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佛敎 和合僧의 실현에 대한 一考 - 의식주의 공평한 분배를 중심으로

        신성현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2 No.-

        승가의 생활은 안거제도가 시행되면서 급속하게 변화한다. 안거는 정주생활과 아울러 공동생활을 하 는 계기가 되었다. 공동생활을 한다는 것은 대중의 화합을 전제로 한다. 대중의 화합이 깨어진다면 승 가는 존속될 수 없다. 불교승가를 명확히 특징짓는 단어는 화합승이다. 따라서 승가의 모든 생활은 화합을 지향하여야 한다. 승가의 대중은 현전승가에서 공동으로 의식주 생활을 하여야 한다. 공동으로 의식주 생활을 하는 것은 사방승물을 공평하게 배분하여 사용하고, 승가에 보시되는 물품을 평등하게 분배하는 것이다. 의식주 생활의 화합은 현전승가의 모든 대중들이 보시 물에 대하여 욕심을 내지 않고, 분배해 주는 것을 만족스럽게 받아서 간소한 생활을 추구할 때 이루어 진다. 승가는 검소한 생활을 하면서 재가자가 보시하는 물품을 받아서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승가는 재 가자가 사용목적을 지정하여 보시하는 비용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사방승가에 보시하는 물품들 을 개인에게 돌리거나 현전승가에 분배할 목적으로 구한 물품을 개인에게 돌리는 등의 어떠한 행위도 금지하였다. 이것은 승가의 전 대중들이 공평하게 분배하고,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빼앗는 것으로 승 가의 공동생활에 저해가 되므로 금지한 것이다. 그리고 승가는 의식주의 분배와 사용에 공정성을 위해 서 知事比丘를 선출하였다. 승가의 대중은 지사비구의 물품 분배에 다소 불만이 있을지라도 표출할 수 없고, 물품 관리의 전권을 위임받은 소임자의 분배에 만족해야 한다. 이로써 승가는 의식주의 공동생 활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었고, 화합이 성립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승가화합은 승가 구성원들이 의식주를 공동생활로 하는데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붓다는 승가의 공동생활을 저해하는 악행을 금지하는 규칙을 율로서 제정하였다. 이러한 내 용은 바라제목차(pātimokkha)를 통해 상세히 볼 수 있다. The life of Buddhist priesthood has been deeply changed as a system of settle-down was established, which has also paved the way for communal life along with staying in a certain place rather than going around. Communal life is based on the premise of public's harmony; once it is broken, the Buddhist priesthood cannot be continued. One of the key words to characterize the Buddhist priesthood is a harmonious Buddhist Samgha. Therefore, harmony should be the path for every perspective of the Buddhist priesthood life. Public of the Buddhist priesthood should live a communal life through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sammukhībhūta- saṃgha, which means an equal distribution and usage of commodities and temple offering. Moreover, a harmonious Buddhist Samgha can be fulfilled as every public in sammukhībhūta-saṃgha is not greedy for temple offering, satisfied with what was distributed to achieve simple life. While living a simple life, receiving and using temple offering from home-staying Buddhist was permitted in the Buddhist Samgha. In addition, it was prohibited for the Buddhist priesthood to use expenses of temple offering for other purposes by assigning purpose of usage from a home- staying Buddhist. Also, the Buddhist priesthood has warned that giving individuals temple offering for cātuddisa-saṃgha, and purchasing commodities and giving them individuals with a purpose of distribution as it impedes communal life by depriving public of the right for distribution and usage. To attain justice in distribution and usage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 Buddhist nuns was selected who was responsible for managing commodities. Even though there may be somewhat dissatisfac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commodities, public should not express it, while they should be satisfied with the distribution by the manager. In this way, communal life can be sustainable without difficulties and ultimately it can achieve a harmony. To sum up, the harmony of the Buddhist priesthood can be achieved through a communal life of its members. As such, the Buddha made rules to prohibit misdeeds hindering communal life of the Buddhist priesthood, which also could be explored through pātimokkha.

