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숨어살기의 논리

        신영명(Shin Young-Myoung) 한국시조학회 2004 時調學論叢 Vol.21 No.-

        이 글은 삼국유사 「피은」편의 연회 이야기와 16세기 강호시조에 있어서 숨어사는 삶의 논리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비교적으로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검토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삼국유사 「피은」편의 연회 이야기에는 숨어사는 삶의 진정한 의미는 보살도 정신을 구현하는 데 있다는 변증법적 논리가 나타난다. 문수보살이나 변재천녀로부터 연회가 배운 것은, 세속을 떠나 자연에 숨음으로써 완성하고자 한 보현관행이 오히려 세속으로 다시 돌아옴으로써 완성된다는 역설적인 사실이다. 둘째, 강호시조에는 사대부의 삶의 양식을 보여주는 출처관이 나타난다. 출은 정치현실로의 나아가기를, 처는 강호자연으로의 물러서기를 각각 가리킨다. 강호시조는 이 출처의 갈등을 자연을 매개로 한 심성수양을 통해 해소하고자 한다. 그러나 작가에 따라 그 갈등을 해소하는 정도의 차이는 약간의 편차를 갖는다. 셋째, 숨어살기의 전개에 있어서 연회 이야기는 변증법적 특성을 지니는 반면, 강호시조는 평면 분할적인 성격을 지닌다. 전자가 찰나적인 깨달음을 통해 삶의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면, 후자는 과정상의 실천적인 노력을 통해 조화로운 삶을 실현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meaning of the seclusion which appeared in Samgukyusa with Kangho-Sijo. There is true meaning of seclusion so that a Bodhisattva implements a spirit. And in Samgukyusa, it has a dialectics logic. There is true meaning of seclusion in order to solve a trouble of a participation-retirement through the moral training. And in Kangho-Sijo, it has a plane-divided logic.

      • KCI등재

        <찬기파랑가>의 상징체계와 경덕왕대 정치사

        신영명 ( Shin Young-myo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8 국제어문 Vol.43 No.-

        <찬기파랑가>는 기파랑의 찬양을 통해 시대 구원의 문제를 노래한 향가다. 충담사는 기파랑이란 인물 형상을 통해 사회 통합을 추구한다. 이 주제의 구현을 위해 <찬기파랑가>는 월인천강의 형상을 차용한다. 곧 달은 임금, 조약돌은 백성이 된다. 그리고 이 둘을 매개하는 것은 백운으로서의 기파랑이며, 이를 방해하는 것이 먹구름이다. 이것이 <찬기파랑가> 상징체계의 핵심이다. 경덕왕대는 신라중대 전제왕권 대 귀족연합 간의 갈등이 내연하던 시기다. 기파랑은 김기와 일정 정도 동일한 성향을 가진 인물이다. 이 둘은 신라중대 사회의 모순 해소를 통해 국가 통합을 꿈꾼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찬기파랑가>는 화랑정신의 복고를 통해 시대 구원을 꿈꾼다는 점에서 당대 지성의 목소리를 담고 있다. "Ode to Knight Kipa" is an old Korean song which sings for restoring the times by admiring Knight Kipa. "Ode to Knight Kipa" seeks for the unification of a society through the characterization of Knight Kipa and uses the method of the symbolism known as `One moon shines on a thousand river` for it. That is, the moon means the king and the pebble people, which Knight Kipa as the white cloud mediates while the black cloud tries to stop it. This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the symbolism of "Ode to Knight Kipa." The king Geongduck era was when the absolute monarchy was in discord with the confederate aristocracy. Knight Kipa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Kim Gi in that both of them dreamt of the unification of a nation by solving the conflict inherent in the middle years of the Silla dynasty. The master Chungdam represents the intellectual voice of the times in that he dreamt of restoring the times through the revival of the Knight spirit.

