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몽골 이주노동자들의 결혼 불안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고립, 스트레스와 대처유형, 종교단체의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신성자 ( Sung Ja Shin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2 신앙과 학문 Vol.17 No.3

        이주노동자들의 노동력에 대한 한국산업체의 의존도가 증가와 함께, 본 연구는 가족과 분거생활을 하는 기혼이주노동자들의 결혼불안정성 문제와 관련요인들을 파악하였다. 서울과 부산, 인천, 대구, 대전, 안산, 평택, 청주, 구미, 목포 등 10개 도시에 거주하는 재한 몽골 기혼이주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표본(N=167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재한 몽골 기혼이주노동자들의 결혼불안정성에 대한 진단과 이들의 결혼불안정성(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관련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부가하여 종교배경별 결혼불안정성 및 사회적 지지수준을 비교분석 하였다. ``사회적 고립감``, ``스트레스``, ``긍정적 대처``, ``부정적 대처``, 그리고 종교단체로부터의 ``사회적지지`` 등 5개의 주요독립변수와 ``성별``, ``연령``, ``학력``, ``체류기간``, ``체류자격``등 5개의 통제변수를 투입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재한 몽골 기혼이주노동자들 세 명중 한 명 이상이 결혼해체 위험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재한 몽골 기혼이주노동자들의 ``사회적 고립``(odds ratio, 2.075), ``사회적지지``(.889), ``성별``(.490), ``연령``(.437), ``체류기간``(1.742)은 결혼불안정성에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결혼불안정성에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종교배경별 결혼불안정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입증되지 않았지만, 기독교인들이 타종교 또는 무교인 사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서적 지지를 더 받고 있는 경향이 있어, 기혼 이주노동자들의 결혼불안정성을 감소시키는데 교회의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해주었다. 이주노동자들의 가족결합권을 허용하는 정책의 필요성과 기혼 이주노동자들의 결혼해체를 예방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하였다. With the increased dependency of immigrant workers` labor on Korean Industry, the major concern of this study consists in:(1) evaluating the marital instability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2) the correlates of ``social isolation``, ``stress`` ``coping pattern`` ``social support from religious organization`` ``gender``, ``age``, ``education``, ``length of stay``, ``legal status`` on the ``marital instability``; (3) the difference of marital instability and social support between Christian and other group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167 married Mongolian migrant workers residing in 10 major citie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is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We find the significant marital instability among Mongolian migrant workers. At least one third of respondents are at the risk of marital dissolution. ``Social isolation`` (odds ratio, 2.075), ``social support from religious organization``(.889), ``gender``(.490), ``age``(.437), ``length of stay``(1.742)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marital instability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Comparing to other Mongolian immigrant workers with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s, the Christian Mongolian migrant workers seem to receive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emotional support from church. This implies that the significance of Church`s roles in terms of being able to decrease the marital instability of Mongolian immigrant workers. Some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업무부담과 학교지원이 교사의 학교폭력 대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성자(Shin, Sung J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교사의 업무부담, 학교지원, 그리고 교사와 학생 간의 지지성이 교사의 학교폭력 대처효능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업무부담 또는 학교지원이 교사의 학교폭력 대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교사와 학생 간의 지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리고 담임집단과 비담임집단 간에 직ㆍ간접효과를 비교하고 주요 잠재변인(업무부담, 학교지원, 교사와 학생 간의 지지성, 교사의 학교폭력 대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 지역의 중학교 교사(351명)이다.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학교의 지원은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의 대처 효능감에 직접효과는 주지 않았지만, 교사와 학생 간의 지지성을 완전매개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져 교사와 학생 간의 지지성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교사의 업무부담이 학교폭력대처 효능감이 정적 효과를 미치고, 교사와 학생 간의 지지성은 완충효과(buffering effect)를 보인 것은 선행연구에서의 주류적 논의와 상치된다. 업무부담이 학교폭력 대처효능감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 후속연구에서 비연속 변화모형(piecewise model)분석을 제안하였다. 