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종주의와 문화; 고비노 읽기, 칸트와 니체 사이에서

        신응철 한국니체학회 2005 니체연구 Vol.8 No.-

        This article deals with Cassirer's interpretation about Gobineaus' theory of racism which focussed on Essay on the Inequality of Human Races. Gobineaus' theory has influenced on the Western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Especially, His thought has influenced on the thought of Friedrich Nietzsche(1844-1900) as well as the theory of Fascism in Germany. In this article, I will elucidate about the relation between Gobineaus' theory of racism and Fascism, and analyze Gobineaus' theory of racism in itself. In this process, I will rely on Cassirer's viewpoint, that is, Gobineau's theory does not related with the theory of Fascism. Because firstly Gobineaus' theory was an attempt to destroy all other values, and secondly there was still another obstruction in Gobineaus' way, the humanitarian and equalitarian ideas of the eighteenth century, and thirdly Gobineau was no nationalist nor was he a French patriot. Finally, I will deal with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racism in Gobineau in society of Korea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Philosophy of Culture. 이 글은 20세기의 여러 정치적 신화들 가운데 고비노의 인종불평등론에 대한 카시러의 독해 방식을 논의한다. 한 세기가 이미 훌쩍 지나버린 고비노의 이론을 다시금 카시러의 목소리에 힘입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고비노의 이론이 서구 정치 사상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특히 니체 사상을 비롯해 파시즘 이론에 적극적으로 개입되었다는 혐의를 여전히 받고 있기 때문이다.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 필자의 기본 관심은 고비노 이론의 파시즘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해명하고, 나아가 고비노의 인종주의 자체에 대한 해명, 고비노 이론의 니체와의 영향관계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한국 사회의 당면한 문제와 연관 시키면서 문화철학적 관점에서 반성해 보는 데 있다. 그렇기에 여기에서 적어도 필자는 한국 사회의 정치, 문화,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고비노의 인종주의가 사멸한 것이 아니라, 잔존 내지 어떤 측면에서는 부활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 점이 바로 이 논의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1. 시작하는 말: 인종주의는 이제 사라졌는가?우리에게 신칸트학파의 대표적인 문화철학자로 알려져 있는 에른스트 카시러(Ernst Cassirer 1874-1945)는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서구 사회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친 정치적 신화를 분석한 적이 있다. 이러한 그의 분석은 특히 서구 사회에서의 파시즘, 특히 나치 독일의 국가 사회주의 이념의 허구를 파헤치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1946년 카시러 사후에 출간된 국가의 신화攀 Ernst Cassirer, The Myth of the State,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1946(이후 MS로 표기함). 번역서로는 최명관, 국가의 신화, 서광사, 1988.攀攀는 정치적 신화의 대표적인 예로서, 칼라일(Thomas Carlyle 1795-1881)의 영웅숭배론, 고비노(Joseph-Arthur Gobineau 1816-1882)의 인종불평등론,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의 국가 이념, 슈펭글러(Oswald Spengler 1880-1936)의 운명론적 역사관을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고 있다.攀 이 문제를 포함하여 카시러의 사회철학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신응철, 카시러 사회철학과 역사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4. 제4장 참조바람.攀攀여기에서는 위의 여러 정치적 신화들 가운데 고비노의 인종불평등론에 대한 카시러의 독해 방식을 좇아 보고자 한다. 한 세기가 이미 훌쩍 지나버린 고비노의 이론을 다시금 카시러의 목소리에 힘입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고비노의 이론이 서구 정치 사상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특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의 사상을 비롯해 파시즘 이론에 적극적으로 개입되었다는 혐의를 여전히 받고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지금도 고비노의 이론을 은근히 기대하거나, 유지하거나, 더욱 계발하려는 숨은 의도를 지닌 정치 집단과 사회조직, 국가가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카시러의 고비노 독해는 일면적으로는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인종주의에 대한 논의의 궁극적 목적은 신화적 사유와 정치의 결탁에서 비롯된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의 삶의 위기, 특히 문화의 위기를 진단하는 데 있기에 문화철학적 함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맥락에서 볼 때, 이 글에서 필자의 기본 관심은 고비노 이론의 파시즘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해명하고, 나아가 고비노의 인종주의 자체에 대한 해명, 고비노 이론의 니체와의 영향관계,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한국 사회의 당면한 문제와 연관시키면서 문화철 ...

