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산밀에서 농업형질 및 종실 형태가 수발아에 미치는 영향
신상현,김경훈,강천식,박종철,현종내,박철수 한국육종학회 2013 한국육종학회지 Vol.45 No.4
국내 밀 재배 환경에서 수발아 저항성 밀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금강밀 등 31 품종을 이용하여 2년 동안 조사한 농업 형질과 종자 특성이 수발아율 및 GI에 미치 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농업형질은 출수기, 성숙기, 간장, 수 장, 망장, 경수와 1수립수를 조사하였고, 종자 특성으로는 리 터중, 천립중, 종자의 길이, 폭과 두께를 측정하였다. 수발아 관련 특성으로는 모래묻이법을 이용한 수발아율과 종자 휴면 성과 상관 있는 GI를 조사하였다. 수장과 경수는 년차간 변이 가 없었으며, 리터중은 년차간 및 품종간 차이가 없었고, 이외 나머지 농업형질과 종자 특성 및 수발아율은 년차간, 품종간 및 품종과 년차간 상호작용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농업형질은 수발아 특성과 상관이 없었지만, 출수기와 성 숙기는 1수립수 및 종자 길이와 상관을 나타냈으며, 천립중과 종자 길이는 간장과 망장과는 정의 상관을 1수립수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수장과 경수는 종자 폭 및 두께와 상관을 보였다. 천립중은 수발아율 및 GI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 며(r = 0.618, P < 0.001, r = 0.525, P < 0.01), 종자의 길이, 폭과 두께 역시 수발아율 및 GI와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백립계 품종은 적립계 품종에 비하여 리터중을 제외한 모든 특성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수발아율과 GI 값도 높게 나타났다. 적립계 품종인 수안밀, 수강밀, 알찬밀과 고소밀은 수발아 저항성이면서 휴면성이 강한 품종으로, 국내 밀 육종 프로그램에서 수발아 저항성 육성 모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 이다. 국내 밀 품종의 수발아 저항성 증진을 위한 계통 선발 에서 종피색과 종실의 무게와 크기도 고려해야 한다. Pre-harvest sprouting (PHS), which is the precocious germination of the grains in the spike before it is harvest, is the serious problem in the reduction of end-use quality in whea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among PHS tolerance, agronomic and grain characteristics in Korean wheat cultivars were evaluated for two years to improve PHS tolerance in Korean wheat breeding programs. Grain characteristics including 1,000 grain weight and grain size (length, width and thickness), PHS tolerance conducted by the mist spray in the humid chamber (PHS-MS) and germination index (GI), and Agronomic traits including heading date, maturing date, culm length, awn length and the number of grain/spik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 by genotype, year and the interaction between year and genotype, except in spike length, the number of spike/m 2 and test weight. PHS tolerance and GI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1,000-grain weight (r = 0.618, and r = 0.528, respectively) and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grain, although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gronomic traits and PHS tolerance was found in Korean wheat cultivars. PHS-MS also showed positively correlated with GI value (r = 0.770, P < 0.001). White grain cultivars showed higher PHS-MS and GI values (61.86% and 0.58, respectively) than red grain cultivars (11.89% and 0.18, respectively). White grain cultivars also showed higher values in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grain than red grain cultivars. Among red grain cultivars, Alchan, Goso, Suan and Sukang showed lower values in both PHS-MS and GI (< 2.63% and < 0.05, respectively) and these cultivars could be used to improve PHS tolerance in Korean wheat breeding programs.
지급보증 용역에 대한 이전가격 과세제도 및 실무적 적용에 관한 연구
신상현 한국국제조세협회 2020 조세학술논집 Vol.36 No.2
As companies increase their overseas investment and entry into foreign markets, the number of financial guarantee service transactions with an advantage of local financing has also continued to increase. The National Tax Service initiatively began the transfer pricing taxation on financial guarantee service transactions in 2012 prior to the enactment of regulations concerning financial guarantee services in foreign countries. However, many companies filed tax appeals claiming that the taxation was unreasonable due to the lack of a precise standard, which further led to a number of tax litigation. The National Tax Service closed lawsuits with most of the companies through arbitrary adjustments due to successive losses, and various changes occurred with the relevant regula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after losing in the Supreme Court. In this study, the taxation system for financial guarantee service transactions in Korea and the transfer pricing guidelines related to financial guarantee service provid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transfer pricing method stipulated in the Law for Coordination of International Tax Affairs were reviewed. Lastly, the study analyzed meaningful precedents that resulted in policy change in the taxation of financial guarantee services by the National Tax Service, pointed out existing problems of such regulations, and proposed recommendations with the measures for improvement. First, regarding the current financial guarantee service fees that are applied collectively to all lenders, it would