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이크 파렌하이트의 새로운 전시공간 계획 -역 발상의 디자인 프로세스와 기초 디자인 요소을 중심으로-

        이종화(주저자) ( Jong Hwa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은별(공동저자) ( Eun Byeol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진행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서, 이론적 고찰을통해 조형(造形)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한 공간 구성, 이에 맞는 브랜드를 적용시킨 브랜드 전시 공간을 디자인하는 프로젝트 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크게 두 과정으로 나뉘며, 먼저 기초 디자인을 차원과 요소의 두 가지 관점으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이를바탕으로 점, 선, 면의 평면구성과 몬드리안의 작품을 모티브로 하여 입체화 시켜 mock-up 스터디를 통해 형태를 발전시켰다. 두 번째로 이에 맞는 브랜드 이미지를 분석하여 선정하였으며 공간의 기능과 색, 재질 등을 형태에 적용시켜 전시 공간으로 완성하였다. 이에 따른 도면 및 다이어그램, 동선 소재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15주 수업기간동안 진행되었으며 실제 작품의 진행 기간은 약 13주가 소요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에 따른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달리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따른 형태적 조형미를 탐구 한 후 그에 걸 맞는 브랜드의 적용과 전시라는 기능을 반영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on spatial design process during the Spatial Design Studio Ⅱ, and this project was to form a space based on the exploration of modeling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and to create an exhibition space by selecting and applying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this study borrowed motifs from the works by Frank Stella and rendered it into a three dimensional modeling on basis of a theoretical review of design elements.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brand image and then created a form in reflection of it, and then the exhibition space was planned by applying those functions, colors and textures which were considered appropriate to the brand image. Based on this, the drawings, diagrams, moving lines, and materials were specifically expressed. To this end, the class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15 weeks, and the actual period required for the project took approximately 13 weeks. Lastly, this study’s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patial designs which intend to explore the formative esthetics based on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unlike the existing function-driven spatial design process and to apply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and exhibition function.

      • 브랜드 "페니"를 위한 전시 디스플레이 디자인 연구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한 평면회화와 공간간의 조형적 관계를 중심으로-

        김나연(주저자) ( Na Yeon Kim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은별(공동저자) ( Eun Byeol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 물질성이 사라지고 비 물질화가 되어가는 공간의 형태와 존재 의미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공간 디자인에 있어 기초 디자인 요소를 충실히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형(造形)에 대해 탐구 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건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조형성에 기초한 디자인을 도출하여 브랜드 전시공간에 적용하는 일련의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조형적구성과 형태적 아름다움에 대한 탐구의 선행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기초 디자인 요소의 ``Form&Space``를 중심으로 회화의 조형성과 건축의 상관관계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디자인을 전개하다. 두 번째로 ‘페니’를 분석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반영한 형태로 발전시켰으며 이에 맞는 재료, 컬러, 도면 3D작업 등을 통해 공간을 구체화 시켜 최종 결과물을 얻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숙명여대 환경디자인과 공간디자인스튜디오Ⅱ수업에서 15주간 진행되었으며 실제 작품의 진행 기간은 약 13주가 소요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조형적 탐구에 기초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살펴봄으로써 현대 공간의비 물질화에 따른 폐해와 물질적 공간의 조형성 추구를 통해 공간의 근본적 의미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기회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a question about the form and existential meaning of space where the modern society’s materiality is giving way to immateriality, with an intention to explore the formative arts based on the faithful understanding of basic design elements. Also, by analyzing its relationship with architecture and developing a design on basis of formativeness,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series of spatial design processes to apply. Through this, the study tried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being preceded by the exploration of formative structure and morphological aesthetic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this study developed a design through theoretical review of the correlation between formativeness of painting and architecture based on ‘Form & Space’, which is one of the basic design elements. Second, after analyzing the brand ‘Penny’, its brand image was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a form, and the final result was achieved by the specific expression of a space with materials, colors, and 3D drawing adequate to its brand image. The study was conducted as an assignment of the 15 week-long Spatial Design Studio Ⅱ class for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actual period required for the project took approximately 13 weeks. Finally, based on analysis of spatial design processes through formative exploration, this study intended to offer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space throughrealization of harmful effects of immateriality in the contemporary space and through pursuit of formativeness of a material space.

