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주거비부담이 우울 궤적에 미치는 영향: 노후생활비 준비여부에 따른 차이 비교

        신수민,정규형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4

        본 연구는 한국의 노년기 주거비부담이 우울의 궤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러한관계에서 노후생활비 준비의 여부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민노후보장패널의 4차, 5차, 6차의 3개(2011, 2013, 2015)년도 자료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2011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총 973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PIR(Price to Income Ratio: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과 우울에 대한 무조건적 모형을 살펴본 결과 2011년도 노후생활을 준비를 하지 않은 집단의 초기주거비 부담이 높을수록 부담의 변화가 완만하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울의 경우, 2011년에서 2015년까지 노후생활을 준비를 한 집단은 우울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노후생활에 대해 준비하지 않은 집단은 우울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노후생활비준비 여부에 따른 노인의 PIR과 우울 궤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후생활비준비를 하지 않은 집단은 준비를 한 집단보다 우울의 상승률이 크다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집단 잠재성장모형을 살펴본 결과, 노후생활비 준비를 하지않은 집단은 PIR이 낮을수록 우울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후생활비 준비를 한 집단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후준비수준에 따른 노인 우울 예방의 장기적인 개입의 필요성과 주거비 부담에 대한 사회복지적대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housing costs affect and burden the older generation which is a trajectory of depression in Korea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are prepared for financial security or not in later life. The study is based on three panel data of 4th, 5th and 6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Panel taken from 2011, 2013, and 2015. This study analyzed Latent Growth Modeling through 973 senior people over 65 and above in 2011.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unconditional model for PIR (Price to Income Ratio) and depression, the 2011 group who did not prepare for retirement life constantly went through housing cost burdens. There was no sign of any major increase or decrease of depression in the group who prepared for retirement from 2011 to 2015. However, the group who did not prepare for retirement life experienced an increase in depression level. Secondly, the difference of PIR and depression trajectories of elderly people depending on their preparedness of living expenses showed that the group who were not prepared for retirement life experienced much higher increase of depression in comparison to the group who were prepared for retirement. Lastly, according to the multigroup latent growth modeling, there was a decrease in depression when the PIR was lower in the group that did not prepare for senior living a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group that prepared for senior life. Based on these consequences of the study, we propose social welfare alternatives to reduce the housing cost burdens according to seniors' preparation level and to prevent depression in elderly.

      • KCI등재

        다층모형을 활용한 노인의 사회적 자원과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신수민 한국노인복지학회 2023 노인복지연구 Vol.78 No.4

        유례없는 고령화 속도로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우리나라는 OECD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노인자살률로 인해 사회적으로 노인 자살예방 및 자살률 감소를 위한 대책 마련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높은 노인 자살률을 보이는 고령사회에서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노년층을 둘러싼 가족 및 친구, 이웃주민 등 개인적인 관계 내에서의 비공식적 자원뿐 아니라 지역사회 내 복지 관련 시설 및 인력 기반의 공식적 자원 등 사회적 자원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개인과 지역 수준으로 구분하여 개인수준의 데이터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 2차 자료로, 10,299명을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가족, 친구 및 이웃 간 관계 만족도, 지역사회 및 여가문화 활동 만족도로 비공식적 자원의 영향력을, 지역사회 내 인프라의 접근성으로 공식적 자원의 노인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지역수준의 데이터는 국가통계포털에서 제공되는 지역별 지표들을 선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의 17개 시도는 다층모형 분석의 기초모형 검증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수준에서 가족관계 만족도(-) 및 사회여가문화생활 만족도(-)가 비공식 자원으로, 노인복지관 및 사회복지관 소요시간(+)이 공식 자원으로, 지역수준에서는 정신보건센터(-), 사회복지전담공무원(-), 보건소(-) 인력이 공식적 자원으로써 노인의 자살생각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노인 자살 위험에 보호요인이 될 수 있는 개인 및 지역수준의 사회적 자원 강화를 통해 자살 예방의 정책적⋅실천적 개입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an unprecedente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Korea has the highest rate of elderly suicide among OECD countries. Urgent action is needed to prevent such suicides and reduce the overall suicide rate in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impact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in a rapidly aging society with a high incidence of elderly suicide. The focus is on social resources, which encompass both informal means within personal relationships like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and formal resources like welfare institutions and community-based human services. The study used 10,299 participants’ secondary data from the 2017 Survey on the Status of the Elderly, which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Informal resources were gauged through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and community,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Meanwhile, formal resources’ impact on suicidal ideation was determined by their access to the community infrastructure. Data at the local level were analyzed using a set of local indicators available on the National Statistics Portal. Multilevel model testing showed that seventeen of the analyzed municipaliti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individual level, informal resources such as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leisure, and cultural life (-) were important factors for the elderly’s suicidal ideation. In contrast, formal resources, including time spent at senior welfare centers and social welfare offices (+), played a positive role. At the local level, the availability of formal resources such as staffing at mental health centers (-), social welfare officers (-), and public health centers (-) also influenced the elderly’s suicidal ideation. Strengthening social resources at the individual and local levels can serve as protective factors against the risk of elder suicide. Such an approach can be applied as both policy and practice interventions for suicide prevention.

