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약・바이오 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사례연구 -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중심으로 -

        신세찬,김태동,배창현 한국윤리경영학회 2022 윤리경영연구 Vol.22 No.2

        세계적인 기후변화 위기를 거치면서 최근에는 ESG와 같은 비재무적 정보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아울러, 환경 및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세계적인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ESG는 기업의 장기적인 생존에 직결되는 핵심적인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제약・바이오산업에서 ESG경영에 앞장서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속가능경영 수준 및 개선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ESG경영을 유엔지속가능발전목표(UN-SDGs)와 연계하여 분석한 결과 17개의 목표 중 5개의 목표(목표1, 목표2, 목표10, 목표11, 목표17)와 연계된 지속가능발전목표 선정 및 세부 목표별 지속가능경영활동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이를 추가 반영하여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삼성바이오로직스 ESG경영을 한국ESG기준원(KCGS)의 평가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참고하여 분석하였는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제품 책임 및 안정성 강화, 안전환경, R&D경영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 등에 대해 주력하고 있으며, 지배구조(G) 영역보다는 환경(E)과 사회(S) 영역에 대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지배구조(G)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세계적인 패러다임이 환경 및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ESG경영 분석을 통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ESG 경영체계 확립 및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아울러, 제약・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ESG 사례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구별되는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제약․바이오 기업에 대한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감독지침이 신용평점에 미치는 영향

        신세찬,김태동,배창현 한국회계정보학회 2023 회계정보연구 Vol.41 No.1

        [Purpose]Recently, the need for investor protection has increased due to growing volatility and a surge in stock prices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Furthermore, industrial uncertainties widened owing to accounting issues such as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recognition of development cost as asse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d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released the “Supervisory Guidelines for Accounting Method of R&D Expenses in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in September 2018 to resolve uncertainties and enhance transparency in their accounting. [Methodology]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market evaluates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recognized amount of R&D expenses through credit ratings. This study analyzed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listed on Korea Stock Exchange (KSE) and the KOSDAQ market during 2016 and 2021. This study used the KIS credit score for the credit rating based on the credit rating model developed by Korea Investors Service. [Findings]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verification variable (After) and the dependent variable, the credit score variable (Sco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value only in KOSDAQ companies. This indicates that supervisory guidelines for R&D expense accounting method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have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KOSDAQ companies than relatively large companies listed on Korea Stock Exchange. [Implications]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supervisory guideline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uidelines and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Thus, useful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and enactment of future accounting standards is provided by verifying the effect of the supervisory guidelines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 KCI등재

        국내 공공기관의 지속가능보고서 공시 현황

        김태동,신세찬,배창현 한국회계정보학회 2022 회계정보연구 Vol.40 No.2

        [Purpose]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public announcement of sustainability reports by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The government plans to sequentially expand ESG-related items in the public announcement of public institutions’ management, and in the case of public enterprises, the government is reviewing mandatory public announcement of ESG starting with 202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thod of writing the report, the cycle and volume of report publication, and the third-party verification, and publication types of 350 institutions designated as of 2021. [Methodology]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market-type public enterprises, the rate of publication of sustainability reports was higher than that of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other public institutions. This is interpreted as meaning that market-type public enterprises are publishing high-level sustainability reports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of shareholders and external stakeholders, similar to private enterprises. Second, when looking at the form of reporting (reporting method) and public announcement, it can be seen that the reports are published on the UNGC website or the bulletin board of the institution's website (e.g., sustainability management), but the convenience or information accessibility is evaluated to be very low and should be improved. Third, evaluation indicator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enterprises that fit domestic circumstances are necessary and if target core issues of goals by field of organizations can be selected and reflected on the management evalua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institutions, it is judged to be helpful for implementing social value. [Implications] That is, it means that the incentives to publish the sustainability report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enterprises, and policies that would supplement the foregoing are considered necessary.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기관의 지속가능보고서 공시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정부는 공공기관 경영공시에 있어서 ESG 관련 항목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에 있으며, 공기업의 경우 2025년부터 ESG 공시 의무화를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에 사회적 가치 배점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21년 지정 기준 350개 기관을 대상으로 보고서 작성 방식, 보고서 발간 주기 및 분량, 제3자 검증 및 발간 형태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형 공기업의 경우 준정부기관과 기타공공기관에 비해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형 공기업의 경우 민간기업과 유사하게 주주 및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맞추어 높은 수준의 지속가능보고서 발간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보고형태(보고방식)나 공시를 살펴보면 UNGC 홈페이지나 기관의 홈페이지 게시판(예: 지속가능경영)에 공시되고 있는데 편의성이나 정보 접근성 측면에서 매우 낮다고 평가되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공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평가지표가 필요한데 기관의 분야별 목표 핵심이슈를 선정하여 이를 기관의 경영평가(성과평가)에 반영할 수 있다면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의 결과는 공기업 특성에 따라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유인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를 보완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정부에서는 향후 반영 계획인 경영공시 및 평가 항목에 대해 기간별 로드맵을 작성하여 공청회를 개최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이 공공기관의 지속가능보고서 발간으로 이어져 정보비대칭 감소 및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충실한 보고로 나타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비재무적 측정지표를 활용한 연구동향 및 ESG 이슈

        배창현,김태동,신세찬 한국회계학회 2021 회계저널 Vol.30 No.2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study flow using nonfinancial measuring indicators and ESG issues in the field of accounting from 2000 to 2019. As for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flow analysis, first, it was grasped that studies using ESG evaluation indicator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2010s,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manufacturing companies. Second, as for study keywords, it was found that studies with diverse keywords such as enterprise value, capital cost, governance, investment, accounting transparency were conducted, and studies with enterprise value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Third, the non-financial measuring indicators used by researchers in studies were shown to be the KEJI index of the Economic Justice Institute and the ESG rating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Among ESG issues, there is an issue regarding the need for certification of the rating systems different among ESG rating agencies and the governmental authoritie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ssue referring to the movement of the European Commission abroad. In addition, the attention of evaluation agencies, companies, and government authorities to the ESG evaluation feedback process is considered necessary now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institutionalize the relevant process. In addition, various issues related to ESG are described, and it is expected that the issues will attract attention from the academia and will be reflected on governmental authorities’ policies.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회계학 분야에서 비재무적 측정지표를 활용한 연구 흐름 및 ESG 이슈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흐름을 살펴보면 첫째, 2010년대부터ESG 평가지표를 활용한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파악되며, 대부분 제조기업에 대한 연구가수행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연구 키워드는 기업가치, 자본비용, 지배구조, 투자, 회계투명성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업가치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차지하였다. 셋째, 연구자들이 연구에서 활용하는 비재무적 측정지표로는 경제정의연구소의KEJI 지수와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등급으로 나타났다. ESG 주된 이슈의 경우, ESG 평가기관별로 상인한 등급체계에 대한 인증 및 강화 필요성에 대한 내용이 있는데 해외 유럽위원회의 움직임을 참고하여 정부당국에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ESG 평가피드백 과정에 대한 평가기관 및 기업, 정부당국의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라생각되며 이를 제도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연구가 이러한 변화의 시작점이 되길희망한다. 그밖에 ESG에 대한 다양한 이슈가 기술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학계의 관심 및정부당국의 정책에 반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