      • KCI등재

        미타찰과 자연

        신영명(Shin Young-Myoung) 한국시조학회 2010 시조학논총 Vol.32 No.-

        이 논문의 목적은 16세기 자연시조를 〈제망매가〉와 비교함으로써 그 속에 담긴 삶의 구극적 형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비교 대상이 되는 16세기 자연시조는 이현보의 〈어부단가〉, 이황의 〈도산십이곡〉, 권호문의 〈한거십팔곡〉, 송순의 〈면앙정단가〉, 이이의 <고산구곡가〉, 정철의 시조 몇 편 등이다. 8세기 월명사의 〈제망매가>에는 생사로와 미타찰의 대립이라는 작품적 구도가 나타난다. 이 대립은 생사로가 미타찰이며, 미타찰이 생사로라는 변증법적 논리를 통해 해소된다. 이 해소를 통해 〈제망매가〉는 생사의 경계를 뛰어넘는 열반과 보리의 경지를 획득한다. 16세기 자연시조에는 자연과 세속의 대립이라는 작품적 구도가 나타난다. 이것은 출처의 갈등이라는 특성을 지니는데, 그 갈등 해소를 위해 시기의 평면분할적 선택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른다. 이 경우 그 선택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간과 자연이 일체가 되는 경지를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제망매가〉는 불교, 16세기 자연시조는 유교에 입각해 삶의 구극적 형상을 드러낸다. 범박하지만 그 차이를 설명하자면, 불교는 보다 근본적으로 삶의 궁극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유교는 인간의 욕망을 일정하게 인정하는 상태 안에서 조화의 상태를 꿈꾼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meaning of the extremity of life which appeared in nature sijo in 16th century with ‘Ode to the Deceased Sister’ in 8th century. ‘Ode to the Deceased Sister’ is based on Buddhism The Nature sijo in 16th century is based Confucianism. ‘Ode to the Deceased Sister’ has a dialectic logic. And nature sijo in 16th century has a plane-divided logic.

      • KCI등재

        <제망매가>, 회향의 노래

        신영명 ( Shin Young-myoung ) 국제어문학회 2004 국제어문 Vol.32 N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Ode to the Deceased Sister`. The study on `Ode to the Deceased Sister` has been largely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erishing the memory of a deceased person. The Ode, however, includes the aspect of asceticism as well. This paper also aims to change the traditional practice of study to some extent by adding an ascetic aspect to the nature of `Ode to the Deceased Sister`. To achieve such goal,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two items as follows. The first one is interpreting the difficult word “CHAHILYIGYEON(次?伊遣)”, and the second one is the nature of the ritual for the deceased. That is, “CHAHILYIGYEON” is interpreted as “isolate someone”, and the ritual for the deceased has the aspect not only of cherishing the memory of a deceased person but also of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Based on this new interpretation, the meaning of the Ode can be explained in the following way. `Ode to the Deceased Sister` deals with the issue of death. That is, its topic is the sister on the verge of death, but it tells the transcendence of the pain from death. In this context, `Ode to the Deceased Sister` is a song of relief. But the relief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in the death of the sister. Through this participation, the storyteller goes through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procedure and prays to obtain the enlightenment that transcends the boundary of life and death. The enlightenment transcending the boundary of life and death, however, can have a true meaning only when it leads to the paradoxical enlightenment that there is no subject, object and the action itself of enlightenment. This true enlightenment out of the so called enlightenment is referred to as returning the result of good actions to the empty enlightenment(菩提廻向). The relief of the sister can be truly realized via this enlightenment. In this context, the paradise resides at the return of one`s merit to enlightenment in stead of some other place. Therefore, we can call `Ode to the Deceased Sister` as a song of returning one`s merit to others.

      • KCI등재

        향가 수사법과 〈원가〉의 통사론적 이해

        신영명(Shin, Young-Myoung)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4

        향가 수사법의 한 항목인 생략법과 도치법을 단서로 삼아, 〈원가〉의 통사론적 해독을 시도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빛깔 좋은 잣나무 가을에도 아니 시드는데, 너 어찌 잊으랴 하신 우러르던 얼굴 변하실 줄이야. 달그림자 어리는 연못의 일렁이는 물결 물가 모래 일듯이, (일말의 기대를 걸고) (임금님) 얼굴이야 바라보지만, (임금님뿐만 아니라) 세상마저 (나를) 억누를 줄이야 제4행 전구 도치 부분을 제3행 앞으로 옮기되, 율격을 맞추어 재배치하면 다음과 같다. 빛깔 좋은 잣나무 가을에도 아니 시드는데, 너 어찌 잊으랴 하신 우러르던 얼굴 변하실 줄이야. (일말의 기대를 걸고)(임금님)얼굴이야 바라보지만, 달그림자 어리는 연못의 일렁이는 물결 물가 모래 일듯이, (임금님뿐만 아니라) 세상마저 (나를) 억누를 줄이야 Syntactic reading of “Blame Song” focusing on ellipsis and inversion, two representative rhetorics of ‘Hyangga,’ Korean old folk song can be as follows: Shiny leaves of nut tree do not fade even in the autumn, Little did I dream that thy trustworthy face, which has been looked up to, could change. As swaying wave of moon’s reflection in pond agitates sand close to the water, I stare at and adore the royal visage, but never dreamed of going through the hardships of the world. If the inversion part of fourth line is placed before third line, the whole reading can be relocated according to the rule of versification as follows: Shiny leaves of nut tree do not fade even in the autumn, Little did I dream that thy trustworthy face, which has been looked up to, could change. I stare at and adore the royal visage, But as swaying wave of moon’s reflection in pond agitates sand close to the water, I never dreamed of going through the hardships of the world.

