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규모 장기 다단계 에너지 사업의 실물옵션 기반 투자가치 평가기법
박선응(Sun-eung Park),신준석(June-seuk Shin)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대규모 장기 다단계 에너지 사업에 적합한 복합실물옵션 기반 투자가치 평가기법을 제안한다. 원자력발전과 같은 대형 에너지 사업의 불확실성은 건설을 포함한 운영 이전 단계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운영단계 불확실성을 고려한 투자가치 평가에 주력하고 있어 단계별로 변화하는 불확실성을 반영하지 못하며, 초기 단계 의사결정에 사용하기 어렵다. 본 연구의 기법은 단계별로 변화하는 불확실성 모형화에 적합한 이항격자모형, 단계별 의사결정에 적합한 복합실물옵션, 주요 변수 불확실성 정량화에 적합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복합을 통해 위의 한계를 극복했다. 영국 전력시장에 진출하는 국내 원전사업자를 대상으로 기법을 적용하고 투자가치를 분석했다. 실무적 관점에서 본 연구는 불확실성이 큰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원전사업자의 투자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고, 비용 및 운영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학술적으로는 복수 방법론 조합을 통해 단계별 변동성을 반영한 대규모 장기 다단계 에너지 사업의 맞춤형 실물옵션 가치평가 기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an investment valuation method based on compound real options suitable for large-scale long-term multi-stage energy projects. The uncertainty of large-scale energy projects such as nuclear power is concentrated in the pre-operation stages, including construction.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focus on the uncertainty in the operation stage, so they cannot consider the uncertainty that changes in stages, and it is difficult to use in the early stage. The method of this study overcomes the above limitations through a combination of a binomial lattice for modeling uncertainty changing step-by-step, a compound real option for sequential decisions, and a Monte Carlo simulation for quantifying uncertainty. The method was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nuclear power operator entering the UK power market. In a practical view,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more accurately evaluating the investment value and effectively managing risk. In an academic perspective, a customized valuation method using real options for large-scale long-term multi-stage energy projects that consider staged volatility through a combination of multiple methodologies was proposed.
신규기업 시장진입 성공을 위한 핵심자원 연구: 전기차 사례
조민제(Min-je Cho),신준석(June-seuk Shin)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2
자동차 산업에서 진입장벽은 오랜 기간 성공적이었으나, 최근 들어 전기차 기업들로 인해 와해되기 시작했다. 전기차의 단순한 구조, 고소득 메가시티 거주 소비자층의 성장, 정부 친환경 정책은 와해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진입장벽은 신규 진입기업이 부담하는 비용이므로 비용 열위 극복이 가능한 기업 내부 역량과 자원이 중요한 문제다. 본 연구는 전기차 시장진입 핵심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에서 외부 환경요인과 기업의 내부자원 및 역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퍼지집합 질적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결과는 전기차 시장진입에는 기술, 시장, 법적 규제 등 다양한 진입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자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연기관차 대비 낮은 차량 가격, 고용량 저가 배터리, 긴 주행거리, 높은 안전성을 모두 갖춘 전기차 기업만이 시장진입에 성공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학술적으로는 전기차 시장진입의 성패에 대한 기업 내부 자원의 중요성을 실증했을 뿐만 아니라 진입장벽 극복을 위해 필요한 기업 내부 자원의 조합을 규명해 진입장벽과 자원기반관점간 이론적 연결고리를 제시했다. Entry barriers in the automotive industry have been successful for a long time but have recently started to collapse due to electric vehicle companies" entry. The simple architecture of electric vehicles and Favorable external conditions was suggested to cause the collapse of the entry barrier. However, since entry barriers are costs borne by new entrants, the company"s internal capabilities and resources that can overcome the cost disadvantage are an important issue. This empirical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key factors for entering the electric vehicle market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its inter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from a resource-based view. It uses fuzzy-set/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his result shows that entering the electric vehicle market requires resources to overcome various entry barriers such as technology, market, and legal regulations. This implies that only electric vehicle companies with lower vehicle prices than internal combustion vehicles, high capacity and low-cost battery, long mileage, and high safety can successfully enter the market.
신완선 ( Wan Seon Shin ),신준석 ( June Seuk Shin ),박재연 ( Jae Hyun Park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3 품질경영학회지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spread pattern of Korean legal certification systems and their impact on industry performance. Methods: It first analyzes the life cycle of legal certification systems and classifies them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the spread patterns in a chronological view. A survey study is then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legal certification systems on financial performance. Both the legal mandatory certification systems and the legal voluntary certification systems are included in the survey. Results: Four spread patterns of legal certification systems are sustainable growth, stagnation after growth, decrease after growth, and repetition of growth and declination. 56% of 293 certified corporations responded positively about the financial impact of their certification systems. Conclusion: The policy makers can uti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designing additional certification systems as well as promoting the current legal certification systems.
인터넷 개인 미디어를 통한 하이테크 제품 확산패턴 연구
전지은 ( Ji Eun Jeon ),신준석 ( June Seuk Shin ),이희상 ( Hee Sang Lee ),조근태 ( Kuen Tae Cho ) 포스코경영연구원 2010 POSRI경영경제연구 Vol.10 No.2
하이테크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아지면서 매출 데이터를 통한 확산패턴의 파악과 예측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블로그, 홈페이지와 같은 인터넷 개인 미디어상의 데이터를 통해 하이테크 제품의 확산패턴을 파악하고, 나아가 제품의 매출을 통한 실제 확산패턴과 개인 미디어상의 확산패턴을 비교해 인터넷 개인 미디어 데이터를 통한 매출 확산패턴 예측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인터넷 개인 미디어에서 가장 활발하게 정보가 창출, 교환되는 모바일폰을 대상으로, 웹 마이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블로그 활동 데이터를 수집했다. 비선형 곡선적합을 통해 제품별 매출/블로그 데이터의 확산패턴을 파악하고, 중회귀분석을 통해 가격 및 마케팅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확산패턴의 예측력을 평가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폰의 다음 기간 매출 예측에 매출 데이터보다 인터넷 블로그 데이터가 높은 예측력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이테크 제품의 확산패턴 예측 정교화에 기여하는 한편, 마케팅 및 판매전략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t has become more and more difficult to identify and forecast the diffusion pattern based on sales data because the lifecycle of high-tech. products has been shortened a lot. Our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product diffusion pattern through personal internet media such as blog, and further examining the potential of blog data to forecast the diffusion pattern of product sales. Today`s mobile phone is characterized both by short lifecycle and active information production through personal internet media, and thus chosen. Collecting data by using web mining program, we identify the diffusion pattern of sales and personal internet media data of each product, and forecast the sales of the next period by using both sales and personal internet media data. Personal internet media data shows higher forecasting power than sales data, implying that those should be used not only in forecasting the product diffusion pattern but in building market and sales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