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모기업과 계열사의 동일감사인 선임이 투입과 산출로 측정한 감사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신유진 ( Yoo Jin Shin ),김정옥(교신저자) ( Jeong Ok Kim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3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EA: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사용하여 대규모기업집단에 속한 계열사가 모기업과 동일감사인을 선임하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외부감사의 효율성이 다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감사의 투입요소로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을 사용하고, 감사의 산출요소로 재량적발생액 및 발생액의 질을 사용하여 동일감사인 선임이 감사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투입과 산출을 동시에 고려한 관점에서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규모기업집단 내 소속기업이 동일감사인을 선임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감사효율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사의 투입과 산출 관점에서 감사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동일감사인선임 여부가 감사효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동일감사인 선임에 따른 감사효율성을 판단하는 대상은 모기업이 아니라 계열사가 되어야 하는 것이 맞을 수 있다. 왜냐하면 동일감사인 선임의 배경이 대규모기업집단 소속기업 중 모기업의 감사를 수임한 감사인이 계열사의 감사도 수임하느냐 여부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계열사만을 대상으로 동일감사인 선임여부에 따라 감사효율성 및 감사의 투입과 산출이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고, 분석결과 모기업을 포함한 첫 번째 분석의 결과와 질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또한 본 연구는 감사투입, 즉 감사보수 및 감사투입시간의 크기에 따라 동일감사인 선임에 따른 감사효율성이 차별적인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하였다. 중앙값을 기준으로 감사보수 및 감사투입시간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감사보수 및 감사투입시간이 많은 표본에서 동일감사인을 선임할수록 감사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정수준의 이상의 투입이 있어야 감사효율이 높아진다는 것으로서 일정수준 이상의 투입이 이루어지면 감사인은 이미 기업에 대한 이해 등을 하고 있으므로 투입 대비 효과가 증가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동일감사인 선임에 따른 감사의 효율성을 투입과 산출관점을 동시에 고려하여 조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기존의 선행연구와 같이 동일감사인 선임에 따른 감사투입시간 및 감사보수만으로 감사효율성을 설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투입 대비 산출관점에서 동일감사인을 선임할수록 감사의 효율성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리고 동일감사인의 노력, 즉 투입시간이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많아이것이 감사품질의 상승효과를 가져오고, 이 두 가지 요소를 결합하였을 때 감사효율성은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데 공헌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규모기업집단과 관련된 이해관계자 및 외부감사 관련 공공기관 및 업계, 그리고 학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감사투입요소로 사용하고 있는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은 기존의 일부 연구에서 감사품질의 대용변수로 사용한 연구도 있으며, 감사산출요소로 채택한 재량적발생액은 감사품질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This paper investigate whether the audit efficiency when the firm hire the auditor of the mother firm as the auditor of subsidiary firm has the systematic difference or not. In large business group, there are internal transactions between the mother firm and subsidiary firm.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transactions are complex and not clear. So it is not easy to find and understand the internal transactions. So we can expect if the subsidiary firm hire the same auditor with mother firm, the audit efficiency will be higher rather than the appointment of non-same auditor between mother firm and subsidiary firm. That means if the auditor of mother firm audits the subsidiary firm, the auditor can collect evidence about internal transactions more effectively. So we examine the difference of audit efficiency whether the firm hire the same auditor between the mother firm and subsidiary firm or not. For examining our hypothesis, we use th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 and we measure the audit input as audit fee and audit hour and the audit output as discretionary accruals and accrual quality. DEA method is known as the measure of efficiency. Our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firm hire the auditor of mother firm as the auditor of subsidiary firm, the audit efficiency has not systematically different in comparing with appointing non-same auditor within large business group. That is to say, the same auditor appointment does not influence on audit efficiency. Additionally, we analysis the differences the input factor and output factor whether the appointment of same auditor or not. As the results, in case of the same auditor appointment, the total audit fee and audit hour are higher rather than the non-same auditor appointment. However the audit fee per hour is lower in case of the same auditor appointment. So we can interpret, the same auditor input higher audit hour is the reason why the same auditor receive more audit fee. And the quality of accruals is higher and the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is lower in case of the same auditor appointment. That means the effect of audit increase when the firm hire same auditor within business group. Second, we analysis the hypothesis using the subsidiary firm except mother firm. Because the background of the same auditor appointment is whether the subsidiary firm hire the same auditor with mother firm or not. As the result using the subsidiary firm, the result is not changed in comparing with the results using all sample. The efficiency can be measured by considering the input and the output concurrently. So the results that is considered both sides have contribution. Because the previous research consider only one side(audit input or audit output), those can not measure the audit efficiency exactly. So this paper has contribution that we try to measure the accuracy of efficiency exactly as possible as we can. But this paper have limitations. The first the input variable(audit fee and audit hour) that we use can be proxy of audit quality and several previous research audit fee and audit hour use as a audit quality measure actually. Because the audit quality can be explained by audit output rather than audit input, that is our limitation. Second, the discretionary accruals can not affected by only audit quality. Bud we do not control that kind of effect completely.

