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상대사(無相大師)와 마조(馬祖)의 사법(嗣法)에 대한 재고(再考) -현실적인 시공간 측면에서 접근하다-

        신정운 ( Jeong Un Si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2 禪文化硏究 Vol.12 No.-

        無相大師(684~762)는 신라국의 셋째 왕자로서 어려서 출가해 무상의 나이44세에 중국으로 건너갔다. 四川省成都를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762년 79세에 淨衆寺에서 입적하였다. 특히 淨衆寺에서 20여 년을 머물며 수행한데서 무상을 淨衆宗의 開祖라고 칭한다. 이 무상에 관한 기록은 圭峰宗密(780~841)의 『中華傳心地禪門師資承襲圖』와 『圓覺經大疏抄』, 『宋高僧傳』이 전부였으나 돈황출토본 『歷代法寶記』가 발견되면서 이전의 기록만으로는 알 수 없었던 무상의 모습이 여실히 드러났다. 한편 무상 대사의 선사상이 티벳 불교에까지 영향을 미쳤으며, 당대 최고의 선사라고 할 수 있는 馬祖道一(709~788)이 무상의 제자라는 점이다. 선종의 역사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가 돈황 문서가 발견됨으로서 무상과 마조의 嗣法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했다. 논자는 무상과 마조의 嗣法문제를 밝히고자 무상이 수행하였던 장소(四川省과 陝西省西安)와 마조가 수행하였던 장소(四川省·湖南省·江西省·福建省)를 모두 탐방하였다. 無相과 馬祖의 嗣法에 관해 살펴보는데, 크게 부각되는 곳은 두 곳이다. 첫째 四川省三台縣潼川鎭慧義精舍에 있었던 <四證堂碑>가 있는 곳이다. <사증당비>는 851년에 시인 李商隱이 쓴 碑에 ``無相·無住·馬祖·智藏인 네분의 진영을 모시고 매일 공양올렸다``는 기록이다. 둘째 四川省資中縣龍泉鎭長松山에 위치한 馬祖洞이다. 어록에는 마조동에서 長松山馬라는 사람이 이 동굴에서 수행했다고 하는데, 이 長松山馬가 마조와 동일한 인물이라고 한다. 이에 직접 마조동을 탐방하였다. 이렇게 무상과 마조의 스승과 제자 관계를 밝히는데 있어 중국 땅의 시간적·공간적·지리적·중국 문화적인 측면에 접근해 살펴보았다. 무상과 마조의 사법이 맞느냐 틀리느냐를 단정하는 것보다 여러 개연성을 두고, 객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Saint Musang(684~762) was born to 3rd prince of Silla and became a buddhist monk when he was young and crossed into China at the age of 40. He worked as a buddhist with Chengtu(the holy city) of sichuan province as a center and then passed away at age of 79 in Jeongjung temple in 762. As he stayed and practised for 20 years in Jeongjung temple, he is called the projenitor of Jeongjung Sect. The records of Musang was found only in the books of Kuei - Feng Tsung Mi(780~841), 『Seonmunsajaseungseupdo』, 『Wongakgyungdaesocho』, and 『Songoseungjeon』. But the part of Musang we could not know from those records has been revealed as 『Yeokdaebeopbogi』, the book excavated from Dunhuang, was discovered. Meanwhile, the Zen philosophy of saint Musang affected even Tibetan Buddhism, and the greatest Zen monk of the time, Majodoil(709~788) was his disciple. When the history of Zen Buddhism was took for granted, the discovery of Tun Fang Paper put to the fore the succession of buddhism between Musang and Majo. I have visited all places where Musang practiced(Sichuan, Sanxi, and Xian) and Majo practiced(Sichuan, Hunan, Jianxi, and Fujian) to find the evidence that Majo was a disciple of Musang. When the sucession of buddhism between Musang and Majo are researched, two places stand out. The one is the place of Sajeungdangbi which was in Hyeeui temple of Tontianjin of Santai in Sichuan province. Sajeungdangbi is a tombstone record written by poet Lee Sangeun that the portraits of Musang, Muju, Majo, and Jijang were enshrined and offerings were presented to them. The other place is Majo cave in Jangsong mountain of Yontianjin, Zizhong, Sichuan province. Quotations of Zen says a person named Jangsong mountain Ma has practiced in this Majo cave, and this Jangsong mountain Ma and Majo are the same person. Therefore I visited myself there Majo cave. Like above, I approached Chinese land with timespace factor and geographical and cultural factors to unravel the relationship as a teacher and disciple between Musang and Majo. I reviewed it objectively recognizing various probabilities rather than concluding whether their succession of buddhism is correct or incorrect.