      • KCI등재

        여말선초 시조의 세 가지 국면

        신영명(Shin Young-myoung) 한국시조학회 2008 시조학논총 Vol.29 No.-

        여말선초 시조는 우리 시가사에 있어서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은 정병욱의 『시조문학사전』에 기재된 20수 시조를 대상으로, 그것이 가진 세 가지 국면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첫째, 작가의 진위 문제, 둘째, 정치 담론적 성격, 셋째, 작품의 유형이 각각 그 세 국면이다. 이제 그것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말선초는 시가사상 경기체가와 악장의 시대에 속한다. 그러므로 이 시기 작품은 모두 위작이 된다. 둘째, 여말선초 시조는 17세기 사대부 정치 담론의 장에서 처음 연행된 작품으로 보인다. 셋째, 여말선초 시조는 크게 정치, 애정, 탄로의 세 주제로 나누어진다. 그 가운데 다수를 점하는 17수는 정치 유형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이는 다시 충절, 회고, 각세, 개세, 탄세의 하위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Sijo, Korean Verse,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last year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occupies a peculiar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ree major aspects of 20 poems included in Jeong, Beongok's Literary dictionary of Sijo, the first and second of which are to ascertain the authenticity of their authors and political discourses found in them. The last one is to examine types of each individual work. The above three aspec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last year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as the age of Keonggiche-Ga, the representative poetic style of the late Goryeo and Ak-Jang, the representative poetic style of the early Joseon, which means all the poems of Sijo produced in this period can be said to be a forgery. Secondly, the poems of Sijo in the last year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are thought to originally come from political discourses of the gentry in the 17th century. Thirdly, three major themes of the poems of Sijo produced in the last year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are politics, affection and lamentation. 17 poems of those deal with political subjects, which can be sorted into lower types such as loyalty, recollection, awakening the world, rebuilding the world and lamenting the world.

      • KCI등재

        7세기 초 신라 정치사와 〈혜성가〉

        신영명(Shin Young-myoung)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4

        〈혜성가〉는 국가의 안녕을 기원한 노래다. 6세기 말 7세기 초 동북아는 역사적으로 거대한 지각 변동을 경험한다. 〈혜성가〉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탄생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왜군의 침입과 혜성의 출현이란 두 사건이 나란히 나타난다. 두 사건 모두 위기처럼 보이지만, 진평왕은 융천사를 통해 이 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바꾼다. 이것은 국제적으로는 왜국과의 외교적 갈등을 푸는 역할을 하며, 국내적으로는 귀족 연합과의 타협을 통해 전제왕권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볼 때, 〈혜성가〉는 진평왕대 전제왕권의 업적을 찬양하는 악장문학이 된다. 〈혜성가〉의 대의를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옛날 동쪽 바닷가 건달바가 놀던 성을 살피다 왜군도 왔다 봉화 사른 변새 있어라 세 화랑 산 본다는 소식을 듣고 달도 부지런히 빛을 발하는데 길쓸별 바라보고 혜성이라 아뢴 사람이 있다 아아 산 아래로 사라졌으니 이밖에 무슨 혜성 기운이 있겠는가 The general meaning of "Ode to a Comet"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In old times a godlike general, Gandharva have observed and protected the East Sea. The moment Japanese soldiers invaded and tried to destroy it, its frontier fortress lit a signal fire. The moon lightened the road devotedly at the news that three Silla knights came to take a view of the mountain. Someone informed the star which sweeps the road as an ominous sign. Oh, now that it has disappeared down the mountain, Is there anything else but this propitious spirit?

