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미술 연구 동향과 과제

        신수경 ( Shin Sookyung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30

        이 글은 북한미술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연구 주체와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북한미술 연구사에 대해서는 약 20여 년 동안 여러 연구자들이 고찰한 바 있다. 그런데 ‘북한미술연구’라는 같은 대상을 논의하면서도 시기에 따라, 연구자에 따라 관점과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것은 뒤집어서 생각하면 북한미술, 또는 북한미술 연구사가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연구가 가능한 분야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각 정권의 대북정책에 따른 연구 동향을 2000년대까지는 개괄적으로 다룬 대신 2010년대 이후, 특히 문재인 정부 들어서서 북한미술 연구에 어떤 변화와 성과가 있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2018년 벽두, 남북 두 정상 간의 만남으로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북한미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그 결과 개별 연구자는 물론, 학회·대학교 부설 연구소·정부산하 기관 등에서 연구에 박차를 가하면서 조선화나 미술정책에 집중되었던 주제에서 벗어나 포스터ㆍ자수ㆍ조각 등 연구 분야가 다양해졌으며, 새로운 연구자들의 활동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활발해진 연구만큼 앞으로 풀어야할 과제도 많다. 그동안 별다른 검토 없이 사용해왔던 ‘북한미술’이라는 용어를 비롯해, 북한미술의 기점, 범위 등에 대해서 원점에서부터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북한미술 연구의 가장 큰 어려움인 작품의 진위 감정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해야 할 것이다. 이 글이 이러한 과제들을 함께 고민하고, 논의하는 계기가 되어 앞으로 북한미술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article focuses on the subject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on how the study of North Korean art. For about 20 years, various researchers considered North Korean art history. However, while discussing the same subject as “study of North Korean ar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nd methods depending on the timing of the research. It also means that North Korean art, or North Korean art research, can be studied in various way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article, which looked at the research trends of each administration's North Korea policy, dealt with them in general until the 2000s. Moon Jae-in, in particular since the 2010 instead focus on the administration that North Korea has any change in the study and performance art. The 2018 meeting between the two leaders of South and North Korea has raised expect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as well as interest in North Korean art. As a result, individual researchers as well as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affiliated institutes attached to Hagyeondeung University were encouraged to do their research. As a result, various research genres such as posters, embroidery, and sculptures have become more diverse than the subjects that were focused on Joseonhwa or art policies. There has also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ctivity of new researchers. However, there are as many tasks to be solved as there are more active studies. The term “North Korean art,” which has been used without much consideration, the basis of North Korean art, and the scope of research should be reviewed from scratch. In addition, they will have to discuss in-depth how to feel the authenticity of the work, the biggest difficulty in studying North Korean art. We hope that this will lead researchers to contemplate these tasks together and further boost their research on North Korean art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어판 ‘장소안도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신수경 ( Sookyung Shin ),김찬우 ( Chanwoo Kim ),고은정 ( Eunjung Ko ),김현민 ( Hyunmin Kim ),서종건 ( Jonggun Seo ),이뿐새 ( Bbeunsae L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1 사회복지정책 Vol.48 No.3

        인간의 삶을 이해하는데 있어 일상생활을 하는 장소의 의미는 매우 중요하다. 고령 인구가 급증하면서 지역사회 지속 거주(Aging in Place)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이 같은 맥락에 기인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주거환경 개선방안과 같은 물리적 환경에 한하여 논의되고 있다. 이는 재가 또는 시설이라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이분화된 접근방식,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장소와 삶의 역동성에 대한 이해 부족의 문제와 더불어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부재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에서 개발된 장소안도감(Sense of IBASHO) 척도를 우리말로 번역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국내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에서 논의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응답자 473명 중 분석에 적절한 451명의 자료를 활용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판 장소안도감 척도(Korean Version of the Sense of IBASHO Scale)는 원 척도와 달리, 3개 요인,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위요인은 ‘물리적·개인적·사회적 장소안도감’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해당 척도가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이는 척도를 구성하는 3개 하위요인에 적재된 문항들이 동일한 요인을 측정하고 각 요인이 서로 구별되는 개념을 측정하는 정도가 양호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국어판 장소안도감 척도(K-SIS)의 개발은 사회복지서비스가 이뤄지는 다양한 클라이언트의 생활 장소에 대한 장소안도감 측정을 가능케 하여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laces where people live in everyday is important. As the aging population is on the increase, ‘Aging in place’ has been noticed in the scope of welfare for the aged. When discussing issues about welfare for the aged based on the concept of AIP, the places they send most of their time are exemplified as only home or facility. In other words, this binary approach in terms of places only considers the physical environment. This may also be related to the absence of a scale to measure the sense of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sense of IBASHO scale(K-SI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500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living at hom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 473 final respondents, Using data from 451 suitable for analysis were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K-SIS were satisfactory. The K-SIS is Three sub-factors consisted of 19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scale is composed of 3 factors (Physical, Personal, Social). The scale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This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items in the three sub-factors constituting the scale are sufficient to measure the same factor and to measure the concept in which each factor is distinct. The development of the K-SIS will contribute to measuring the sense of IBASHO in the place where social welfare service clients live.