      • 디터람스에 관한 전시 공간 리뉴얼을 위한 연구 -기초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손지원(주저자) ( Ji Won Sohn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은별(공동저자) ( Eun Byeol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총15주간 진행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서, 공간기초 디자인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전시 공간 디자인프로젝트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세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먼저 선(Line), 형태(Form), 빛(Light),색(Color) 등의 기초 디자인 이론을 통해 디자인 요소에 대한 이해와 이를 공간에 적용하여 프로젝트 아이디어 도출 과정을 선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FrankStella의 작품을 바탕으로 공간 디자인 요소들의 형태적 변화와 주요 특징 요소들을 이용해 조형적인 공간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에 기능을 적용시켜전시 공간 계획을 진행하였으며 도면, 다이어그램, 동선, 소재 등 이러한 계획 과정을 구체화하여 표현하였다. 이 단계에서 기존 전시 공간 스터디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도출하여 공간의 컨셉과 목적을 구체화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에 따른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달리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따른 형태적조형미를 탐구 한 후 그에 걸 맞는 브랜드의 적용과 전시라는 기능을 반영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a project for the 15 week-long Spatial Design Studio Ⅱ class for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and the project was to develop a spatial design based on the basic theory of spatial design. The process of this study consists three phases. First, the study developed ideas for the project in adva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esign elements through exploration of basic design theories on line, form, light, color, etc. and then applied them to space. Second, the study created a formative space by identifying and using morphological changes of spatial design elements and major characteristic factors based on the exploration of the works of Frank Stella. Lastly,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was conducted by applying functions to space, and the planning processes such as drawings, diagrams, moving lines, and materials ar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is phase, problem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existing studies on exhibition space and solutions were to substantiate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space. All in all, this study’s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design processes, which will explore morphological aesthetics based on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which apply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and which reflect an exhibition function unlike the existing process of function-oriented spatial design.

      • 프랭크 스텔라 작품을 모티브로 한 뱅앤올룹슨 전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권지수(주저자) ( Ji Su Kwon ),김하정(주저자) ( Ha Jeong Kim ),조지은(주저자) ( Ji Eun Cho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신은별(공동저자) ( Eun Byeol Shin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진행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조형(造形)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한 공간 구성, 이에 맞는 브랜드를 적용시킨 브랜드 전시 공간을 디자인하는 프로젝트 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크게 두 과정으로 나뉘며, 먼저 ‘Man the designer’의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Frank Stella을 작품을 모티브로 하여 입체화 시켜 형태를 발전시켰다. 두 번째로 뱅앤올룹슨을 분석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반영한 형태로 발전시켰으며 이에맞는 기능과 색, 재질 등을 형태에 적용시켜 전시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이에 따른 도면 및 다이어그램, 동선 소재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15주 수업기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실제 작품의 진행 기간은 약 13주가 소요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에 따른 공간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달리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따른 형태적 조형미를 탐구 한 후 그에 걸 맞는 브랜드의 적용과 전시라는 기능을 반영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on spatial design process during the Spatial Design Studio Ⅱ, and this project was to form a space based on the exploration of modeling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and to create an exhibition space by selecting and applying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this study borrowed motifs from the works by Frank Stella and rendered it into a three dimensional modeling on basis of a theoretical review of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of ‘Man the designer’.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brand image of Bang & Olufsen and then created a form in reflection of it, and then the exhibition space was planned by applying those functions, colors and textures which were considered appropriate to the brand image. Based on this, the drawings, diagrams, moving lines, and materials were specifically expressed. To this end, the class was conducted for a period of 15 weeks, and the actual period required for the project took approximately 13 weeks. Lastly, this study’s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patial designs which intend to explore the formative esthetics based on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unlike the existing function-driven spatial design process and to apply a correspondingly adequate brand and exhibition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