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申勝雨,金鎭國,金炳洙 최신의학사 1967 最新醫學 Vol.10 No.8
80 patients diagnosed as having acute abdomen have been studied from the roentgenological and clinical points of view. 75 of the patients were operated upon and 14 were not. X-rays taken in the simple erect position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bowel gases and fluid levels shown. Cases with typical spring-coiled appearances were classified as group 1, cases with sun-ray patterns as group 2 and cases with' appearances of fluid levels without plica circularis or haustral mar-kings as group 3. Cases showing irregular gas patterns in the bowel were classified as group 4. Operative findings were of two types, the simple type in which disease was localized in the intestine, and the complex type in which both the intestine and the adjoining tissues were involv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sex incidence was about 2:1, males predominating, (59 male : 30 female). The greatest number of patients were between 21 and 40 years of age, 17 being between 31 and 40 }rears and 14 being 21 and 30 years. 2. 44 patients (57/) of those receiving operative treatment reached the hospital within 24 hours of the onset of symptoms: 11 patients (75%) of those who were not operated on arrived at the hospital later than 24 hours after the first symptoms had begun. 3. The majority of patients operated upon, were found to have perforation of the bowel(64%) 19 of these (40%), being due to typhoid fever. The next most common finding at operation was intestinal obstruction in 22 patients (29%): intussusception was the cause of obstruction in 8 (36%), of these cases. 4. X-rays taken in the simple, erect position of the 48 cases of perforation of bowel, showed free gas in 31 (64.2%). Among these cases two were roentgenologically normal, 5 cases were placed in group 1, 12 cases in group 2 and 12 ir, group 3. 5. X-rays taken in the simple erect position on 19 patients found to have intestinal obstruction, showed one case to have normal bowel patterns, while 8 cases were placed in group 1, 6 case sin group 2 and 7 cases in group 3. 6. The relationship betv,,een the x-ray appearances of the bowel, and the intra-abdominal findings at operation was as follov,,s: 9 cases (75%) of simple type were placed in group 1, and 21 cases (33%) of complex type were placed in group 2; 28 complex cases (44%) were placed in group 3. Of the patients who did not have surgry, 6 cases (43%) were placed in group 1 and other 6 cases (43%) were placed in group 4.
신승우,방창훈,정재학 慶北專門大學(영주경상전문대학) 1999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17 No.-
본 연구의 조사 대상건물인 아파트내의 직상하층간 욕실 및 인접침실에서의 급·배수 설비소음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상층의 변기 급·배수 소음, 세면기 급수 및 배수 소음, 욕실 샤워기 소음 등에 따른 격하층 수음레벨 크기는 세면기 급수 및 욕조 샤워기 소음, 변기 급배수 소음, 세면기 배수 소음 순으로 나타났다. (2) 변기 급배수 소음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13dB(A) 정도이고, 세면기 급수 및 배수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각각 20dB(A), 13dB(A) 정도로 나타났으며, 욕실 샤워기 소음의 경우, 평균 감음량은 27dB(A)로 냐타났다. (3) 세대별 음압레벨 및 감음량 분석을 통해 15평형보다는 12평형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감음량이 낮게 나타나 아파트 평수가 적을수록 급배수 설비소음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4) 세대별 음압레벨은 15평형의 경우 약 43~52dB(A)이고. 12평형의 경우 47-52dB(A)의 분포를 나타내지만 모두 허용소음 기준(40 dB(A))을 초과하고 있으며, 수음실별 음압레벨은 침실에서 42~44dB(A) 정도의 분포를 보여 욕실의 47-52dB(A)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음압레벨을 나타내었으나 역시 허용소음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측정대상 대부분 N-35이상으로 일본건축학회의 허용 기준인 실내소음등급 2급을 초과하였다. (5) 욕실 소음의 원인으로는 욕실 천정을 통한 배관방식, 욕실 바닥을 관통하는 배수관과 슬라브와의 틈새, 보온재의 부착 상태 불량, 점검구내의 pipe duct 마감재 충진불량 등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설계 및 시공시 소음차단을 위한 세심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한의원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 개원의를 중심으로-
신승우,유승동,박동근 한국부동산연구원 2012 부동산연구 Vol.22 No.2
This study investigates location decision of Korean medical clinics operators, the decision of which can be influenced by the two competing factors: market factor vs. production factor. By us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this study empirically suggest that Korean medicine clinics consider market factors more seriously than production factors; accessibility to a clinic and a clinic’s surrounding market competition environment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decisions. We conjecture that these results come from insignificance of differentiation in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Korean medical clinic doctors.