4개의 잠재변인 중에서 업무부담에서만 담임집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의 대처효능감에 미치는 관련요인들의 직ㆍ간접효과는 담임집단과 비담임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redominant concerns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direct effects of the work load and school support on both teachers’ coping efficacy in school violence situations and on the suppor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2) the indirect effects of the suppor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n teachers’ coping efficacy; (3) the difference of the mean of four major latent variables between home room teachers and non-home room teachers; (4)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osition of (homeroom vs. non-homeroom) teacher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351 teacher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Daegu.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are explored. In order for subjects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used. The notice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eachers’ workloa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ers’ coping efficacy for helping students in violent situations. The suppor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workload and coping efficacy. Next, school support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coping efficacy. However, teachers’ coping efficacy has a full mediating effect via a suppor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rdly, we fail to find a moderating effect of the teachers’ position(home room vs. non-home room). Finally, home teachers’ workloads are higher than that of non-homeroom teachers. A range of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피해학생을 위한 교사의 원조개입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신성자(Shin, Sung-Ja)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1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중학교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학교폭력 발생시 교사의 원조개입효능감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변인들을 검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AMOS를 이용해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토대로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전체매개, 개별매개 그리고 개별매개간의 차이검증은 Mplus를 사용하여 비선형분석을 하였다. ‘사회적 책임감’과 ‘가해·피해자에 대한 올바른 인식’ 그리고 ‘교칙공정성’등 세 효과변인들은 직·간접적으로 교사의 ‘원조개입 효능감’(SMC, 64%, 총효과, .452)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요인이라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사회적 책임성’이 교사의 ‘원조개입효능감’에 미칠 수 있는 직접효과(.203)보다는, 두 매개변인(‘가해·피해자에 대한 올바른 인식’ ‘교칙공정성’)의 전체간접효과(.249)의 영향이 더 컸다. 두 매개변인들 중에서는 ‘가해·피해자에 대한 교사의 인식’(.224)이 ‘교칙 공정성’(.025)보다 훨씬 더 강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교폭력 ‘가해·피해자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은 ‘사회적 책임성’이 교사의 ‘원조개입효능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크게 증폭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강력한 매개변인이라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들의 원조개입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in: (1) the direct effect of social commitment on teachers" intervention efficacy for helping both victims and offenders in school violence situation; (2) the indirect effects of both teachers" perceptions of offenders and victims, and fairness of school regulations on teachers" intervention efficacy .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351 teachers(84 males and 267 females) from 10 middle schools located in different districts of the city of Daegu. In order for subjects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teachers" intervention efficacy for helping both victims and offenders were explore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mediators" effect, along with total indirect effect and each individual mediator"s effects, bias-corrected bootstrapping analysis by using Mplus were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ed the significance on direct effect of social commitment, and indirect effect of both fairness of school regulations and teachers" perceptions toward offenders and victims, on teachers" intervention efficacy.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fairness of school regulations(.025) was far outweighed by teachers" perceptions(.224) toward offenders and victims. In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claim our attention in that they provide a range of pr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ers and other related professionals including school workers who are engaged in helping out both victims and offenders in school violence situation.

