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계화과정속에 나타난 한글의 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신청우 ( Chung Woo Sh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한글은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에 의해 과학적으로 설계되어 처음부터 완성된 형태와 표현 원리를 가지고 창제되었다. 한글은 당시 한자 영향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한자의 조형 감각과는 완전히 차별화된 새로운 조형감각과 과학적인 원리에 바탕을 둔 독창적인 글자이다. 그러나 이러한 한글의 형태는 여러 가지 역사적인 과정에서 다른 모습을 보이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기계화과정에서의 한글은 창제 당시의 조형의식과는 다르게 일본 기술에 의해 주조되거나 서구의 기계나 기술에 한글을 끼워 맞추는 식의 개발이 되면서 창제 당시의 조형 원리와는 다르게 변질되었을 뿐 아니라 한글 타이포그래피와 한글 디자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져오게 하였다. 본 연구는 한글 창제 당시의 한글의 조형성과 표현 원리를 살펴보고 한글의 역사적 변천 과정속에서 기계화 과정을 크게 근대 새활자, 원도활자와 사진 식자체, 한글 타자기 서체, 한글 디지털 서체 등으로 분류하여 기술적 발전에 따라 한글이 기계화하는 과정의 기술적 특징과 한글의 조형적 특징과 표현의 변화 문제점 등을 분석하였다. 기계화과정에서의 한글의 형태변화는 외래 기술에 적용하는 의존적인 모습이었고 명조의 균형과 통일감을 찾아가는 과정이었으며 기계화의 특성에 따라 탈테모틀의 형태로 제작되기도 했다. 한글의 기계화과정에서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채택한 한글의 형태는 주로 사용하기 편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것들이었으며 균형있는 형태를 선호하였다. 따라서 한글의 기계화는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한글의 구조와 특성, 원리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Hangul was scientifically designed by King Sejong and Jiphyeonjeon scholars and made with perfect types and expression principles from the beginning. Despite the effects of Chinese characters, Hangul is the very unique character based on new formative senses and scientific principles totally differentiated from Chinese characters` formative senses. However, such a type of Hangul has gone through the different aspects of process in many historical process. In particular, Hangul in mechanization was made by Japanese techniques unlike the formative consciousness of that time or developed by fitting it into the Western machines and techniques, so it was changed differently from the initial formative principle and brought about various problems in Hangul typography and design. This study looked into forms and expression principles when Hangul was created and analyzed technical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expression changes, and problems in the process of Hangul`s mechaniza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development by dividing the mechanization process in the historical changes of Hangul largely into the modern new type, the original drawing type, the photo typesetting type, the Hangul typewriter type, and the Hangul digital type. In mechanization of Hangul, usual forms of Hangul that many people chose were mostly reasonable and economical which were easy to use, and people prefer balanced form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mechanization of Hangul to consider structures, characterestics, and principles of Hangul in order to make users use easily and conveniently.

      • KCI등재

        인터넷신문과 종이신문의 디자인특성 분석

        신청우(Chung Woo Shin) 한국기초조형학회 2001 기초조형학연구 Vol.2 No.1

        Recently, the media have changed not only in quantity, but also in the whole structure in terms of quality with the appearance of new media. Traditional media, such as newspaper, broadcasting and publishing, are consolidating towards digital environment. With the consolidation of medial channels, the traditional one way communication is changing into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Now the media are developing tremendously, becoming the core of new information society, not just a way of communication. `Internet newspaper` and `Newspaper` are similar in contents but different in on-line and off-line basis. Here I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design of the two type of newspapers.

      • KCI등재후보

        전통적 한글 캘리그래피의 현대적 발현에 관한 연구

        신청우(Shin Chung Woo)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4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동양의 전통적 캘리그래피(Calligraphy)는 디지털 환경이 우리의 보편적인 환경이 된 이후 더 이상 접하기 힘들어졌을 뿐 아니라 거기에 담겨져 있는 동양적 정서를 이해하기란 더더욱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한글 캘리그래피는 그 범위를 빠르게 확장시키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영화 포스터의 타이틀디자인 포장디자인 책표지 앨범 재킷 지면광고 영상광고 등 뿐 아니라 패션이나 인테리어 환경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디자인분야에서 캘리그래피가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동양의 전통적 캘리그래피의 변천 과정을 알아보고 최근의 한글 캘리그래피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표준화와 획일화를 지향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감성적 교감 자연의 편안함 회화적 표현과 이미지와 디자인과의 조화 등 최근의 한글 캘리그래피를 분석하고 그 발전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The traditional Calligraphy of the East that has occupied a very important position could not be contacted any more since there was wider acceptance of digit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would be impossible for us further to understand the Oriental emotion of Calligraphy. However recently we can find out that Korean Calligraphy extends its range rapidly and easily. Calligraphy is widely used in the whole filed of design from the title design package design book cover album jacket paper advertising and image advertising etc. to fashion interior and environmental desig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al process of such traditional Calligraphy of the East and grasp the situation of recent Korean Calligraphy.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Korean Calligraphy like emotional communication ease of nature pictorial expression and harmony with image and design etc. in the digital environment aimed to the standardization and regimentation.

      • KCI등재

        신문디자인의 변화요인 분석

        신청우(Chung Woo Shin) 한국기초조형학회 2000 기초조형학연구 Vol.1 No.1

        Everyone knows that the present is new media era.In the new multi-media era that is highly competitive, the role that daily newspaper design needs to play is to enhance the product quality which enables an approach to the readers who do not subscribe the papers. Therefore, importance of design is on the rise and will become crucial strategy for marketing. In 21st century, the future of newspaper depends on re-establishing the identity of newspaper itself, widely the identity of journalism that includes social, cultural change of new media era.Therefore, in the new multi-media era this paper analyses changing factor of newspaper design such as new media, interactive communication, contents, 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newspaper as journalism.

      • 인터넷신문 사이트의 디자인평가모델

        신청우 한국기초조형학회 2002 기초조형학연구 Vol.3 No.2

        인터넷이라는 뉴미디어는 짧은 시간에 양적인 측면에서 엄청난 증거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는 미디어 구조 자체를 완전히 뒤바꿔놓았다. 하지만 빠른 양적인 증가는 디자인의 측면에서 볼 때는 기존의 미디어에 비해 많은 디자인의 원리들이 무시되었고, 또한 새로운 미디어의 특성에 따른 디자인 원리들이 필요하게 되었지만 아직 그러한 원칙들은 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수많은 인터넷 사이트 중에서 비교적 많은 정보를 다루고 있고, 편집디자인이라는 측면에서 객관성을 가질 수 있는 인터넷 신문사이트들을 평가할 수 있는 디자인 평가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New media like internet has changed media structure itself completely in the aspect of quality as well as has brought excessive increase in the aspect of quantity during short time. But as for the rapid increase in quantity, a lot of principle of design was disregarded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dia in the aspect of design. Also, the principles of design nee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but it is the fact that those principles did not establish yet. Accordingly this study is a presentation model about design analysis that can analyze the internet newspaper sites. This is to deal with a lot of information relatively among many internet sites that can get objectivity in the aspect of editorial design.

      • 디지털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연구

        신청우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미술연구소 1999 産業美術硏究 Vol.15 No.-

        Since 1980s, due to the wide spread of computer, publishing by computer design process is actively used and digital font is vigorously developed. Change by computer use, extention of domain of expression provided designers unlimited possibility demanding freedom and challenge and designers forget technical limitation to express their idea. This research inspected the background of growth of typography and editorial design field drastically changing with the spread of computer.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d new style of digital typography as well as pursue the possibility of progress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digital font and special character of technical expression with DT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