      • KCI등재

        驅羯磨에 대한 小考出

        신성현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1 N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abbājaniya which is temporary expelled from the monastic community. The monastic community that set up an ideal with harmony has established religious precepts for comfort, harmony, and leadership. This is called pātimokkha or prātimokṣasūtra. Bhikkhu or Bhikkhuni(buddhist monk or nun) should keep these precepts, otherwise s/he is required an equivalent punishment for this. One of these punishments is a banishment. The banishment includes two types, a complete banishment and a temporary one from the monastic community. There are asaṃvāsa and nāsana in the complete expulsion and nānāsaṃvāsaka, asaṃbhoga, and pabbajana in the temporary banishment. Pabbājaniya is a temporary banishment which is placed to a person who commits kuladūsaka and pāpasamācāra. The monastic community conducts pabbājaniya kamma through ñatthi-cathuttha-kamma to the bhikkhu who commits kuladūsaka and pāpasamācāra, and it makes the bhikkhu take parivāsa, rescuing him from his place. The purpose of the parivasa is to make bhikkhu repent the evil deeds he made, separating him from the place of the misdoings. However, bhikkhu does not have to receive pabbājaniya-kamma, if he admits and repents his mis-deeds. Because the aim of the kamma is to repent and improve, he does not have to take the kamma if a bhikkhu immediately repents. If a bhikkhu took the pabbājaniya-kamma because of his non-confession, it is possible for the him to return to the monastic community with a untie-kamma from the monastic community by repenting and doing the regulations. A bhikkhu can exercise his banned rights by returning to the monastic community as long as he repents because the period of the punishment has not been regularly decided. The bhikkhu who has been temporary exiled should perform the strict ascetic practices with repentance in the parivāsa before escaping his sin. All of the practices of the punishment kamma are an positive action which enables the wrongdoing bhikkhu to repent his sins and change bad habits in order to be a clean bhikkhu. These actions are the parivāsa from the people, and it makes the bhikkhu stop his rights temporarily. Pabbājaniya is just a punishment in order to control the monastic community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live and to be reborn as a pure disciplinant. Pabbājaniya is also a merciful consideration of the monastic community for the wicked bhikkhu to restore his purity, discarding the evil deeds with repentance through the separated life from a group of pure bhikkhu for a while. 본 논문은 불교교단에서 일시적으로 추방되는 구출에 대하여 밝혀 본 글이다. 화합을 이상으로 하는 불교 상가는 대중의 안락과 화합, 통솔을 위해서 계율을 제정하였다. 이것을 우리는 바라제목차 또는 戒經이라고 한다. 비구 비구니는 반드시 이 계율을 지켜야 하며, 지키지 않을 경우 이에 상응하는 처벌이 요구된다. 이에 대한 처벌가운데 하나가 추방이다. 추방에는 상가로부터 완전히 추방되는 경우와 일시적으로 추방되는 경우가 있다. 완전한 추방에는 不共住(asaṃvāsa)와 滅擯(nāsana)이 있으며, 일시적인 추방에는 不同住(nānāsaṃvāsaka), 不共受(asaṃbhoga), 驅出(pabbajana)이 있다. 구출은 바로 汚家(kuladūsaka)와 惡行(pāpasamācāra)을 행한 자에게 처해지는 일시적인 추방이다. 汚家와 惡行을 행하는 비구에게 상가는 백사갈마에 의해 구출갈마를 행하여, 그 비구를 住處(정사)에서 구출하여 별주(parivāsa)를 하게 한다. 별주를 시키는 이유는 악행을 저지른 곳으로부터 격리시켜 악행을 행한 것에 대해 참회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비구가 악행을 저지르고 나서 바로 자기의 죄를 인정하고 참회를 하면 구출갈마를 받지 않아도 된다. 이 갈마의 목적은 참회하고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참회를 바로 했다면 갈마까지 갈 필요가 없다. 그 당시에 참회를 하지 않아 구출갈마를 받았다면, 別住하는 동안 참회와 함께 行法을 법답게 행하여 상가로부터 解羯磨를 받으면 바로 상가에 복귀가 가능하다. 이 갈마의 징벌기간은 일정하게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참회만 하면 상가에 복귀하여 정지된 비구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일시적으로 추방을 당한 비구는 別住處에서 出罪를 하기 전까지 참회와 함께 엄중한 行法을 행해야 한다. 이 징벌갈마의 모든 행법은 악행비구로 하여금 참회해야 할 죄를 참회케 하고, 제어해야 할 나쁜 버릇을 고치게 하여 다시 청정비구가 되도록 하는 승가의 적극적 조치이다. 그 조치가 대중과의 별주이며, 비구로서의 권리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이다. 구출은 많은 대중들이 살고 있는 상가를 통제하고 청정한 수행자로 거듭나도록 인도하는 징벌일 뿐이다. 청정비구와 잠시 떨어져 생활하면서 악행 등을 버리고 참회를 하여 청정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한 상가의 자비스런 배려인 것이다.