      •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사회복지사들의 문화적 역량 제고방안

        신성자(Shin, Sung-Ja)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6 No.2

        우리나라는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그리고 국제결혼 이민자의 유입이 크게 증가하여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사회복지사들은 이주민들의 정착과 사회적응을 원조하는 개입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게 되었다. 실천가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다문화 클라이언트를 효과적으로 원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천가의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이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문화 개념과 주요구성소의 특성을 소개하고, 다문화 현장의 실태, 기존 다문화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평가, 그리고 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을 위한 대안 모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문화 현장 실천가들에게 제공되어온 기존 다문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평가한 실증적 연구결과들을 검토한 결과, 사회복지사들의 다문화 역량은 대체로 긍정적인 수준이며, 기존 프로그램은 다문화에 대한 지식 및 개입기술 향상에는 가시적인 효과를 가져왔지만, 문화인식의 개선은 도모하지 못한 명백한 한계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천가들의 사적 경험이 전문적 경험보다 문화적 이해와 수용을 높이는데 보다 효과적임이 밝혀져, 다문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은 과거의 강의식 위주의 접근을 지양하고 체험을 강조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됨을 제안하였다. 다문화 실천가들이 자신과 이질적인 문화배경을 가진 다문화 클라이언트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저해하는 요인은 다문화에 대한 무지 뿐 만 아니라, 보다 근원적인 문제인 ‘마음의 굳음’(blindness of heart)에서 비롯되는 측면을 논의하면서, 이질적인 문화를 가진 클라이언트를 진정으로 수용하기 위한 영적 접근(spiritual approach)을 제안하였다.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immigrants into Korean society, including foreign laborers, international marriage spouses,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cultural competence of social workers actively participate in helping immigrants from different of cultural backgrounds. The primary concerns of the study focus on: 1) providing an overview of the status quo of organizations providing services and programs for immigrants; 2) grasping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3)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previous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employed by practitioners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immigra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4) exploring the alternatives available to practitioners to enhance cultural competence. Evidence from the related empirical research indicates that the existing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being provided to the practitioners working with cli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lose their effectiveness by failing to enhance practitioners" cultural competence especially in terms of “cultural awareness”, whereas we find some positive contribution to such enhancement in the areas of cultural knowledge and the interventional skills. From our research, we have identify the following needs: 1) greater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expanding personal, private, cultural experience in order to improve the cultural competence of practitioners" 2) adding more experience-oriented content into programs rather than relying on lecturing-style programs; 3) enhancing practitioners spirituality in order to dealing with the blindness of heart issues which may deteriorate practitioners" voluntary willingness in reducing cultural bias among practitioners to enhance their appreciation and acceptance of cultural d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중년 남성과 여성의 부모와의 친밀성이 노부모수발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신성자(Sung Ja Shin),이원준(Won June Lee)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6

        본 연구는 중년남성(318명)과 중년여성(456명)을 연구대상으로, 노부모 ``수발실천의지``의 관련요인을 탐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Amos와 Mplu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별비교를 위한 다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의 선행조건인 측정동일성(measurement invariance test)이 기각되어, 남성집단과 여성집단의 모형을 별도로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제시하였다. 표본의 남성과 여성이 척도의 내용을 동일하게 지각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회문화적 규범이 성별 간의 지각형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해주는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분석결과, ``친밀성``은 ``수발실천의지``뿐만 아니라, ``정서적 수발헌신``과 ``수발효능감``에도 정적직접효과를 미쳤다. ``정서적 수발헌신``과 ``수발효능감``은 부모와의 ``친밀성``이 ``수발효능감``에 정적 효과를 미칠 때, 각각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였을 뿐 만 아니라, 매개의 매개효과인 이차매개(second order mediator) 역할을 하였다. 주요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는 남성집단과 여성집단 모두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성인자녀의 부모와의 ``친밀성``은 성인자녀들이 노부모를 위해서 수발을 실천하려는 의지를 갖게 하는데 강력한 동인이 될 뿐 만 아니라, ``정서적 수발헌신``과 ``수발효능감`` 향상에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젠더를 초월한 성인 아들 딸들의 노부모 수발 역할공유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모색을 논의하였다. With increasing social issues of related to the provision of care-giving services for the elderly who can not perform activity of daily living,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willingness of adult-children to provide care-giving services for their parents and its correlates. The primary concerns of the study focus on: (1) the direct effects of the individuals` intimacy toward the parent on their willingness to perform care-giving practices, their emotional commitment to care-givng, and efficacy in care giving roles; (2) the mediating effects of an individual commitment to care-giving and their self-efficacy for care-giving roles on their willingness to provide care-giving practice resulting from their intimacy towards their intimacy towards their parents;(3) the second order mediating effects of the two mediating variables.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middle aged married males(318) and females(456) who have at least one living parents, residing in Daegu or Kyungpook province.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explored. Total indirect effect, each individual mediator`s effect and the second order effect of two mediators (emotional commitment to care-giving and self efficacy of care-giving roles) are verified based on bias-corrected bootstrapping analysis using Mplu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 KCI등재

