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주 탑평리 황새머리 백제고분군의 양상과 그 의의

        전혁기,신지향 고조선단군학회 2023 고조선단군학 Vol.51 No.-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architecture and funerary objects of Baekje tombs, centering on exploring the Hwangsaemeori ancient tombs nestled in Chungju Tappyeong-ri. With a foundation rooted in archaeological discoveries, it also aims to shed light on the period when Baekje expanded into and established its presence in the Chungju region. In Hwangsaemeori burial mound, the excavation has brought to light stone chamber tombs and stone-lined tombs. Remarkably, these tombs belong to the Hanseong-Baekje era and have been uncovered in this area for the first time. The stone chamber tombs exhibit square or rectangular forms featuring arch-shaped ceilings, reminiscent of the Songsan-ri and Suchon-ri architectural styles discovered along the Han River, Miho River, and Geumgang River Basins. The stone-lined tombs have corners that alternately embrace a rounded or right-angled articulation. The construction style of these tomb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distinct types based on the materials used: cut stones and oddly-shaped stones, flat cut stones and small flagstones, and large flagstones and oddly-shaped stones. The evolution in shape is eloquently portrayed as the corners transition from rounded to right-angled,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shift from utilizing cut stones and oddly-shaped stones, through flat cut stones and small flagstones, culminating in the large flagstones and oddly-shaped stones. The funerary objects consist largely of jars and cups. The jars are mostly paddled patterns. Notably, one long-necked jar with a wide rim, embodying a central style, was discovered. Straight-necked jars were not found. In contrast, mounted cups and flat cups were unearthed in significant quantities. These ancient Hanseong-Baekje tombs unearthed in the Chungju region are estimated to have been constructed during the late 4th century through the mid 5th century. Importantly, they offer invaluable insights into the timeline of Baekje's territorial expansion into the Chungju area, thus contributing to our understanding of this historical progression. 본고는 충주 탑평리 황새머리 고분군을 대상으로 구조와 부장유물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백제의 충주지역 진출과 점유시기에 대해 시론적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황새머리 고분군은 충주지역에서 백제 한성기의 석실묘와 석곽묘가 처음으로 확인된 곳이다. 먼저 석실묘는 평면형태가 방형과 장방형이며, 천장구조는 궁륭형으로 추정된다. 이는 한강, 미호강, 금강유역에서 확인되는 先송산리형과 수촌리형의 형태와 유사한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석곽묘는 모서리의 형태가 말각과 직각으로 구분된다. 벽체는 할석‧괴석, 편평할석‧소형판석, 대형판석‧괴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이는 모서리의 형태가 말각→직각, 벽체의 축조 방식이 할석‧괴석→편평할석‧소형판석→대형판석‧괴석으로 변화하는 백제 석곽묘의 전반적인 양상과 유사하다. 부장유물은 호류와 배류가 공반 부장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호류는 타날 된 개체 수가 많지만, 중앙양식으로 분류되는 광구장경호는 1점이 출토되었고, 직구단경호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와 다르게 고배와 개배는 다양한 양상으로 다수 부장된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황새머리 고분군이 조성된 시기는 약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중반까지로 볼 수 있다. 이는 백제가 충주지역까지 진출한 이후 고구려와의 전쟁 속에서 경영된 시기를 알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