      • KCI등재

        〈안민가〉의 정치사상

        신영명(Shin Young-Myoung)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1

        〈안민가〉는 8세기 중반 신라 충담사가 가진 정치사상의 일단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거기에는 왕도사상과 정법사상의 두 사상이 서로 습합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두 사상의 습합 사이에는 하나의 틈새가 존재한다. 혁명 사상의 강도에서 오는 차이가 그것이다. 〈안민가〉는 그 배면에 있어서는 정법사상을 깔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왕도사상이 우세한 경향을 보이는 작품이다. 이러한 사상적 지형도는 〈안민가〉의 혁명적 발상을 보여주는 한 증거가 된다. 또한 그것은 8세기 중반 신라 사회에 있어서의 충담사의 정치적 위상을 보여주는 징표로 작용한다. 충담사의 정치적 위상은 경덕왕 당대의 정치 상황을 참조할 경우 더욱 분명히 알 수 있다. 이 시기 정치는 왕당파, 중도좌파, 중도우파, 반왕당파의 네 세력이 각축을 벌이는 구도를 가진다. 여기서 충담사는 중도좌파의 정치적 위상을 갖는데, 이것은 그의 정치 비판적 성격을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 〈안민가〉는 충담사의 체제 비판적, 중도우파적, 혁명발상적 정치사상의 지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러나 그 정치사상은 당대 현실 정치에서는 싹을 틔우지 못한 채 씨앗으로만 남을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동시에 가진다. 〈AnMinGa〉 is the work which embodied the glimpse of political ideas that Silla Choongdam temple has in the middle of 8th century. The rule of right ideas and the law of right ideas appear with a compromise. However, there is one crack between the compromise of those two ideas. It is the difference coming from the strength of revolutionary ideas. Although 〈AnMinGa〉 is based on the law of right ideas in the background, the rule of right ideas generally tends to present superiority. This ideological tophographic map becomes an evidence to show the revolutionary idea of 〈AnMinGa〉. Moreover, it acts as a sign that indicates Choongdam temple's political status in terms of Silla society in the middle of 8th century. The political status of Choongdam temple would be understood more accurately if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age of King Kyoung Deok is referred. In the age, politics have a structure that the four powers - royalists, center-left, center-right, and the counterforce of royalists - compete. Here, Choongdam temple has the political status of center-left and it proves the critical characteristic for politics. 〈AnMinGa〉 is a work that shows system-critical, center-righteousness, topographic of revolutionary thinking-based political ideas of Choongdam temple. Though, the political ideas simultaneously has a limit to be remained as a seed that have not budded in the real politics.

      • KCI등재

        안축과 정지용, 역사 전환기 대응 비교

        신영명(Shin, Young-myoung)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38

        이 글은 역사 전한기에 대응하는 안축(1282~1348)과 정지용(1902-1950?)의 문학적 자세를 살핌으로써, 그것이 갖는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를 비교 검토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br/> 안축의 문학적 거점은 중세 보편과 민족 특수 사이의 갈등을 통해 형성되는데, 그는 이 문제를 사대와 함께 오히려 중세 보편의 중앙으로 진입하는 전략을 통해 해소한다. 이때 그 거점은 사대부의 집단의식을 통해 형성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그들은 조선왕조를 건설하는 역사적 성과를 올린다. 곧 안축은 민족 발견을 통해 문제 해결의 주도권을 잡음으로써 중세 보편의 새 질서를 모색한다. 〈관동별곡〉과 〈삼탄〉 같은 작품에서 그 작품적 증거를 찾을 수 있다.<br/> 정지용의 문학적 거점은 식민과 근대의 갈등을 통해 형성되는데, 그는 이 문제를 자유 가치 중심의 모더니즘을 통해 풀고자 한다. 그러나 식민 근대는 필연적으로 민족 문제를 파생하지 않을 수 없다. 정지용은 비교적 후기로 들어와 이 문제를 다루지만, 안축과는 달리 집단적 동력을 획득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바다 9〉에서 보여준 그의 근대 기획은 당대의 한 업적으로 기록할 만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An, Chuk(l282-1348)’s literature with Jeong, Jiyong(l902-1950?)’s, An, Chuk’s literary foothold can be said to be based on conflicts between medieval universality and national specialty, which he tried to solve through such strategy as touches the core of medieval universality with submission. As the result, new noblemen like An, Chuk achieved a historical success in building the Joseon Dynasty. Fundamental contradiction came to be settled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nation and so did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ruling and the ruled, the examples of which can be found in such works as “a special verse on Guan-Dong” and “Sigh for Hemp.”<br/> ? Jeong. Jiyong’s literary foothold can be said to be based on conflicts between colonization and modernization, which he tried to solve through modernism focusing on individual freedom. However, the colonized modern can’t help causing the problem of the nation, which Jeong, Jiyong dealt with in his later period, but his concerns wasn’t more than romantic individualism. However, his modern project in “Sea 9” can be valued as a remarkable achievement and his literature foothold be said to be an exemplar today in that it foresees some aspects of this global age.

      • KCI등재

        교훈시가와 가문

        신영명(Shin Young-myoung) 우리문학회 2003 우리文學硏究 Vol.16 No.-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 history of morality poetry. Morality poetry is divided by two patterns of teaching & binding in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br/> Teaching poetry is literature that reflect mastery of 'sajok'<br/> The other side, binding poetry is literature that reflect identity<br/> security of 'sajok' Morality poetry in the last period of Chosun dynasty is connecting with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It is the problem that should deliberate whether it strengthens yangban's helm or breakup yangban's helm.<b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