      •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스마트 러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신수민,심한뫼,이원형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5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4 No.1

        Smart learning is a new learning model of smart infra and smart learning method combined together. Also, gamification refers to a program that changes awareness and behavior based on the attributes of games. This study planned and gave body to a system by combining smart learning model and concepts of gamification. The differentiating factor of a represented system is in having motivation, social action, engagement, and rewards elements. Future studies would have to provide a system for effective studying of learners by evaluating usability the manufactured system. 스마트 러닝은 스마트한 인프라와 스마트한 학습 방식이 합쳐진 새로운 형태의 학습 모델이다. 그리고 게이미피케이션은 게임의 속성을 바탕으로 인식과 행동을 변화시키는 프로그램 또는 방법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러닝 학습모델과 게이미피케이션의 개념을 융합하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을 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Motivations, Social Actions, Engagement, Rewards 등에 요소가 있는 것이 차별화 요소이다. 향후 연구로는 제작된 시스템에 사용성 평가 등을 하여 학습자들에게 효율적인 학습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 KCI등재

        식도, 위, 폐 그리고 구강에 동시 발생한 다발성 원발암

        신수민,심영목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5

        식도, 위, 폐 그리고 구강에 동시 발생한 다발성 원발암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65세 남자 환자가 구강 내 종괴에 대해 상피세포암을 진단받고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수술 후 정확한 병기 결정을 위해 시행한 검사에서 식도암, 위암 그리고 폐암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저자들은 상기 세가지 암에 대하여 한 차례 수술로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A 65-year-old-male had a mass in the oral cavity, and this was ultimately determined to be squamous cell carcinoma and he underwent wide excision for it. Postoperatively, he underwent the staging work up; this showed that he had other cancers in the esophagus, stomach and lung. We performed a curative resection of all the lesions simultaneously. We report here on a case of synchronous multiple cancers of the esophagus, stomach, lung and oral cavity.

      • 정보보호를 위한 3D프린터 위험관리 및 평가기법 제안

        신수민,이창준,박준용,Shin, Su-Min,Lee, Chang-Jun,Park, Jun Yong 한국정보보호학회 2015 情報保護學會誌 Vol.25 No.3

        제조 분야의 미래유망기술로써 각광받고 있는 3D프린터 기술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시제품의 제작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키고 1인 맞춤형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의료 및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그 시장과 규모는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반하여 환경오염, 무기제작, 지적재산권, 의료 윤리 및 규제, 국가 보안 위험 등과 같은 문제점 또한 적지 않게 제기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정보보호 관점에서 네트워크와 연결된 3D프린터가 가진 잠재적인 취약점에 대해 알아보고, 조직에서 이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적 방법에 대해 NIST IR 8023의 생명주기에 기반 한 단계별 위험관리 및 위험평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지털증거분석실의 도구·장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신수민,박현민,김기범 한국융합보안학회 2022 융합보안 논문지 Vol.22 No.5

        디지털 정보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지속적으로 증가 및 다양화되는 추세이며, 이를 악용한 범죄 또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디지털증거에 대한 처리 및 분석을 위한 환경 구축 사례는 미비한 실정이다. 조직마다 할당된 예산이 상이하고 고질적인 문제인 공간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지 못한 상태에서 구축된 디지털증거분석실은 초기 구성단계에서부터 참조할 수 있는 기준이 없다. 본 논문은 디지털증거분석실 구축 시에 필요한 사항을 도구·장비 중심으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디지털증거분석실 구축 경험 또는 디지털포렌식 분야 근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네트워크 구성, 분석관 컴퓨터, 개인 도구·장비, 이미징 장치, 전용 SW, 오픈소스 SW, 공용 도구·장비, 액세서리, 기타 고려사항의 9가지 영역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디지털증거분석실의 도구·장비 목록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디지털증거분석실 구축 발전방안으로 공간/도구·장비 목록 표준화, 디지털포렌식 도구·장비 민간 지원·위탁 체계 수립, 미래 디지털증거분석실 인프라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디지털포렌식 기능을 신설하고 디지털증거분석실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관/조직이 도구·장비 및 인프라 설계 등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신수민,김민정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4 No.3

        This research studies a relativity of the effect on a school achievement by mobile dependence using longitudinal design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1~ 2014(KCYPS) to through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Comprehensive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ime goes on mobile dependence degree is increasing, a school achievement has a change according to grade. Second, the more mobile dependence, initial value of the school achievement are high, the more rate of change is small. Third, mobile dependence initial value has a meaningful effect on a school achievement initial value. Fourth, mobile dependence rate of change affects a school achievement rate of change. This study means to analyze and verify effect on academic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concerning mobile dependence. We identifi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mobile dependence and school achievement,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These results could be theoretical, educational, and practical foundation of prevention of mobile dependence and record drop, in order to inform dangerousness about dependence on cell phone.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 2011년~2014년 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가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련성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논의하면 첫째, 시간이 지남에 따라 휴대전화의 의존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취는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휴대전화 의존도, 학업성취의 초기값이 높을수록 변화율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휴대전화 의존도 초기값은 학업성취 초기값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휴대전화 의존도 변화율은 학업성취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의 의존도에 관하여 종단적 연구를 통해, 학업 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휴대전화에 의존하는 정도와 청소년의 학업 성취에는 부적 관계가 있다는 것을 종단 연구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이는 청소년들의 학업 성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휴대전화 의존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과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교육적․실천적 정책 방안 마련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