      • KCI등재

        학술상 수상논문 : 조사선(祖師禪) 성립(成立)에 대한 소고(小考) -마조계를 중심으로-

        신정운 ( Jeong Un Si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9 禪文化硏究 Vol.6 No.-

        조사선(祖師禪)은 인도적인 색채를 벗어나 중국의 문화와 사유방식이 혼합된 선(禪)이라고 할 수 있다. 조사선을 확립하고, 독립된 선종으로 성립되는 교두보 역할을 하였던 인물이 당나라 중기 때의 마조도일(馬祖道一)(709~788)이다. 마조는 『유마경』의 번뇌즉보제(煩惱卽菩提), 『화엄경』의 성기사상(性起思想), 『열반경』의 불성사상(佛性思想)에 의해서 그의 선사상 체계를 이루었는데, 곧 즉심시불(卽心是佛)과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이다. 평상심 이란 단순한 평상시의 마음이 아니라 시(是)·비(非), 조작(造作), 단멸(斷滅)·상주(常住), 선(善)·악(惡), 미(美)·추(醜)라고 하는 이분법적으로 나누어진 마음이 아니며, 깨닫지 못한 범부라고 할 것도 없고 깨달은 성현이라고 할 것조차 없는 본원 청정한 마음을 말한다. 이 청정한 마음이 곧 부처[즉심시불(卽心是佛)]이므로 수행할 필요가 없음[도부용수(道不用修)]을 강조한다. 즉, 조사선은 과거·미래가 아닌 현재 즉금(卽今)에서의 불성(佛性)을 자각하는 돈오견성(頓悟見性)이 라는 사상을 성립시켰으며 조사선의 수행체계나 사상은 선종(禪宗)의 기틀을 형성하는 요인이 되었다. 조사선의 특질은 대략 다섯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 이전에는 일대일인(一代一人)의 부촉(付囑)이었으나 조사선시대에는 한 스승이 여러 제자에게 법(法)을 전(傳)하는 일대다인(一代多人)의 부촉시대(付囑時代)가 되었다. ② 특수한 선문답(禪問答)이나 갈(喝)·봉(棒)등을 사용한 선기(禪機)의 시대이다. 즉 그때그때 상대방의 근기에 따라 자유 자재로운 대기대용(大機大用)의 방편이 활용되었다. ③ 어록(語錄)의 발생인데, 어록의 내용이 공안으로 변형되었으며 어록으로 인해 경론을 중시하는 인도적인 색채를 벗어나 중국 특유의 선종이 탄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④ 청규(淸規)확립으로 인한 선종의 독립과 일상성의 종교로 전환되었다. ⑤ 『보림전(寶林傳)』의 성립으로 인해 조사선을 재정립·발전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와 같이 당나라 시대 때, 형성·발전한 조사선은 후대 칸조선(照禪)과 간화선(看話禪)이라는 수행체계로 발전되었으며 宋나라 이후 유학(儒學)의 새로운 철학을 이루는 시발점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마조의 직계제자들에게 법을 받아온 신라의 구법승들에 의해 신라 땅 곳곳에 산문(山門)이 개산(開山)되었음을 감안해볼 때, 조사선은 한국 불교 선사상의 근원이 되기도 한다. Patriarchal Cha`n is one type of Chinese Cha`n that united Chinese culture and their way of thinking, It departed from the Indian style of practice. Patriarchal Cha`n was formed and developed as a Cha`n sect in the middle of the Tang dynasty. Ma-tsu Tao-I (Majo Doil 709-788) was a forerunner for establishment of the Cha`n sect. Ma-tsu developed his Cha`n philosophy based on the Buddha-nature philosophy of the Vimalakirti, Avatamsaka, and Mahaparnivana sutras. His thought can be summarized in the saying: "Genuine mind is the path, this mind is the Buddha." Genuine Mind is not simply common mind; it is not dualistic mind which is preoccupied with right and wrong, permanent and impermanent, good and bad, beauty and ugly. Genuine Mind is originally pure mind in which awakened beings and unawakened beings are not different, and even do not exist. That is, genuine Mind is pure. Genuine Mind is the Buddha. Patriarchal Cha`n developed the thought that sudden awakening is to see the Buddha nature not in the past or the future, but here and now. The practice system and thought of Patriarchal Cha`n became a basis of the Cha`n sect. Characteristics of Patriarchal Cha`n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five: First, in the pre-Patriarchal Cha`n period the Cha`n master transmitted the dharma to only one disciple, while in the Patriarchal Cha`n period the Cha`n master transmitted the dharma to several disciples. Second, particular Cha`n style questions and answers, or verses or canes were used. It means that various expedient means were used depending on the practitioners` level. Third, analectics appeared. Contents of the analectics were changed into Koan. Due to the analectic, Chinese Buddhist practice departed from Indian style practice which attached much value to the Sutra and Vinaya(disciplines), as a result of this, an unique Chinese Cha`n sect was formed. Fourth, due to the foundation of purified disciplines, finally the Cha`n sect was established; daily life itself became Cha`n practice. That is, everyday living of practitioners itself was Cha`n Buddhism. Fifth, Patriarchal Cha`n came to be re-established and developed by ``Transmission of the precious forest`` (Borimjon). Later Patriarchal Cha`n was developed as ``Mukjo Cha`n(Silent illumination)`` and ``Ganhwa Cha`n`` practice systems, which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neo-Confucianism after the Song dynasty. On the other hand, Patriarchal Cha`n became the root of Korean Seon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