      • KCI등재후보

        왜 동물철학이 필요한가? - 앤드류 린지(Andrew Linzey)의 기독교와 동물철학을 중심으로

        신응철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3 인간과자연 Vol.4 No.1

        The author concludes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and reflect on the prevailing animal view in Korean society, which includes cows, pigs, goats, and even pets, and that a new alternative is needed. In that regard, the author plans to establish the concept, key issues, and philosophical status of animals in an academic manner by pioneering animal philosophy, as there has been no systematic discussion on animal philosophy in Korea so far. This article first addresses the question of “why animal philosophy is necessary in our society?” and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animal philosophy. We will confirm that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study of animals, animal ethics, and animal philosophy within the Korean Christian community. Here, we will examine the perspective of Andrew Linzey (1952-), a professor of theology at the University of Oxford in the UK, who advocates for the understanding of animals, animal rights, and the ethics of compa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philosophy. In particular, we will focus on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sensitivity towards animals and religion, the challenges that animal issues pose to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and the misconceptions about animal rights and Christian understanding. Lastly,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ignificance of animal theology and animal philosophy as advocated by Linzey, as well as the influence of the Korean Christian community on these ideas. 필자는 소, 돼지, 염소, 그리고 반려동물까지도 포함하여 한국 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동물관(動物觀)에 대한 점검과 반성, 그리고 새로운 대안이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고 판단한다. 그런 측면에서 동물철학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선구적으로 동물철학의 개념, 핵심논제, 쟁점 사항, 그리고 동물에 대한 철학적 위상을 학술적으로 정립하고자 계획하고 있다. 이 글은 먼저 우리 사회에서 ‘동물철학이 왜 필요한가?’라는 문제의식을 느끼고, 기독교와 동물철학의 관계를 먼저 해명하고자 한다. 우리는 국내 기독교계에서 동물, 동물윤리, 동물철학에 대한 연구가 짧은 상황임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기독교 철학의 관점에서 동물에 대한 이해, 동물권, 관대함의 윤리를 주장하고 있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신학부 교수 앤드류 린지(Andrew Linzey 1952- )의 관점을 제시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동물에 대한 도덕적 감수성과 종교의 관계, 동물 문제가 전통적 기독교 신학에 제기하는 도전들, 동물권에 대한 오해와 기독교적 이해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린지가 주장하는 동물신학, 동물철학의 오늘날의 의미와 한국 기독교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면서 논의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예술, 상징 그리고 체험 : 카시러(E. Cassirer)와 손탁(S. Sontag)의 관점을 중심으로

        신응철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3

        예술에 대한 관점이 최근의 포스트모던 사회, 다원화된 사회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예술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면, 이를 더욱 실감할 수 있다. 예술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방식, 그러니까 예술에 대한 정의, 예술작품에 대한 이해, 예술교육의 목표 등의 논의가 이러한 시대상에 따라 빠르게 변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예술을 통한 인간 이해라는 관점아래, 우리 시대에 통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술관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우리의 예술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틀과 방향성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필자는 에른스트 카시러(Ernst Cassirer 1874-1945)와 수잔 손탁(S. Sontag 1933-2004)의 견해에 기대어 이러한 생각의 얼개를 꾸며보고자 한다. 예술에 대한 고전적인 정의를 탈피해서 새롭게 예술을 정의하고, 인간의 삶에서 예술과 상징의 관계를 해명하며, 예술작품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방식을 넘어서서 새로운 형태의 예술작품 감상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일련의 논의는 변화된 시대상에 맞추어 예술을 이해하고, 공교육 현장에서 예술교육의 방향성을 확립하는 데 나름의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erspective of art is changing according to socio-cultural circumstance in diversified society and postmodern society. If we will focus on education of art, the speed of change is more rapidly. That change implied that definition of art, understanding of art, and purpose of education of art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ims to suggest a viewpoint of art able to communicate with our society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through art. I will apply this view to our public educational field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We will deal with this idea depend on Ernst Cassirer and Susan Sontag's theory of ar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physiognomical viewpoint in Cassirer and to know erotics of Art in Sontag. And in this paper, we will discus a new definition of art and relation of art and symbol in human life and suggest a way of seeing of works of art. Through this study, we will finally suggest a new direction of our public education of art.

