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난폭운전 행동예측

        신용균,류준범,강수철 대한교통학회 2007 대한교통학회지 Vol.25 No.3

        난폭운전(aggressive driving)이란 ‘의도적으로 다른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위험을 유발하거나 불쾌감을 주는 운전행위’(신용균, 강수철, 류준범, 권오정, 2006)로 교통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운전자 자신은 물론 주변의 다른 운전자와 동승자 및 보행자 모두의 생명을 위협하고,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입히게 된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이러한 난폭운전은 주로 운전자의 성격이나 태도변인, 난폭운전 의도, 시간압박감, 도로교통 상황 등 심리사회적 변인들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연구들을 제외하고는 난폭운전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주로 현장연구 또는 조사연구 방법 등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만을 제시할 뿐 실제 운전행동 측정치에 의한 인과관계를 규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차 변인으로 운전자의 난폭운전 의도 변인을 측정하였으며, 시간압박감과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를 실험적으로 조작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난폭운전 의도나 시간압박감 수준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차이는 난폭운전 행동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특히 끼어들기운전 행동에 있어서는 의도와 시간압박감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와 관련하여 함의를 논의하였다. Aggressive driving is defined as ‘driving behavior which intentionally incurs danger and distress to other drivers and passengers’. I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raffic accidents. Also, it threatens lives of drivers and passengers and brings social and economic harm.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se aggressive behaviors are affected by not only the personality of drivers but also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attitude, aggressive intention, time pressure, and traffic situations. However, most studies on aggressive behaviors conducted with field studies and surveys suggest correlation, not causal relationship. Therefore, in the current study, the authors measured individual factors--the driver’s intention for aggressive driving and manipulated time pressure--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conditions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level of aggressive intention and time pressure. These differences were also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types of aggressive driving behaviors.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driver's intention and time pressure on improper passing (cutting drivers off when passing) was significan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of using a car simulator are discussed.

      • 고질적인 품질문제 해결을 위한 샤이닌기법 활용 사례

        신용균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고질적인 품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 제시된 다양한 품질문제해결 수법이 있지만, 쉽게 현업에 적용이 가능하며 파워풀한 샤이닌 기법의 개요를 설명하고, 이를 활용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샤이닌 기법은 고질적인 품질 문제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해결책을 규명하는 방법으로 과제 상황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즉, 샤이닌 기법의 핵심이 되는 내용으로 짝비교방법, 부품추적실험법, 변수추적실험법이 있으며, 실험방법에 있어 기존의 실험계획법과는 다르며-접근절차 및 해석방법의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쉽게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샤이닌 기법에서는 고품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하여 최상의 양품과 최악의 불량품 또는 표준조건과 한계조건을 비교하는 방법을 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샤이닌 기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고품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정리를 잘못하게 되면 원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없기에 이에 대한 방법을 곁들이는 방법을 추가 설명 하고자 한다. 마치 샤이닌 기법을 고기를 잡기 위한 그물로 비교한다면, 그물을 사용하기 이전에 어디에 그물을 던져야 원하는 고기를 잡을 수 있을지 파악 하는게 중요하며 이가 곧 주요요인 후보가 된다. 본 사례의 핵심요소를 크게 3가지로 구분하면, ① 고질적인 품질문제 해결의 시발점으로 최상의 양품과 최악의 불량품을 비교하는 방법 ②다양한 요인을 도출하여 주요요인 후보를 정리하는 방법 ③주요요인 후보를 기준으로 샤이닌 기법을 활용하여 고질적인 품질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 본 사례가 스마트 공장의 확산에 따른 빅데이터 환경에서 데이터 기반의 고질적인 품질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정립되어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품질과 생산성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Cpm과 손실함수 이해를 통한 품질특성의 목표치 관리 의미

