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결찰유도 치주염 모델에서 토란 추출물 바니쉬의 치주질환 예방 효과
신성진,문성희,오승한,배지명 대한치과재료학회 2021 대한치과기재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4
서론: 치주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천연물 발굴이 계속되고 있고, 이와 관련된 약물전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토란 추출물의 항균작용과 세포독성을 평가하고, 결찰유도 치주염 모델에서 토란 추출물을 바니쉬에 적용하여 치주염 예방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토란 에탄올 추출물의 Porphyromonas gingivalis (ATCC 53978)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를 구하였다. 또한 L929 cell에서 CCK-8 (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 ML, USA) 키트를 이용해 세포독성을 구하였다. 백서(Sprague-Dawley 종)의 상악 제2구치에 4-0 견사를 결찰하였다. 바로 제거한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결찰을 유지한 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고, 바니쉬만 적용한 군과 바니쉬와 토란 추출물 15 wt%을 혼합한 토란추출물 바니쉬군을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결찰 이후 토란 추출물 바니쉬를 백서의 상악 치아에 도포하였다. 결찰 14일 이후 백서를 희생하였고, Micro-computed tomography (SkyScan 1076, Kontich, Belgium)를 이용하여 골소실량을 측정하였으며, 결찰 주변 치은조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MMP-9, IL-6)을 qPCR로 분석하였다. 결과: 토란 추출물의 최소억제농도는 31.3 μg/mL였고, 최소살균농도는 62,5 μg/mL였다. CCK-8 시험 결과 500 μg/mL 이하에서 세포독성이 보이지 않았다. 토란 추출물 바니쉬를 도포한 군은 양성 대조군보다 치조골 소실량이 유의성 있게 작게 관찰되었다(p<0.05). 바니쉬만 도포한 군보다 토란추출물 바니쉬를 도포한 군에서 MMP-9과 IL-6가 유의성있게 낮게 관찰되었다(p<0.05). 결론: 토란 추출물은 31.3 μg/mL까지 P. gingivalis에 항균효과가 있으며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토란 추출물 바니쉬는 동물실험에서 치조골 소실을 감소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토란 추출물 바니쉬는 치주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물질과 전달체계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및 경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
신성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4
이 연구는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및 경기력에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각 변인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에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과 경기, 인천, 전북에 소재한 대학교 태권도전공 중 15개 팀에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무작위로 선정하여 표본을 추출하 였고, Window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는 스포츠 대처전략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스포 츠 대처전략은 경기력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는 경기력에 부분적으 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경기력 간에 스포츠 대처전략은 부분적으로 매개역할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경기력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추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와 척도 개발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Taekwondo athletes' self-management, sports coping strategies,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to contribute to basic research to understand each variable.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ceding study by 15 teams among universities in Taekwondo major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Jeonbuk, and randomly selected and extracted a sample. Analysis used the program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elf-management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ports coping strategies. Second, the sports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formance. Third, the self-management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formance in par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ports coping strategy partiall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self-management and athletic performance of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thletes' self-management, sports coping strategies,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lat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ration effects and sca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uggested.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 후 자발적으로 발생한 양측 아킬레스건의 파열- 증례 보고 -
신성진,서규범 대한스포츠의학회 2008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26 No.2
Spontaneous bilateral Achilles tendon ruptures are a rare occurrence that usually occur in patients with chronic systemic disease. Many cases are also associated with corticosteroid or fluoroquinolone use. We present a case of a 66-year-old woman who had bilateral Achilles tendon ruptures after local steroid injection. Intraoperatively, degenerative changes at both sides of rupture end and large defect were seen. We reconstructed the Achilles tendon using V-Y plasty and reinforced the repair site using the flexor hallucis longus tendon for both sides. The patient showed favorable result three years postoperatively with return to range in a degree of activity levels.
골프 레슨참여자의 마인드셋, 성취목표성향, 참여만족의 관계 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
신성진,김성호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이 연구는 골프 레슨참여자의 마인드셋, 성취목표성향, 참여만족의 관계 분석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소재한 15개 골프연습장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선정하고, 최종분석 에 194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빈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 회귀분석 및 bootstrap 검증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마인드셋은 성취목표성향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장마인드는 자기목표와 과제 목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고정마인드는 과제목표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제목표는 참여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마인드셋의 하위요인인 성장마인드는 참여만 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성장마인드와 참여만족의 관계에서 과제목표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 였다. 따라서 골프 레슨참여자의 참여만족을 높이기 위해 자신은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믿는 것이 필요하며, 비교와 경쟁을 지양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에 목표를 갖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Golf Lesson Participants'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the users of 15 golf driving rang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the data of 194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research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 verification were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used the SPSS 22.0 program.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indset partial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pecifically, the Growth Mindse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Self-Goal and the Task-Goal, and the Fixed Mindse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Task-Goal. Second, Task Goal, a sub-factor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ird, Growth Mindset, a sub-factor of Mindse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Task-Goal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Mindset an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Golf Lesson Participants', it is necessary to believe that they will be able to grow, and it is necessary to avoid comparison and competition, and to set goals for the tasks given to them.
신성진,윤민호,권순경,최우영,Shin, Sung-Jin,Yoon, Min-Ho,Kwon, Soon-Kyung,Choi, Woo-You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99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26 No.1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the el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oot barks which have been known as an oriental medicine Eubackpie for the treatment of edema, ulcer and inflammation were examined for their bacteriocidal effects on mastitis pathogens of milk cows. The growth of the pathogenic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and Streptococcus sp. No. 12 was markedly inhibited by the chloroform fraction among the extracts, and these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also supported by MIC test. Water-soluble mucilage was obtained from the root barks with a yield of 36.8~40.2% by dry weight basis. This substance appeared to be a kind of polysaccharide with $61.0{\pm}1.0%$ carbohydrate content, and to have hygroscopic and astringent properties due to its high viscosity and water absorption.
달맞이꽃(Oenothera odorata Jacquin) 뿌리에서 추훌한 황균성분의 특성
신성진,권순경,이권행,성낙도,최우영,Sin, Sung-Jin,Kwon, Soon-Kyung,Lee, Kweon-Haeng,Sung, Nack-Do,Choi, Woo-You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94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21 No.1
An antibacterial component was isolated from the roots of evening primrose(Oenothera odorata Jacquin). The component was purified by repeated preparative TLC of the chloroform-extract with solvent system of toluene(7):ethyl acetate(4):formic acid(O.8). NMR spectrum indicated that it is a steroid compound containing radical(-C=C-C=0) and aromatic structures. 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rains of the genus Streptococcus was relatively high, the MIC value was 50 acccording to the Hoechst Manual-345, as compared with the other genera such as Staphylococcus and Escherichia.
신성진,Sin, Seong-Jin 벤처기업협회 2007 벤처다이제스트 Vol.104 No.-
대부분의 투자전문가들은 분산투자, 장기투자를 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한다. 어느 재테크, 금융강좌를 가더라도 강사들은 목소리 높여 장기투자를 외치고 있다. 그런데 왜 장기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적고, 성공의 사례들이 적은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