      • KCI등재

        금오태전의 계율관 一考

        신성현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금오태전은 현대를 살다간 대표적인 비구이다. 그는 비구로서의 본연의 삶을 추구한 이이었다. 흔히들 우리는 스님을 불교정화운동의 앞장섰던 분으로만 평가한다. 그가 1954년 전국비구승대회 정화 추진위원회 추진위원장이셨던 역사적 사실이 강하게 남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에 대한 이러한 단순한 평가에 앞서 그는 비구이었다.. 그는 비구의 의무는 공부와 계율을 수지하는 일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는 공부 즉 화두를 드는 것에 게으리지 않았고. 또한 비구로서의 기본인 계를 지님에 소홀히 하지 않았다. 이러한 단순한 계의 실천이 비구로서 당연한 일이지만 당시 현실은 그렇치 않았다. 계율은 무시되었고 불음계는 실천되지 않았다. 계율이 잊혀지는 현실 속에서 계율의 복원을 다시 강조하셨다. 그의 법문집에는 계율에 대한 그의 소박한 견해를 찾아볼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그는 생명을 중시 여겨 불살생계를 실천하셨다. 물고기 한 마리도 나의 생명과 같다고 생각하여 손수 놓아 살려주셨고 모든 생명에 대하여 연민과 자비를 가지고 불살생계를 실천하시었다. 이는 한국의 전통인 사분율과 범망경의 계율사상에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금오는 계율이 성립근거가 되는 정법을 중시여기었다. 그에게 있어 불교정화는 종권쟁탈이 아닌 정법을 되찾자는 주장이셨다. 작금의 불교가 정법과 부합하지 않으며 붓다의 가르침으로 되돌아가자는 것이었다. 그는 계율을 위반하는 대처승에게는 정법의 실현이 어려우며 계율을 중시여기는 비구승에게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견해는 열반경의 계율사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는 대처승만을 이유없이 공격 비판한 것은 아니다. 계율을 준수하지 않고 출가자의 본분사을 망각한 모든 출가자에 대한 경고이셨다. “총무원의 기둥을 도끼로 부셔 버리겠다”고 까지 극단적으로 말씀하시었다. 금오는 계율에 대하여 많은 법어를 남기지 않았지만 계율에 바탕한 그의 법문을 통해 오늘을 사는 출가자에게 더불어 재가자에까지 많은 경책을 던져준다. Ven Keumo Taejeon is a representative priest of high virtue today. In addition, he committed himself to his own duty as a bhikku, a Buddhist priest. He has often been regarded as a leading priest in the movement of Buddhism purification and this historical fact has made a great impression on many people today; he was a president of committee of national purification movement for bhikku. However, he was a bhikku beyond the simple evaluation about him. Bhikku's responsibility he thought was studying and obeying Buddhist precepts. Thus, he didn't stop keeping initiating a topic of conversation and following Buddhist commandments. Though they were natural characteristics as a bhikku, the reality of that time was far way from what it should be; Buddhist commandments were neglected and Buddhist rituals were not put in practice in reality. Therefore, he emphasized rebirth of Buddhist precepts with his humble point of view about them. His Buddhist precep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of all, he put a life high by not killing any lives and put this in practice. For instance, he freed every possible lives after feeling empathy and generosity. He even mentioned that one fish was just like his life,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influence of Caturvarga vinaya, a book of Buddhist basic precepts and Brahamajala sutra, a great scripture of Buddha. Also, Ven Keumo thought Dharma, an established rule, very critical as it could be a base to establish Buddhist precepts. In his point of view, purification of Buddhism was not a scramble for authentic power but assertion of returning Dharma. He wanted to go back to Buddha's teachings as Buddhism of that time was not Dharma. In addition, he added that married Buddhists who were against Buddhist precepts had no possess of Dharma but Buddhist priests had it. This point of view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idea of Buddhist precepts from the Mahanivana sutra. On the whole, Ven Keumo did not criticize married buddhists violently. What he intended was a warning to all monks who forgot and disobeyed their duties. He even said I will break down pillars of headquarter of Korea Buddhism with ax. Even though he did make a lot of public speech, his teachings based on his Buddhist writings were of great significance to believers in Buddhism at home as well as monks.

      • 객체 관계형 DBMS 기반의 XML 문서 저장 스키마 설계

        신성현,노희영,김진호 강원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5 정보통신논문지 Vol.9 No.-

        Each XML document can be represented by using elements which form a hierarchical structure. In order to store and manage XML documents in database systems,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XML storage systems. When we use relational DBMSs to store XML documents, it is complicate to transform XML documents of hierarchical structures into relational schema of flat tabular form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ethod storing XML documents by using an object-relational DBMS. First, we devised a method for transforming XML DTDs into object-relational schema including set type, reference type, and inheritance which don't exist in relational DBMSs. Second, we incorporate a method to minimize hierarchical structures of XML documents by using finite automata theory. With this minimization process, we will be able to get more compact and more normalized database schema for the given XML documents. Finally, we also compared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existing ones for the performance of data retrieval.

