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접속조사로 기능하는 「ところを」에 대해서

        신의식 ( Yi Shick Shi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7 No.1

        본고에서는 「ところを」가 접속조사로 기능할 때의 구문을 대상으로 하여, 「ところを」의 의미적 특징과 기능을 고찰하였다. 「ところを」의 접속조사 용법을 분석한 선행연구는 주로 「ところを」의 전반적인 의미내용과 용례를 중심으로 고찰되었으나, 그러한 특징이 구체적으로 문장 속에서 드러나는 방식에 대해서는 분석되어 있지 않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ところを」가 접속조사로 기능할 시, 「ところを」절 내부 의 사태가 ‘당위성’, ‘사태미성립’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중 ‘당위성’은 「ところを」절 내부의 당위내용을 나타내는 모달리티 표현의 존재, 혹은 문맥적 표현으로 인해 드러난다. 또한 ‘사태미성립’에 대해서, 절 내 부의 사태는 당위성 판단을 위한 전제이므로 성립하지 않은 사태만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ところを」절 내부가 모탈리티적 특징을 가 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때 「ところを」절은 격조사용법이 아닌 접속조사용 법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이러한 「ところを」절 내부의 의미적 특징으로 나타나는 모달리티적인 특성은, 문말표현과의 연관성을 고려할 수 있는데, 그 문말표현으로「ところ だった」의 용법을 들 수 있다. 접속조사로 기능하는「ところを」는 문말표현 「ところだった」와 공통하는 의미적 특성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문장 속에서 교체가 가능한 것이 확인된다. 그러므로 양쪽의 「ところ」는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ところ」에 붙는 조사「を」는, 「ところを」절 내부의 의 미적 특징으로 인해, 격관계표시기능이 약해진 것으로, 「ところを」와 같이 복합된 형태의 접속조사로 기능한다고 여겨진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ところを」는, 문말표현「ところ」와 격관계표시 기능이 약해진「を」가 결합한 접속조사로 볼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In this paper, I considered meanings and functions of "tokoro o", when "tokoro o" works as conjunctive particle in sentences. Precedent studies on The conjunctive particle use of "tokoro o" have been considered centering around meaning properties and examples, but it didn``t be analyzed in details that how this properties represent in sentences. In this study, I understood that inner event of "tokoro o" has "appropriateness" and "non material event", when "tokoro o" is used as conjunctive particle. The "appropriateness" is appeared by existence of modality expressions or contextual meanings that are included appropriateness in "tokoro o" clause. Besides, I grasped that event in its clause is "non material event". When these properties shows that "tokoro o" clause has modality feature, in this case the function of "tokoro o" clause is not case particle use but conjunctive particle use. According to these meaning properties in "tokoro o" clause, it can be considered that its modality features are related to "tokoro da" representation. Also it was confirmed that both representations can be exchanged in each sentence, because "tokoro o" of conjunctive particle use is similar to "tokoro da" on its meaning properties. Thus I conclude that both "tokoro" which of "tokoro o" and "tokoro da" are same. As there are these properties in "tokoro o" clause, case marking function of case particle "o" become weak and the "o" combines with "tokoro" in order to work conjunctive particle. From these considerations I conclude that "tokoro o" is work as conjunctive particle that "tokoro" which has modality features and "o" which is weakened function of case marking are combined.

      • KCI등재

        複合助詞「上で」の用法と助詞「で」について

        신의식 ( Shin¸ Yi-shick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日本硏究 Vol.- No.89

        본고는 일본어 복합조사 「上で」의 용법과 조사 「で」에 대해서 해당형식이 가진 문법적인 특징들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上で」는 선행연구에서 그 의미와 용법이 다양하게 분석되고 있으며, 특히 馬場(2006)의 분석에서는 「上で」가 격성분적 용법과 동시용법(접속조사적)으로 나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용법을 나누는 기준이 간단한 면이 있고, 「上で」가 가진 문법적 특성을 고려하면 간단히 나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해당 형식이 복합조사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우선 「上で」가 가진 문법적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上で」는 격성분적 특징과 접속조사적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고, 그러한 특징의 강약에 따라 격조사적 특징과 접속조사적 특징이 연속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게 되었다. 그러한 연속성 상에서 격조사적 특징이 강한 「上で①」과 접속조사적 특징이 강한 「上で②」가 존재한다. 한편 복합조사를 이루는 조사 「で」에 관해서도 분석하여, 해당조사가 본래의 격조사 「で」의 성질이 희박화 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여기서도 「上で①」의 「で①」는 격조사의 성질이 남아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上で②」의 「で②」는 격조사의 성질이 희박화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사 「で①②」간의 격조사 성질의 희박화도 연속성을 가지고 파악되고 있어, 이러한 연속성이 「上で①」와 「上で②」의 용법상의 연속성에 관계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복합조사 「上で」를 「で」의 격조사성의 희박화와 함께 복합조사화 된 형식으로 파악하였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grammatical features of the usage Japanese compound particle ue-de and particle de in detail. The meaning and usages of form ue-de have analyzed by precedent researches. In research of Baba(2006), especially ud-de has two uses that are Case use and Concurrent use(conjunctive use). However the criterion to distinguish these uses was simple, when we consider the grammatical features of ue-de, it is hard to divide the usages of this form. First, I analyzed ue-de which is compound particle. As the result, ue-de has the two feathers of case particle and conjunctive particle. I noticed that there is the continuity of between feachers of case particle and feacher of conjunctive particle by the strength of the these feachers. Therefore, there are ue-de① which has the feacher of case particle and ue-de② which has the feacher of conjunctive particle. Second, I grasped that particle de, which is an component of compound particle ue-de, is weaken. It was cleared that the de① of ue-de① has a little property of case, and de② od ue-de② has been weaken its property of case. Furthermore, the particles between de① and de② are analyzed on the dilution in the property of case.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dilution of the property of case in de①② concerns the continuity of ue-de① and ue-de②. In conclusion, it is understand that ue-de is the form which becomes the compound particle with the dilution of property of case 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