      • KCI등재

        구술사적 분석을 통한 한국 현대 수묵화 읽기

        신수경(Shin Sooky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22 No.-

        This essay is an attempt to present the potential of oral history in academic writing for the study of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by reconstituting and analyzing, as well as by interpreting through historical connections, oral exchanges with Woonsan Cho Phyunghwi(1932- ) on the subject of ‘Transformation and Moderniz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20th Century Korea’ at the Arts Council Korea in 2008. Cho Phyunghwi produced abstract works amidst the heat of l"Art Informel during the 1960"s after winning an award at the National Exhibition with Sitting Woman when he was an undergraduate, in 1958. However, he switched over to traditional ink and water landscape paintings in the mid-1970"s and has from the 1980"s to present day, for over 30 years, been painting scenes and thus focusing on reinventing ink and water landscape paintings through a contemporary language. This process of change in Cho Phyunghwi"s work, in a sense, shares the same pulse with developments in the world of artists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said to be a compressed version of Korea"s artists circle. However, in his oral statements, the man"s past experiences are reignited in the present and turn up freshly historicized. Cho Phyunghwi becomes greatly excited when speaking of episodes related to the National Exhibit and repeats or dwells on the same episode, indicating how much the National Exhibit means to him. However, plainly surfacing in his oral statements were the psychological conflict and remorse the artist felt as he forfeited entry into the National Exhibit after failing to gain special selection even though the artist"s own academic advisor was a panel member on the National Exhibit"s jury. Regarding the abstract works he made in the heat of l"Art Informel, the fever of which had for an instant swept through the art scene, Cho did not invest those works with significant meaning, saying that they were merely "works done to follow a trend." The reason for his recollection as such can be attributed to his pride for having worked for over 30 years as an ink and water landscape painter, as well as his desire to be remembered as a landscape painter. Cho Phyunghwi began implementing various sculptural experimentations he had grasped through his abstract works of the 1960"s into ink and water landscape paintings from the mid-1970"s onward. These were apparent in two kinds of leanings: the method of completely filling the surface, so that no sense of space could be felt, with a closeup of a part of nature as when one works in abstraction, and the way of viewing the entirety of a mountain from a high point and capturing the vigor of the mountain and the atmosphere of the clouds onto a large screen. The grand compositions in which the force of structure and vigor can be felt through dark ink and carefree brush strokes are hallmarks of Cho Phyunghwi"s creative world. As he continued to speak about his ink and oil landscape paintings, Cho Phyunghwi shifted from an earlier position and slowly began to mention that his ink and water landscape paintings, too are endued with his experience with abstract art. Meanwhile, upon inspection regarding the fact that Cho Phyunghwi was the student of Chongcheon Lee Sangbom, who was his teacher at Hongik University, and Unbo Kim Kichang, various changes in emotion and the situations in the artist circles, which would have been hard to find in written records, appeared during dictation. Up to this day, that Cho Phyunghwi was a student of Chongcheon and Unbo"s, once entered in, has been continuously replayed in the writings of critics and gained significant meaning in evaluating Cho Phyunghwi. However, unlike what literary records indicate, it could be noticed during three separate dictations that thi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changes in complex and subtle ways depending on the changes within the cir