신승우,양승진,윤영환,신성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11
대한민국은 노인인구 증가와 출생율 감소로 인해 생산인구가 고령화되고 있으며 청장년 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체적, 심리적으로 산업재해에 취약한 중고령 근로자의 안전은 재해율을 상승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본 논문에서는 근로자건 강검진을 표본으로 하여 신체기능의 특징과 심신기능 변화에 따른 중대재해 원인을 파악하고 재해예방 3E 이론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여 건설현장 중고령 근로자의 재해예방 방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술적인 측면에서 추락재해예방을 위 한 안전난간,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수직비계 등의 개발을 통해 위험 작업을 간소화하여 재해 가능성을 낮추는 방법을 도출하 고 관리적 측면에서 재해정보 관리시스템을 통한 재해정보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적인 방법으로는 중고령 근로자 만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특별교육과 감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대 책을 마련한다면 건설재해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신승우,정재학 慶北專門大學(영주경상전문대학) 2000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18 No.-
It is increased suddenly the appearance of physical defecters in modern society. thereupon. I suppose that they are fallen behind more than the advanced nations of the world in the protect plan that is the life environment and the public service for then especially. They feel a rain because special school is designed like general school in the public service. In my study I provide a course to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of the facilities of special school and a standard model about the designs. And I want to become the materials for the study of architecture
신승우,방창훈,정재학,박재영 慶北專門大學(영주경상전문대학) 1999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17 No.-
건설안전이 인류애의 차원에서 고려된다면 이제 일차적인 양적 안전에서 사람들이 건강하고 지구가 건강해지는 질적 안전의 개념으로 바뀌어 가야한다. 이것이 미래건설 안전의 개념이다. 재해는 항상 예고 없이 찾아와 수많은 인명을 앗아가며 다치게 하고 불구를 만들어 인간의 소중한 생명과 기능 그리고 재산상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는 무서운 재해이다. 그래서 아무리 예방을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는 것이 산재예방이다. 건설재해 중 우리나라 건설재해는 가장 후진국형이라 할 수 있는 추락재해가 약 85%를 차지하고 있다. 부실공사와 산업안전은 접근하는 자세부터 달라야 한다. 산업안전은 근로자의 보호며 건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재해의 사각지대로 불리우는 3억이상 100억미만의 건설현장을 1억 이상으로 강화하여, 우리나라 예산의 10%에 해당하는 직, 간접 손실을 줄여 경쟁력을 키우는 안전관리를 하여야 한다. 오직, 경비절감과 IMF의 이름아래 정부의 산업안전과를 폐쇄 또는 감축하는 것은 인명을 중시하는 정부의 자세가 아니다. 산업안전선진화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바뀌는 인기상품이 아니라는 사실이 각종 통계치에 나타나고 있다. IMF의 영향아래 규제를 자꾸 완화한다고 하지만 사회질서는 경쟁원리에 의해서 유지된다. 소비자안전규정, 근로자안전규정, 환경안전규정등 사회적규제는 선진국에서처럼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만 올바른 국가관을 형성할 수있다. 그러나 영업허가, 가격규제, 영업활동 등 정부에서 기업활동을 돕고 지원하는 진입규제 등은 철폐 또는 완화하는 것이 사회 질서의 원칙이다. 본론에서 언급한 가시설재문제, 표준안전관리비조정, 종합안전관리자제도, 교육제도, 건설재해예방지도기관, 자율안전관리제도, 재해율 발표 등이 사회적 규제의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건설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 또는 감소하기 위해서는 1차적인 직접원인의 제거에 노력을 기울일 뿐만 아니라 잠재적 오류를 규정함으로서 이러한 원인과 안전사고의 연쇄관계를 근원적으로 차단해야 한다. 이러한 건설재해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아무리 좋은 법과 대책이 있어도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아무런 효과가 없기 때문에 관계 당국과 기업, 근로자들간의 안전관리와 활동의식이 지속적으로 함양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승우,유선종,최기열,노민지,도주은 한국국토정보공사 2013 지적과 국토정보 Vol.43 No.1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xertion for rationalization of the land category systems of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nd we derive implication from the result above for the most suitable new land category system in Korea. Firstly, an introduction of the new land category system should be promoted upon long-term basis with government-wide effort. Second the new system must include both the old system and needs of local governments. Finally, We are not to neglect the study of comparability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because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land use and land cover increase. 본 연구는 외국의 지목체계를 조사하고 평가해 우리나라 지목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지목체계 도입은 범부처적인 노력과 함께 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과거의 노력과 지방정부의 수요를 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더불어 지목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계층적 지목체계가 필요하나 토지피복과 토지이용을 분리해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