      • KCI등재

        남성화 암쥐의 모리스 수중 미로 수행력 : 성에 따른 공간기억력과 테스토르테론 효과의 차이

        신성현,박제민,정우영,박문일,서유나,김성곤,강철중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7 신경정신의학 Vol.46 No.5

        Objectives : It is widely accepted that gonadal steroids are involved in organization and activation of sexual dimorphism in the brain areas related with spatial leaming.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following hypothesis : 1) spatial memory is affected by sex, 2) this difference is related with brain differentiation by exposure to testosterone in the neonatal period, and/or 3) the sexual difference of spatial memory i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organization of sexual dimorphism in the brain and the circulating testosterone after growing up. Methods : Testosterone enanthate 100 ㎍, ('androgenized') orvehicle ('control') was randomly administered to 28 female and 25 male rat pups within 24 hour of birth. The escape latencies (EL) in Morris water maze were measured in 15 and 16 week of age with vehicle ('baseline') and with 10 μmol/kg of testosterone ('with testosterone'), respectively. Each session Consis-ted of 10 trials, and means of the last 5 trials were analyzed. Results : The baseline EL of the males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females regardless ofneonatal exposure to testosterone. With testosterone, EL of the androgenized females were significantly shorter than control females and comparable to those of males. Conclusion : Neonatal exposure to testosterone in female rats may develop a tesosterone-dependent male-like spatial leaming system.

      • 감정지능과 리더십 : 연구동향 및 향후 과제-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신성현,곽기영,이진경,백기복,Sung Hyun Shin,Gi Young Gwak,Jin Kyoung Lee,Ki Bok Baik 대한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3 No.3

        세계적으로 약 30년 전부터 감정지능과 리더십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와 현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적지 않은 연구결과가 쌓여 있다. 국내에서는 과거 10여 년 동안 22 편의 감정지능과 리더십 관련 연구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지능과 리더십에 대한 해외에서의 연구동향을 소개하고 국내 논문들을 중심으로 연구현황, 연구유형, 그리고 연구형태 등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논문의 연구유형은 감정지능과 성과와의 관계를 입증하는 것이 14편(64%)으로 연구방향이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리더십 유형과 리 더십 효과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연구가 4편, 감정표현 관련 연구가 2편, 감정규제관련 연구가 1편으로 분포되어 있었지만 리더의 감정과 추종자의 감정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기타 감정과 리더십의 관계에 있어서는 논의대상 이외의 연구에서 몇편을 찾아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실증연구가 20편이고 개념연구는 2편이었으며 실증연구 논문 중 동 일방법편의오류가 추정되는 논문은 19편에 이르렀다. 또한 22편의 논문이 17종의 서로 다른 학회지에 등재된 것을 확인하여 전문성 및 후속연구로의 연계성 결여를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연구논문의 한계점과 그에 따른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has been the subject of numer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internationally in the last 30 years. In the last decade, domestic studies have produced 22 papers on this topic. This study presents foreign research tr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and focuses its analysis on research history, type, and form of domestic papers. Analysis shows that domestic papers inclined (14 papers; 64%) o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formance. Other papers dealt with subjects rang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ype and leadership effectiveness (4 papers), emotional e-pression (2 papers), and emotional regulation (1 paper). Yet, none conducte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emotions and follower emotions. Thus, this research cited ca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motions and leadership on papers in nonrelated fields. For research methods, empirical studies were done in 20 papers, 19 of which consisted of a possible common method bias in their research; conceptual studies were done in 2 papers. In addition,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lack of continuity in these studies through follow-up studies, as these 22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17 different academic journals. Finally, this research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domestic research papers and presen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this subject.

      • KCI등재

        서비스 혁신 수준진단 도구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신성현,김현수,Shin, Sunghyun,Kim, Hyunsoo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4 서비스연구 Vol.4 No.1

        최근 20여 년 동안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서비스 혁신에 대한 연구접근은 아직까지도 제조업의 제품 품질 개선이라는 전통적 관점을 탈피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20여 년 동안 수행된 서비스 혁신에 대한 분류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각각의 연구의 한계점을 분석한 후 서비스 혁신에 있어 시계열 성이 고려되고 전 조직 차원과 구성원 차원 그리고 고객차원에 이르는 서비스 혁신 단계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제시된 8단계의 서비스 혁신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의 초안을 사례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서비스 혁신을 추구하는 조직에게 현재수준에 대한 진단을 통해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참고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서비스 연구자에게는 서비스 혁신의 올바른 대상과 추진방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서비스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Researches in the services field have evolved tremendously in the last 20 years. However, researches in service innovation still follows the traditional approaches of product quality improvements. The current research reviews the relevant literature from the past, and analyzes limitations each research possess, thus suggest a service innovation framework. Also, we have developed a diagnostic tool that measures the level of service innovation driven from actual cases.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a new road map to organizations that pursue service innovation as well as a new research direction to the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ervice inno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