      • KCI등재

        북한의 전후 복구 시기 조각 연구 - ‘일반조각’을 중심으로

        신수경(Shin Sooky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이 논문은 북한의 전후 복구 시기(1953-1961) ‘일반조각’을 중심으로 6·25전쟁에 대한 인식과 전후(戰後) 재건의 모습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의 문예지·도록·단행본 등에 산재해 있는 조각 관련 문헌과 작품 이미지를 수집하여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고찰했다. 먼저 전후 복구 시기 조각 관련 문헌을 ‘소련 및 동유럽 조각의 영향’, ‘창작체험기’, ‘창작방법론’, 그리고 ‘전시와 작품 비평’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그 결과 195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소련의 영향이 절대적이었지만, 1950년대 후반이 되면 소련 관련 문헌이 줄어드는 대신 동유럽 국가들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문헌이 증가했다. 이렇게 외교 채널이 다양해졌을 뿐만 아니라 이 시기 미술잡지에는 조각가들의 진솔한 체험기를 비롯해, 전시 및 작품에 대한 매우 구체적이고 날카로운 비평문이 실렸다. 특히 기념비 조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1950년대 후반부터는 민족적인 양식을 찾기 위해 신라·고려 시대 조각을 소환하기도 하고, 소련 조각을 이상적으로 내세우는 등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전후 복구 시기 제작된 ‘일반조각’에는 의외로 6·25전쟁을 다룬 작품은 많지 않았다. 오히려 항일혁명 투쟁이나 반미의식을 주제로 한 작품이 더 많은데, 이는 6·25전쟁이 미국의 한반도 지배 위협으로부터 지켜낸 민족해방전쟁이라는 인식에서 기인한다. 이 시기 조각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제는 전쟁의 상처를 딛고 급속한 공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천리마 기수들의 노력투쟁이다. 1950년대 중반 속도전을 표방한 천리마 운동이 1950년대 후반이 되면 ‘사상(의식) 개조’를 중점에 두고 ‘증산경쟁’을 결합한 ‘집단적 혁신운동’인 천리마 작업반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조각가들 역시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천리마 창작단’을 결성하고 자신들을 당 정책의 선전자로 근로자들의 교양 강사로 자처하며 노동자와 농민상을 작품으로 형상화했다. 아직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북한의 전후 복구 시기 ‘일반조각’을 중심으로, 개별 조각가들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상과 작품을 살펴본 이 글은 그동안 북한 조각에 대한 연구가 집체창작으로 이루어지는 기념비 조각에 집중되었던 시각에서 벗어나 북한 조각계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North Korea’s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and its postwar reconstruction through the lens of ‘figurative sculpture’ made during the postwar period(1953-1961). Based on numerous literary resources and images collected from North Korean periodicals, art catalogues and books, this study sheds light on a noteworthy transition that happened in the 1950s when North Korean artists shifted their attention from the Soviet Union to diverse countries in Eastern Europe as well as Korea’s past. In the mid-1950s when the influence of the Soviet Union was dominant, North Korean art journals introduced representative Soviet sculptors and Soviet articles translated by North Korean artists who had returned from the Soviet Union after years of study there. However, this tendency declined when North Korea began to diversify diplomatic channels and North Korean artists pursued a new source of inspiration not only in Eastern European sculpture but in Korea’s traditional sculpture from the Silla and Goryeo periods. While idealizing Soviet sculpture, North Korean sculptors also attempted to find ethnic styles from native ancient sculptures. There were not many sculptures which directly addressed themes of the Korean War in the postwar period. Rather they tended to represent the Korean War, along with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as a national liberation war. These sculptural representations intended to justify the Korean War as the historic national war to protect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military threat of the United States, invoking anti-Americanism. In the mid-1950s, North Korean sculptors featured the heroic struggle of Chollima riders amid the country’s postwar reconstruction and rapid industrialization. With the slogan of speed battle, the Chollima Movement developed into the Chollima Work Team Movement. While undergoing the rectification of thought/class consciousness and provoking increase in production, individual sculptors became avid propagandists of party policy and instructors for teaching workers and farmers. Among them, notable artists like Song Young-baek presented the model of the Chollima team leader and Cho Won-seok created many sculptural pieces to show anti-American themes.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field of study called ‘figurative sculpture’ which has been overlooked by art historians who paid special attention to North Korean monuments made by collective creations.