      • KCI등재

        연구논문 : 토빈의 Q로 측정한 사회적 책임활동의 장기효과 및 사외이사제도의 역할

        김정옥(제1저자) ( Jeong Ok Kim ),신유진(교신저자) ( Yoo Jin Shin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6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장기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을 사용하여 이들 특성이 사회적 책임활동과 장기기업가치와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기업의 CSR에 대한 투자가 t기부터 t+3기까지 측정한 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며, 둘째, CSR에 대한 투자와 장기 Tobin``s Q와의 관계에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CSR에 대한 투자는 장기 Tobin``s Q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외이사의 수,전문성, 독립성, 활동성으로 측정한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을 사용하여 CSR이 장기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이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활동성을 제외한 나머지 특성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투자자들은 기업의 CSR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또한 사외이사제도의 특성이 우수할수록 더욱더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할수록 CSR 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CSR에 대한 투자의 효과를 장기간의 관점에서 조사하였다는 것과 이러한 효과가 사외이사제도의 특성과 결부되어 차별화된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중요한 차이점을 지닌다. 즉,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CSR이 장기간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여 CSR 투자에 대한 직접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경영자를 포함한 기업의 관계자 및 시장참여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기업의 사업내용과 특성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CSR에 대한 투자가 궁극적으로 기업의 성장에 기여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을 평가함에 있어서 기업의 사회기여활동의 건전성 및 내용 등도 포함하여야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본의 한계로 인하여 CSR이 장기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을 더 확장된 기간으로 사용하지 못하였다는 것과 사외이사제도이외에 다른 특성을 포함하지 않았다는 것에 그 한계가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연구과제로 남을 것이다. 그리고 CSR이 장기적으로 기업가치 증대에 기여하더라도 기업 입장에서CSR에 대한 투자를 무제한 할 수 없으므로 적정수준이 존재하는지를 찾아보는 것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hereafter, we use CSR instead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future firm value. And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BOD and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future firm value. In here, we use the Tobin``s Q as the proxy of the firm value. And we measure CSR using the index of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s Justice from 13 to 20. Specifically first, we examine the effect CSR on Tobin``s Q from year t to year t+3. The reason why use the period from year t to year t+3 is to investigate short and long term effect of CSR. Second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In Korea, the ratio of the investment of CSR is higher rather than other asia country and developed country. Therefore, to investigate why company in Korea increase to invest to CSR will give important contribution. And also the ratio is increasing recently. The investment of CSR is not forced to insiders and outsiders of firm. And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firm interest. So several kinds of research suggest why the company spend big money to CSR. First, the purpose of investment of CSR is to increase to the public interest independent of company interest. But ultimately, the activity of CSR will contribute the growth of firm value. Second, the company invest the CSR to achieve the private purpose of company. Therefore he standpoint of CSR is confused. Our hypothesis are as follow; First, we expect that the index of CSR will effect on future Tobin``s Q. That is, Tobin``s Q will be higher when the index of CSR is higher. Therefore investors place the importance on the index of CSR. Second, we posi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x of CSR and Tobin``s Q will be affected by th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Because the well-established corporate governance will effect firm value positively. Therefore we expect the Tobin``s Q will increase when the firm have quality of corporate governance invest the CSR. We use the characteristics of BOD as the proxy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also to examine our hypothesis, we use Heckman``s two-stage model. Because the CSR of company can be influenced by firm characteristics, so it need to control firm characteristics to find the effect of CSR. We found that Tobin``s Q of firm increased when firm increased to invest on CSR. That is, the investment of CS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obin``s Q measured by from year t to year and t+3. And also, we examin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BOD measured by number of outside directors, expert of outside directors,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and activity of outside directors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As the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BOD have a crucial role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except activity of outside directors.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increased when firm have more the number of BOD. That is, the number of BOD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Tobin``s Q. And we found the similar result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ert of outside directors,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investors regard the CSR of firm as a good news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BOD simultaneously when they evaluate firm value. These results consist with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which the effect of CSR one firm value is affected by of quality of corporate governance. Our contributions are as follows. Our study investigate the long-term effect of CSR on the other hand the prior research examine the short-term effect. And we have a difference that we combine the characteristics of BOD with the effect of CSR on Tobin``s Q.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