        성역할고정관념과 개방결혼에 대한 인식이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성자(Sung-Ja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결혼인식, 성역할고정관념, 혼외관계 수용성, 성적외도 실행의도 등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여 성별차이를 재확인하였다. 둘째, 남성의 경우, 성역할고정관념, 개방결혼인식, 혼외관계수용성은 성적외도실행의도에 각각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고, 혼외관계수용성은 결혼개방성인식이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성역할고정관념은 혼외관계 수용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셋째, 여성의 경우 성역할고정관념, 개방결혼에 대한 인식, 혼외관계수용성은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각각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고, 혼외관계 수용성은 결혼개방성인식이 성적 외도실행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성역할고정관념이 혼외관계 수용성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성역할 고정관념이 성적외도 실행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에 의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적 외도실행의도 및 관련요인에 대한 성별차이를 실증적으로 입증하면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men show higher level of perceiving open marriage, sex-role,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intention of extra-marital sex than that of women. Second, the effects of mens perception of sex-role and open marriage, and the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have direct effects on their intention of extra-marital sex. The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shows the mediation effect on the path between that of open marriage and extra-marital sex among men. However, mens perception of sex-role does not affect the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Lastly, womens perception of sex-role and open marriage, and the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directly influence the intention of extra-marital sex each, including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ing extra-marital relationship between that of open marriage and extra-marital sex which are similar to the mens trend. Womens perception of sex-role show the direct effect on the acceptance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unlike mans trend. Therefore, the fact demonstrates that the effect of perceiving of sex-role on the intention of extra-marital sex i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내부고발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부정적 인식이 사회복지조직의 내부고발자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성자(Shin, Sung-Ja),이원준(Lee, Won-June) 한국지역사회학회 2017 지역사회연구 Vol.25 No.1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954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study aims at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students" supportive or critical perceptions toward whistle-blowing on their evaluations for whistle-blowers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valuation regarding blowing the whistle on exam cheating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ability to control.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upportive perceptions toward whistle-blowing is higher than that of critical perceptions. The whistle-blower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s a bit more positively evaluated than the whistle-blowers about exam cheating among the respondent. Second, students with relatively high ability of control show generally higher score than students with low ability of control in the scale of main variables above. Lastly, among people with low ability to conrol, all the paths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evaluations for whistle-blowers are significant, however, the direct effect of critical perceptions toward whistle-blow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valuation regarding blowing the whistle on exam cheating on their evaluations for whistle-blowers with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re not significant among people with high ability of control, Therefore, the moderation effect is proved acording to the level of ability to control.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 KCI등재

        재한 몽골 노동자들의 사회적 고립감과 문제음주가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신성자(Sung Ja Shin)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 Vol.25 No.1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167 married Mongolian workers (211 males and 56 females) from 5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and 5 major cit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show approximately 29% marital instability at risk of divorce. Majority of subjects (78%) have experienced social isolation. Over half of subjects have problem drinking. Next,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significant correlates on ‘marital break-up’ include ‘social isolation’ (odds ratio 1.6791) and ‘problem drinking’ (odd ratio 1.791). Finally, according to the test for the mediator(problem drinking) in logistic model, by using adjusted standardized coefficient of each variables, the individuals’ perceptions of social isolation have a positive direct effect on both marital break-up (.371) and problem drinking (.329). The individuals’ problem drinking also has a positive effect (.311) on marital break-up. We foun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individual’s problem drinking (.128) incrementing individuals’ marital break-up of Mongolian workers. In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claims our attention in that they provide a range of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ith the emphasis of supporting Mongolian workers’ marriage and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