      • KCI등재

        노년기 장소안도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은정(EunJung Ko),신수경(SooKyung Shin),김병년(ByoungNyun Kim),김현민(HyunMin Kim),서종건(JongGun Seo),이뿐새(BbeunSae Lee) 한국노년교육학회 2022 노년교육연구 Vol.8 No.2

        집을 포함한 삶을 영위하는 ‘장소’가 노년기의 삶 전반에서 중요하다는 관점은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 사회에서 고령친화도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등 정책추진의 바탕이 되어왔다. 그러나 노년기의 장소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실증적 논의는 다소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노인이 일상을 보내는 ‘집’과 ‘제3의장소’를 물리적, 개인적, 사회적으로 안심하고자신의 존재를 긍정하는 장소로 경험하는지 보여주는 ‘장소안도감’을 측정하고, 각각의 장소에서 획득한 장소안도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장소안도감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 주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먼저, 집에서 경험하는 물리적․사회적 장소안도감은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예측되었으며, 특히 부정정서를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제3의장소에서 획득한 물리적 장소안도감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생활만족도와 긍정정서가 높아지며, 개인적 장소안도감을 획득할수록 부정정서는낮아지고, 자기가치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집과 제3의장소의 물리적인 환경 개선만이아니라, 그들이 머무는 장소에서 안심하고 자신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장소안도감을 획득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방안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effect of the elderly's place experience on the satisfaction of life in old age. We measured the ‘Sense of IBASHO’ by the elderly at home and in the ‘third place’ with a Korean version of the sense of IBASHO scale(K-SIS). Sense of IBASHO includes complex elements and it means ‘a place where you can feel like yourself'. The subjects were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5 yea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Results Showed that the Sense of IBASH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satisfaction of the elderly. First, physical and social factors in the Sense of IBASHO experienced at home are factors that increase life-satisfaction and lower negative emotions. Second, the higher the physical aspect of Sense of IBASHO in the third place, the higher the life-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personal aspect of Sense of IBASHO, the lower the negative emotion and the higher the self-worth percept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satisfaction of the elderl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home and the third place to obtain the Sense of IBASHO.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policies and practical approaches of social welfare.

      • KCI등재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Perceived Coercion Questionnaire) 척도의 타당화 연구

        김용석(Kim, Yongseok),이종호(Lee, Jongho),신수경(Shin, Sookyung),김용묵(Kim, Yongmug),송승연(Song, Seungyeon),이경진(Lee, Kyoungjin),김소연(Kim, Soyeon),김상우(Kim, Sangwoo)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6 No.2

        다수의 중독 클라이언트가 강요에 의해서 치료에 참여하기 때문에 강요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코올사용장애 클라이언트가 경험했던 강요에 대해서 연구된 바는 없다. 강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강요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부재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지각된 강요 척도(PCQ)는 치료 강요에 대한 중독 클라이언트의 주관적 지각을 측정할 뿐 아니라 다양한 강요의 출처를 측정해주는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는 중독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각된 강요 척도의 한국어판을 개발하여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217명의 알코올사용장애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실시된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에 대한 평가결과는 매우 양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는 영어판 척도처럼 6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되었고 평가결과는 매우 양호하였다. 또한,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 결과도 양호하였다. 이는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를 구성하는 6개 하위요인에 적재된 문항들은 동일한 요인을 측정하였고 각 요인이 서로 구별되는 개념을 측정하는 정도가 양호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국어판 지각된 강요 척도의 개발은 중독 클라이언트가 인지하는 강요를 측정 가능하게 하여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many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 enter treatment by coerc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coercion in treatment entry process. However, studies on coercion have been very scarce. The reason for the lack of research on coercion may be related to the absence of proper instruments measuring the construct. The Perceived Coercion Questionnaire is an instrument not only to measure individuals’ perception of coercion but also measuring various sources of coerc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Coercion Questionnaire (PCQ). A total of 217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atisfactor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PCQ, like its English version, is composed of 6 factors (self, family, legal, finance, health, work). The Korean version of the PCQ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CQ would contribute to conducting scientific studies on coerc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