        신용균 한국품질경영학회 2023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0

        시장에서 발생하는 부적합품 및 크레임에 대한 근본적인 대응방안으로 주요한 품질특성치에 대한 공정능력지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현재 많은 기업들이 공정능력지수에 대하여 Cp, Cpk를 활용하고 있지만, 추가로 Cpm에 대한 활용을 강화해야 한다고 본다. 이는 단지 <산포관리>의 차원을 뛰어 넘어 <목표치를 기준으로 산포관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Cpm이 확보되었다는 것은 양산품질을 설계품질과 일치시켰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다구찌박사(G. Taguchi, 1924~2012)도 손실함수를 이용하여 품질수준을 손실비용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기업별로 현재의 품질수준을 시장에 출하하기 전에 Cpm 및 손실비용을 사전에 평가하여 품질경쟁우위 전략을 전개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일본기업의 품질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한 이면에는 <규격내에서의 산포관리>가 아닌 <목표치에서의 산포관리>라는 것이다. Cpm확보는 단순히 양품이 아닌 확실한 양품을 의미하기에 품질에 대한 인식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계기로 가져가기 위하여 본 논문을 제시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보수주의회계와 이익조정수준이 이익예측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용균,한만용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5 경영컨설팅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며,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가 FN Guide에 발표된 비금융기업 중 최종적으로 선정된 1,161건의 표본을 이용하여 보수주의회계와 이익조정수준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분석과 함께 보수주의회계와 이익조정수준 간에 어떠한 상호관련성을 갖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변수(FA)와 보수주의회계변수(CON) 간에는 유의적인 음(-)의 회귀계수가 관찰되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가 낮을수록 즉, 이익예측이 정확할수록 기업이 보수주의회계를 강화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변수(FA)와 이익조정수준변수(DA) 간에는 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가 관찰되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가 낮을수록 즉, 이익예측이 정확할수록 이익조정수준도 낮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보수주의회계변수(CON)와 이익조정수준변수(DA) 간에는 양(+)의 회귀계수가 관찰되어, 기업이 보수주의회계를 강화할수록 이익조정수준도 높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financial analysts' forecast accuracy affects the conservation accounting or level of earning management and whether conservation accounting affects level of earning management. The sample consists of 1,161 firm observation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Market 2000-2013.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o be foun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financial analysts' earning forecast accuracy variable(FA) i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conservation accounting variable(CON). This result supported [hypothesis 1]. Second, We find that financial analysts' earning forecast accuracy variable(FA) i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level of earning management(DA). This result supported [hypothesis 2]. Third, We find that the the conservation accounting variable(CON) i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level of earning management(DA). This result supported [hypothesis 3]. Fourth, The financial analyst' forecast accuracy variable(FA) were analysis that can explain on the control variable. The firm size variable(SIZE) and debt ratio variable(DEBT) were observed with significantly positive(+) regression coefficient. and the growth variable(MB) and the earning level variable(ELV) were observed with significantly negative(-) regression coefficient.

      • KCI등재

        기관투자자 지분율이 현금배당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신용균,한만용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5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현금배당을 공시한 12월 결산기업 중 기관투자자 지분율이 5% 이상인 기업 484건의 표본을 대상으로 현금배당의 공시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이러한 현금배당의 공시효과가 신호표시효과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대리인효과에 기인한 것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기관투자자가 5% 이상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현금배당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현금배 당 공시시점에서 비정상수익률을 측정하여 주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현금배당 사건기간의 누적평균비정상수익률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양(+)의 값이 관찰되어 양(+)의 현금배당 공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양(+)의 현금배당 공시효과가 신호표시효과에 기인한 것인지에 대한 검증에서는 전년도에 비해 현금배당이 증감된 표 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양(+)의 누적평균비정상수익률이 관찰되어 기업의 경영자들은 현금배당정책 을 통해 기업외부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미래전망에 대한 내부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신호표시효과를 지지하였다. 셋째, 양(+)의 현금배당 공시효과가 대리인효과에 기인한 것인지에 대한 검증에서는 기관투자자지분율 10% 이상인 표본과 10% 미만인 표본간의 양(+)의 누적평균비정상수익률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두 표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존 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대리인효과를 기각하였다. 마지막으로 현금배당의 공시효과를 검증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신호표시효과의 대용변수인 총자산순이익률변수가 통계적 으로 유의적인 양(+)의 회귀계수가 나타난 반면, 대리인효과의 대용변수인 기관투자자 지분율변수와 부채비율변수는 통계 적으로 유의적 이었으나, 회귀계수의 부호가 반대로 나타나고 있어, 현금배당의 신호표시효과를 지지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 investor’s holdings and cash dividends policy.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dividend disclosure effect is result from which effect, signalling effect or agency effect. This study use the 484 samples which are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stock market and Institutional investors have more than 5% holdings from 2005 to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erized as follows. First, we were able to observe positive(+)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 during the announcement period(0, +1) 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1%.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company’s cash dividends effect which Institutional inventors have more than 5% holdings strongly supported the disclosure effect of cash dividend. Second, the study is proceeded that whether cash dividend disclosure effect is originated from signalling effect or not. The sample which have gain and loss cash dividend and profit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 during the announcement period(0, +1) difference from sample that have less, strongly supported signalling effect of cash dividend. Third, the study of the disclosure effect of cash dividend is originated from agency effect shows positive(+)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 between the sample that have more than 10% Institutional investor’s holdings and les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amples, so the agency effect is dismissed. Finally,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examined disclosure effect of cash dividend, the net income to total assets ratio variable, proxy measurement of signalling effect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gression coefficient. However, the institutional investor's holdings ratio variable proxy measurement of agency effect and debt ratio variable show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negative(-) regression coefficient, that supported signalling effect of cash dividend policy.