      • KCI등재

        바라보기?해석하기를 너머 수용하기로서의 다문화 현상 : 동성애에 대한 기독교계의 찬?반 논쟁을 중심으로

        신응철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8 철학탐구 Vol.23 No.-

        이 글은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오늘 우리가 다문화 현상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다문화 현상을 그저 ‘바라보는’ 차원, 혹은 ‘해석하는’ 차원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활세계의 일부분 혹은 우리 사회 공동체의 한 구성원이 되도록 하기 위해 그것 혹은 그들을 ‘수용하는’ 차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다문화 현상의 한 예로서 ‘동성애’ 문제에 주목하였고, 우리 사회, 특히 기독교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동성애 관련 찬·반 논쟁을 살펴보고자 한다. 동성애 문제를 바라보는 상반된 입장을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다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과정인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나아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를 수용하고 보듬을 수 있는 길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글은 우선 ‘동성애’ 논의의 찬?반 논쟁의 근거가 되고 있는 성서에 주목할 것이다. 성서에서의 동성애 장면을 확인해 보고, 동성애에 대한 해석상의 관점에 따라 나누어지는 비판론자와 옹호론자의 입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와 연관하여 동성애에 대한 한국 기독교계의 일반적인 입장도 확인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다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오늘 우리 사회의 모습을 ‘우리’ 對 ‘그들’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다문화 시대에 요청되는 지혜로운 삶의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reasonable attitude in multi-cultural era. There are many problems in multi-cultural era because of various cultural differences. I think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conflict of culture. So we are interested in this fact. Summarizing this problem, does universal culture can be co-exist with special culture? Through discussing about homosexuality in christian circle in Korea, we will find an answer that problem. The reason why I will deal christian approach in this article has two aims. Firstly, to recognize problem of ‘plurality’, secondly, to find out a clue in terms of inspect of co-exist instead of conflict in multi-cultural era. In this context, First of all I will discuss about the debate on homosexuality in christian circle. For this problem, I will confirm the scene of homosexuality in the Bible, and I will discuss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homosexuality. And then we will deal the general position of christian circle in Korea. Finally we will think about a reasonable way of life in multi-cultural er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슬픔이 기쁨에게 ― 「타인의 고통,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에 대한 논평

        신응철 대동철학회 2013 大同哲學 Vol.63 No.-

        이 글은 이지성 교수의 논문 「타인의 고통, 연민을 넘어 공감으로」에 대한 논평형식의 논문이다. 이 교수의 논문은 우리 사회, 특히 교육 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고질적인 병폐 가운데 하나인 왕따 문제를 철학자의 시선, 윤리학자의 시선에서 진단하고 있다.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고자 피해자/가해자/방관자의 견고한 고리를 풀어보려는 시도의 논문이다. 그간 철학이 사변적, 추상적, 비현실적이라는 비난을 익숙하게 들어오던 차에, 현실문제에 직접 개입하여 대응논리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 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는 계기를 심어주고 있는 이 논문은 바로 그 점에서 높은 학술적 가치를 받기에 충분하다. 이제 논평자는 이지성 교수의 왕따 문제와 관련하여 누스바움과 손택의 공감 감정 혹은 공감의 윤리에 대한 논의에서 몇 가지 사항을 추가하고자 한다. 누스바움과 손택의 공감의 윤리(학)의 계보학적 특징은 무엇인가? 다시 말해, 애덤 스미스, 흄, 루소, 쇼펜하우어로 대표되는 ‘공감의 윤리학’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나아가 이러한 기존의 공감의 윤리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공감이론’을 주장하는 막스 셸러(Max Scheler 1874-1928)의 입장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와 덧붙여, 좋은 감정(공감, 사랑, 연민)을 배양하고 나쁜 감정(원한, 미움, 혐오)을 완화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공교육의 목표설정, 즉 소크라테스식의 문답식 교육과 타고르식의 예술 교육, 손택 식의 사진(예술) 교육 이외의 어떤 형태의 교육 모델이 가능할지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review on Lee ji-Sung's thesis Suffering of Otherness. Her thesis dealt with bullying as a social evil exposed in our educational fields, especiall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she has discussed about bullying in terms of Philosophy or Ethics. Through that discussing, she was aimed to find a clue for resolution about bullying. Her thesis is sufficient for academic value because it suggested a logic of response and new perspective about the problem of bullying. And also, In that context, she has dealt with Martha Nussbaum and Susan Sontag's theory of Sympathy. Now I try to add some facts with respect to Lee ji-Sung's discussion about theory of Sympathy. Firstly, in terms of Martha Nussbaum's theory of Sympathy, what is the difference compare to Susan Sontag's viewpoint. Secondly, In genealogy of theory of Sympathy, what is the difference among traditional viewpoints, that is Adam Smith(1723-1790), David Hume(1711-1776), Rousseau, Jean Jacques(1712-1778), and Arthur Schopenhauer(1788-1860). On the other hand, Max Scheler(1874-1928) criticized traditional theory of Sympathy and insisted his new theory of Sympathy. Lastly, what kind of model of education can be possible in our educational fields comparing to Socratic Method and Sontag's on photograph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