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면활성물질의 지하수적용에 의한 모관수대 두께의 감소

        김헌기,신승엽,양해원,Kim, Heonki,Shin, Seungyup,Yang, Haewo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2 지하수토양환경 Vol.17 No.6

        Capillary fringe divides the groundwater and the vadose zone controlling the diffusive mass transfer of contaminants and gases. The thickness of capillary fringe is of great importance for the rate of contaminant mass transfer across the capillary fringe. Application of surface active chemicals including surfactants and alcohol-based products into the subsurface environment changes the surface tension of the aqueous phase, which in turn, affects the thickness of the capillary fringe. In this study, a bench-scale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face tension and the thickness of the capillary fringe. An anionic surfactant (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 SDBS) and an aqueous solution of ethanol were used to control the surface tension of the groundwater. It was found that the thickness of the capillary fringe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surface tension. The air entry pressures measured by the Tempe Pressure Cell at different surface tensions using SDBS (200 mg/L) and ethanol (20%, v/v) solution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thicknesses of the capillary fringe measured by the model. A simple method to correct the conventional Brooks-Corey model for estimating the air entry pressure was also presented.

      • KCI등재

        복부 수술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비구 골절에 대한 Modified Stoppa 도달법 시 발견된 외장골혈관의 유착

        김성태(Seong-Tae Kim),신승엽(Seungyup Shin),이호형(Hohyoung Lee),전성만(Seong Man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1

        고에너지 손상으로 전위된 비구골절의 치료를 위한 modified Stoppa 도달법에서 주의해야 할 구조물로는 corona mortis (외장 골동맥과 폐쇄동맥 간의 이상 교합), 폐쇄 신경 및 혈관, 외장골혈관 등이 있다. 그 중 외장골혈관은 수술 시에 각별히 주의하면서 보호해야 하고 이전 복부 수술 병력이 있거나 수술이 지연되어 유착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 중 혈관 손상으로 인한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수술 전 철저한 준비와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증례에 대한 구체적인 보고는 아직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복부 수술 병력이 있는 비구골절 환자에서 modified Stoppa 도달법으로 수술 시에 발견된 외장골혈관의 유착과 수술 경험에 대한 증례보고를 하고자 한다. Some structures should be noted in the modified Stoppa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acetabular fractures. Among them, the external iliac vessels should be protected with special care during surgery. If there is any history of previous abdominal surgery or a delay in surgery, it is predicted that the intra-abdominal adhesion will be severe. In this case, thorough preparation and caution are required before surgery because a dangerous situation may arise due to blood vessel damage during surger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specific reports on these cases.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severe adhesion of the external iliac vessels with a history of previous abdominal surgery.

      • KCI등재

        쇄골 골절 후 형성된 가골에 의한 흉곽 출구 증후군

        이지원(Ji-Won Lee),신승엽(Seungyup Shin),김범수(Bum-Soo Kim),유창근(Chang Geun Yu) 대한정형외과학회 202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8 No.6

        쇄골 골절 후 수상 당시에는 이상이 없다가 지연성으로 신경 혈관 손상이 매우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수상 시에는 이상이 없다가 2개월이 지나 쇄골 골절 후 형성된 가골에 의해 신경 혈관이 압박되어 발생된 흉곽 출구 증후근 환자를 경험하였고 쇄골 부분 절제술로 치료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fter a clavicle fracture, there is no abnormality at the time of injury, but delayed neurovascular damage can occur, albeit very rarely. The authors report a patient with thoracic outlet syndrome due to compression of the neurovascular structure caused by a callus formed after a clavicle fracture two months after the injury, an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 partial clavicle resection.

      • KCI등재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대퇴골절의 치료 시 골유합 기간에 영향 미치는 인자

        김범수(Bum-Soo Kim),김성태(Seong-Tae Kim),신승엽(Seungyup Shin),전성만(Seong Man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4