      • KCI등재

        운전중 텔레매틱스 장치 사용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용균,류준범 대한교통학회 2008 大韓交通學會誌 Vol.26 No.6

        최근 IT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위성 및 지상파 DMB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운전 중 DMB를 시청하거나 문자나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시청하기 위해 차량 내 DMB를 설치하는 사례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중 DMB 시청은 운전중 음식섭취, 라디오 조작, 휴대폰 사용 등과 유사하게 운전자의 시지각 및 인지적 주의를 분산시켜 안전운전에 방해를 초래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한 국내외의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운전행동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도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운전 중 DMB 시청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차량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피험자내 실험설계를 하였으며 실험참여자들은 두 조건(즉, 운전 중 DMB를 시청하지 않는 조건과 DMB를 시청하는 조건) 모두에서 주행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운전 중 DMB를 시청하는 조건이 시청하지 않는 조건에 비해서 목적지에 도달하는 소요시간이 더 걸렸으며 가속 및 감속 페달을 급하게 조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향휠 편차가 크게 나타나 주행안전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DMB 조작 조건(즉, 키패드 조건, 터치패드 조건, 리모컨 조건)에 따른 운전행동 차이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With dramatic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start of DMB service, installing the DMB equipment in a vehicle for watching TV programs and literal or pictorial traffic information are increasing. Watching the DMB during driving the vehicle could cause visual and cognitive distraction to drivers as much as eating food, operating radio and using mobile phone. However, there is not much empirical research for this topic and no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watching the DMB on driving behaviors in Korea. So,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atching the DMB on the driving behaviors with car simulator experiment. Within subject design was used in the study. That is, all subjects drove the vehicle both in the watching DMB condition and the non-watching DMB con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bjects in the watching DMB condition took longer time to arrive at the destination and operated accelerator and brake pedal rapidly than subjects in the non-watching DMB condition. That is, their overall driving stability was lower than non-watching subjects'.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difference among the DMB control conditions (i.e., keypad condition, touch-pad condition and remote controller condition) in the driving behaviors.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 KCI등재

        운전분노척도에 의한 과속운전 행동의 예측

        신용균,한덕웅,류준범 한국건강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4 No.1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driving anger is an important psychological determinant of traffic accidents and violations in a variety of driving setting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driving anger scal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anger and overspeed driving in Korea. Based on the Driving Anger Scale (DAS) proposed by Deffenbacher and colleagues (1994), a Korean version of Driving Anger Scale (K-DAS) was developed to reflect the traffic and road conditions in Korea. In Study 1,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data from 1,125 adult Korean drivers revealed a 6 factor structure of driving anger scale. In study 2, which employed 410 adult Korean drivers, the 6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was cross-valida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s predictive utility was examined. The Results from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satisfactory fitness of 6 factor model. Moreover,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ix factors of the K-DAS well predicted overspeed driving in Korea. In study 3, which employed 476 adult Korean drivers,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addition of driving anger led to the significant increment in explaining overspeed driving in amount of explained variance in attitude toward overspeed driving,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최근 연구들에서 운전분노가 교통사고 및 교통법규 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학적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운전분노를 적절하게 측정할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가 없으며 운전분노가 운전행동이나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낸 연구도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운전분노를 측정하기 위하여 Deffenbacher와 동료들(1994)이 개발한 운전분노척도(Driving Anger Scale)를 참고하였다. 이 척도에 국내의 도로교통 상황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문항들을 보완하여 한국판 운전분노척도를 개발하고 이 척도를 사용하여 운전분노와 과속운전 행동의 관계를 알아내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세 개의 독립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성인 운전자 1,125명을 대상으로 운전분노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적일치도 분석 등을 통하여 척도를 제작하였다. 연구 2에서는 성인 운전자 410명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개발한 한국판 운전분노척도의 6요인 구조모형에 대한 교차타당화를 수행하였다. 운전분노척도의 6개 하위요인들의 측정치들을 예언변인으로 사용하여 과속운전 행동의 예측에 기여하는 수준을 알아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2의 결과 6요인 구조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결과는 만족스러웠으며 운전분노척도의 6개 하위척도들 가운데 ‘다른 운전자의 무례한 운전행동’ 과 ‘경찰출현 상황’ 척도를 제외하고 4개 하위척도들이 과속운전 행동을 잘 예측하였다. 연구 3에서는 또 다른 476명의 성인운전자들을 대상으로 과속운전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안된 과속운전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력 지각의 사회인지 요인들을 넘어서 추가로 운전분노의 정서요인이 유의하게 기여함을 알아내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장래연구를 위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