을 위한 예비적 시도로 미국을 위시한 선진국의 연구 동향을 검토하고, 그 결과 우리 교육실제에서 수용 가능한 것을 판단한다. 특히 교사 평가 목적에 따라 평가 방법과 절차의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평가를 위한 자료 수집 원천, 방법 또한 차이가 있고, 결국 다원(多元) 평가 자료의 󰡐체제적(systemic)󰡑 이용 방법을 제안한다. 다른 한편, 교사의 교수 행동과 학생의 성적과의 상관 연구, 관찰과 면접 등의 방법 등을 이용한 소위 ‘효과적 교사’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다면(多面) 평가 내용 구성의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평가 절차의 결과는 결국 평가 목적에 타당한 정보로 이용된다. 교사 평가 정보는 교사의 능력 개발 혹은 장학과 통합되어 이용되어야 함을 강조할 뿐 아니라 체제적 관점에서 장학과 평가 두 영역이 상보적 관계로 구축되어야 한다.

      • 현직 교사 교육의 동향과 과제

        신통철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6 公州敎大論叢 Vol.33 No.2

        앞서 살펴본 현직 교사교육의 목적,내용,방법에 비추어 우리 실제를 진단해 볼 수 있 다. 우선 우리의 현직 교육의 방향은 막연한 가정으로 훈련과 교육의 대상인 현직교사를 어느방향,어느 수준 등이 분명치 않기 때문에 시간,비용,노력이 소모되는 비경제성이 특징일 수밖에 없는 듯하다. 더욱이 직전의 그것과 연계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고 보 면 자연히 과거에 직전기관에서 배운 것을 잃었거나 소멸했을 것이라는 가정으로부터 그 것의 방향(목적)을 재교육 또는 재훈련(retraining)으로 규정하는지도 모른다. 결여모형에서든 성장모형에서든 우리 실제와 비슷한 형태의 현직교육은 발견될 수 없음 을 알 수 있었다. 어느 입장에서건 직전과 현직교육의 연계,나아가 직전과 차이 있는 현 직교육의 목적설정이 시급한 형편이다. 현직교육의 방법에서도 상당한 혁신을 시도해야 된다. 성인 학습자로서의 교사 특성을 확인하고 그들에 걸맞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반성적 교수(reflective teaching), 집단과정의 여러 방법,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 마이크로 티 칭 (micro teaching), 감수성 훈련(sensitivity training) 등의 각종 방법에 연한 연수가 시급한 실정이 다. 현직교사 훈련과 교육의 종국적인 방향은 자기 주도하에 전개되는 자기적인(self-directed) 어떤것이어야 한다. 이렇게 보면 자기 진단과 평가의 여러 지식과 기능이 요구됨을 알 수 있 다. 직업 현장에서 문제를 찾아,외부의 도움을 받든 자율적으로 해결하든 소위, 문제해결 방향 으로 그것의 방향이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내 장학이나 연수, 연수기관에서의 훈련 등의 문제가 체계적으로 조합될 필요가 있다. 소위,직업 현장에서의 훈련(on the job training)과 연수기관이나 교원단체와 같은 직업 밖에서의 훈련(off the job training)이 체계적으로 일관성 있게 조정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소위, 초임교사(begining teacher)훈련의 문제가 비교 적 장기간의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제도화되어야 할 필요가 절실하다. 시작단계에서 어떻 게 훈련되었느냐의 문제는 교사자신의 전 생애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효과적 교사 연구와 수업 모형과의 관련 : 직접수업과 간접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신통철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2

        많은 실험적 수업 프로그램의 실제 운용을 통해서 학생 성적 향상과 높은 상관있는 `효과적 교사”의 주된 행동을 발견한 연구 결과를, Bloom의 인지 영역의 교육 목표에 비추어, 낮은 수준의 인지 능력의 학습을 표적으로 한 직접 수업과 고급수 준(higher-order)의 간접 수업 모형을 통해서 상호 관련 요소를 검토하고, 이를 교사 자격화 과정의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 용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일차적인 관심을 둔다. 이들 연구결과에서 간과 된 주요 영역으로 교사의 교실관리 행동을 지적한다.

      • 학교 조직 환경 이해를 위한 체제 모형 구안

        신통철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0 公州敎大論叢 Vol.46 No.2

        학교 조직 환경을 학교 내적 환경과 학교 외적 환경으로 경계해서, 외적 환경의 주요 요소들이 학교조직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한다. 학교 조직의 궁극적인 생산성을 학생의 학업성적과 교사의 교수 효과(teaching effectiveness)로 나누어 볼 때, 이들 문제는 단위 학교의 책무성 뿐 아니라 학교의 외적 환경의 영향도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제안된 모형은, 충분히 설명하고 있다. 요컨대, 학교 환경의 종합적인 이해는 학교 조직의 성과, 학생의 학습과 교사의 교수 효과를 합리적으로 판단하는데 선행 조건임을 전제할 수 있다. The author have to try to construct the school environments model. The school environments have changed dramatically since 21st century, partly in response to different need in diverse education communities environments, partly due to a change in educ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nd partly in response to advances in theories in question. These changes are so dramatic that many argue they constitute a new paradigm of schooling, which requires a new paradigm of schooling theory. Schools are open systems and depend on exchange, with environmental element, to survive. Multiple environmental influences come from different levels of society and affect what happens in schools. The author view the different levels of society that influencing the school organization are school/education districts, national education governance, societal ideologies and dominant structures.

      • 교사능력 개발 환경의 탐구

        신통철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2 敎育論叢 Vol.49 No.1

        교사 행동과 학생 성적과의 관계 연구, 이를테면 `효과적 학교” 연구 결과에 기초한 기본적 가정은, `교사가 학생을 차이 있게 만든다.” 의 경구로 표현되고 있다. 여기서 교사 능력 개발의 문제가 현안으로 부상되고, 이들이 일하는 기관, 조직, 곧 학교의 개선, 일신(renewal)과 같은 조직 개발이 동시에 연구의 관심사로 부상한다. 전자는 교사 능력 개발, 최근은 전문가 개발로, 후자는 `학교 역량 개발”로 연구된 결과를, ‘교사 능력 개발 환경’ 주제 하에, ‘개발’을 위한 환경의 개념화를 제시 한다. 특히,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교사 교육자의 역할 등을 검토한다.

      • 교사 능력 개발을 위한 ’차이 장학’ 체제의 이해

        신통철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8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8 No.1

        효과적 학교 연구에서 교사의 능력 개발을 위한 노력을 제도화한 것으로 장학 서비 스를, 이것은 교사의 인지 발달 수준을 고려한 장학 스타일, 곧 지시적, 협력적, 비지 시적인 것으로 요약되는 것과 장학의 옵션, 이를테면 일상적 장학, 동료 장학, 개별 장 학, 비공식적 장학 등을 교사의 능력 수준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소 위, 차이 장학 체제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author reviewed the recent developments of teacher development and supervision research. According to, the teachers' cognitive development, moral development and their learning styles supervisory services should be provided adequately. In contingency view Glatthom(1984) proposed the "differentiated supervision' system. The differentiated supervision have been developed that supervisory styles and options, could be selected in harmony with teachers learning styles. Typical supervisory styles (e.g., directive, collaborative, non-directive) and options (e.g., individual, peer/collegues, clinical, inquriy-based) should be considered concomittantly to teachers developmental stages. In sum, the author believe that the differentiated supervision system can provide the effective supervision services to our school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