        목적: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다발성 외상 환자에서 대퇴골 간부 및 원위 대퇴골 치료에 흔히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35명의 환자에 대하여 치료 결과와 골유합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5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치료 결과와 환자의 연령과 성별, 분쇄 여부, 개방성 유무, 골절 위치, 동반 골절 유무가 골유합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골 유합 기간은 4.5개월이었다. 3예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여 총 골절 치료 성공율은 91.4%였다. 골유합 기간은 연령, 성별, 골절 위치, 개방성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분쇄 여부, 동반골절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은 대퇴 간부 및 원위부 골절 치료에 효과적 이었다. 분쇄 여부, 동반골절 유무에 따른 골유합 기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Purpose: A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 is commonly used to treat femoral shaft and distal femur fractures. The authors analyzed the treatment result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iod of bone union for thirty-five patients treated with a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 Materials and Methods: Thirty-five patients who could be followed up for more than twelve months after the treatment with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treatment resul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bone union and the patient’s age, sex, comminution of fracture, presence of open fracture, location of the fracture, and accompanying fractures were evaluated. Results: The average bone union time was 4.50 months. The period of bone union was unaffected by the age, sex, location, and presence of open fractures but was affected by the presence of comminution and accompanying fractures. Conclusion: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is effective for distal and shaft of fractures of the femur. The period of bone union is affected by the presence of comminution and accompanying fractures.

      • KCI등재

        전자간 골절 수술 후 소전자의 전위로 발생한 심부 대퇴동맥의 지연성 가성 동맥류 - 증례 보고 -

        김범수 ( Bum-soo Kim ),김성태 ( Seong-tae Kim ),신승엽 ( Seungyup Shin ),유창근 ( Chang Geun Yu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2

        대퇴 전자간 골절 시 소전자의 골절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대퇴동맥의 가성 동맥류는 전자간 골절 후 발생할 수 있는 드문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가성 동맥류는 수상 당시 골편에 의한 동맥 손상이나 수술 중 나사못 삽입 시 동맥이 손상되며 발생할 수 있다. 대퇴 전자간 골절 수술 시 소전자 골편을 고정하지 않을 경우 특별한 합병증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증례에서는 소전자 골편 이동에 의한 심부 대퇴동맥의 지연성 가성 동맥류가 발생하여 절제 수술로 치료하였기에 이에 대한 증례 보고를 하는 바이다. The lesser trochanteric fracture is commonly found amongst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here pseudoaneurysm of the femoral artery is a rare complication. A pseudoaneurysm could develop due to the penetration injury of the artery by the bone fragment during occurrence of the fracture, or by the insertion of screws during the surgical procedure. Minimal complication is seen when the lesser trochanter is not fixed during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surgery. However, in the current case, the authors experienced appearance of a delayed pseudoaneurysm of the deep femoral artery caused by migration of the lesser trochanter, which was successfully treated by excision.

      • KCI등재

        제2형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 시 나선 칼날의 활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김성태(Seong-Tae Kim),김범수(Bum-Soo Kim),신승엽(Seungyup Shin),박진규(Jinkyu Park),선형민(Hyung Min Su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9 No.2

        목적: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강내 금속정으로 치료한 전자간 골절 환자에 대하여 수술 후 나선 칼날의 활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1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전자간 골절에 대하여 제2형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강내 금속정으로 수술 받은 1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나선 칼날의 활강 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환자의 성별, 나이, 금속정의 경간각, 후내측 골편의 개수와 가로 길이, 정상 측 고관절 골다공증 정도, 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분류법, 첨단 정점 거리, 나선 나사날의 대퇴 골두에서의 위치, 근위 골편이 원위 대퇴골의 골수강내 감입되도록 골절 정복이 되었는지 여부에 따른 활강 정도를 조사하여 나선 나사날 활강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무엇인지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후내측 골편의 가로 길이, 골절의 정복상태가 수술 후 나선 칼날의 활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자간 골절의 수술 후 나선 칼날의 과도한 활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근위 골편의 원위 골편의 골수강내 감입 상태로의 정복을 피하여야 하며 후내측 골편의 가로 길이가 큰 경우 골편을 고정하거나 재활 시에 체중 부하를 늦게 시키는 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after surgery with the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II (PFNA II)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7 and January 2022, the degree of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was measured in 178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with PFNA II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Several variables were investigated, including the patients sex, age, neck shaft angle of the nail, number and horizontal length of the posteromedial bone fragment, degree of osteoporosis in the normal hip, 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classification, tip apex distance, position of the spiral blade in the femoral head, and the reduction status of whether the proximal bone fragment had been adequately reduced into the intramedullary canal of the distal femur. These facto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o determine their impact on th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Results: The transverse size of the bone fragment and the reduction state of the fractu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after surgery. Conclusion: Inadequate reduction of the proximal bone fragment inside the distal intramedullary cavity must be avoided to prevent excessive telescoping of the spiral blade following intertrochanteric fracture surgery. In addition, in cases where the transverse size of the posteromedial bone fragment is substantia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either fixing the posteromedial fragment or delaying weightbearing during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