be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entities subject to the receipt of financial guarantee service fees, taking into account each entity’s substantial economic nature and the overall transfer pricing structure. Second, legal certainty and predictability should be enhanced by clarifying regulations on the claim of financial guarantee service fees for newly established entities based on the Supreme Court’s final decision, which did not recognize the rationality of the use of the Moody's model for the newly established entities. Third, based on the recent announcement of transfer pricing guidelines on financial transactions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t is expected to accelerate legislation in foreign countries on such regulations. Thus, transfer pricing disputes related to future financial transactions are likely to increase, and domestic companies would have to minimize future tax risks through advance preparation for such challenges. 기업들의 해외 투자와 진출이 늘어남에 따라 현지 자금조달에 이점을 가지고 있는 지급보증 용역거래도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국세청은 해외 국가들에서 지급보증 용역과 관련한 규정을 법제화하기 이전인 2012년부터 선도적으로 지급보증 용역거래에 대한 이전가격 과세를 시작했다. 하지만 많은 기업들은 이에 반발하여 국세청의 과세는 명확한 기준이 부족하기 때문에 무리한 과세임을 주장하며 조세불복을 제기하였고, 이는 다수의 조세소송으로 이어졌다. 국세청은 연이은 패소로 인하여 임의조정을 통해 대부분의 기업들과 소송을 종결하기도 했으며, 대법원의 최종판결에서 패소한 이후 관련 규정과 실무적 적용 등에 있어 다양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급보증 용역거래에 대한 과세제도 및 국제기구의 지급보증 용역과 관련한 이전가격 지침 등을 분석하고, 국조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상가격 산출방법이 실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국세청의 지급보증 용역 과세의 정책변화에 많은 영향을 준 쟁점 판례들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당면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먼저 모든 피보증법인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현행 지급보증 수수료에 대해 각 법인들의 경제적 성격 및 이전가격거래 구조 전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급보증 수수료를 수취해야 하는 대상법인에 대한 구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설법인에 대한 무디스 모형 사용의 합리성을 인정하지 않은 대법원 최종판결 이후 혼선을 겪고 있는 납세자들을 위해 신설법인의 지급보증 수수료 청구에 대한 규정을 명확히 하여 법적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국제기구들의 금융거래와 관련한 이전가격 지침 발표로 인해 해외국가들도 이에 대한 법제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금융거래와 관련된 이전가격 분쟁은 더욱 증가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이며, 국내 기업들은 이에 대한 선제적인 준비를 통해 향후 과세위험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정당방위 규정의 개정 필요성 및 방향 - 독일 학계의 개정 논의를 참고하여-
신상현 대검찰청 2024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84
In Korea wird Notwehr nur selten von Gerichten anerkannt, was dazu führt, dass Bürger*innen zögern, sich bei unerwarteten und rechtswidrigen Angriffen zu verteidigen, und selbst wenn sie es tun, sind sie unsicher, wie und in welchem Umfang sie sich verteidigen können. Dies ist vor allem darauf zurückzuführen, dass eine klare Regelung für die Notwehr nicht vorliegt. Der Bestimmtheitsgrundsatz fordert, dass eine gesetzliche Regelung ausdrücklich sein muss, damit der Normadressat wissen kann, welche Handlungen rechtlich erlaubt oder verboten sind. Dies gilt unabhängig davon, ob es den Täter begünstigt oder benachteiligt. Daraus folgt, dass auch der Inhalt und die Grenzen von Rechtfertigungsgründen deutlich zu regeln sind. Von diesem Standpunkt verstößt § 21 Ⅰ kor. StGB, der lediglich ein abstraktes Erfordernis der “Angemessenheit” enthält, gegen den Bestimmtheitsgrundsatz. Damit sowohl der Verteidiger als auch der Täter den Anwendungsbereich der Notwehr voraussehen und dementsprechend handeln können, ist § 21 Ⅰ kor. StGB klarer zu reformieren, wie der Reformvorschlag des “KriK” in Deutschland. Es empfiehlt sich, den Anwendungsbereich der Notwehr durch Aufzählung der Fälle, in denen die Notwehr eingeschränkt ist, zu präzisieren.
신상현,박강균,박정준,심양보,박연준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8 임상미생물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8 No.-
배경 : Proteus mirabilis 는 주요 원내 감염균이고, ampicillin 과 다른 β-Lactam계 항균제에 대부분 감수성이다. 최근 유럽에서 extended-spectrum β-Lactamase(ESBL) 생성으로 β-Lactam 제제에 내성을 보이는 P. mirabilis와 plasmid-mediated AmpC β-Lactamase (PABL) 생성 P. mirabilis가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분리된 P. mirabilis에서의 ESBL, PABL 생성균의 빈도 및 유전자형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4년 4월에서 9월까지 전국 12개 기관에서 분리된 P. mirabilis 134주를 대 상으로 agar dilution 법으로 cephalothin, cefuroxime, ceftazidime, cefotaxime, aztreonam, cefepime, cefoxitin, amikacin, gentamicin, piperacillin, ciprofloxacin, meropenem, imipenem MIC을 시험하고 double disk synergy 시험, modified Hodge 시험으로 ESBL, PABL 생성균을 선별하였다. ESBL은 blaTEM, blaSHV, blaCTX-M-1, blaCTX-M-2, blaCTX-M-9, blaPER, blaGES, blaVEB을 PCR로 검출하고, PABL은 6개 set의 AmpC-specific primer를 이용한 multiplex PCR로 PABL 유전자형을 분류하였으며, 염기서열, PFGE 분석도 함께 시행하였다. 결과 : 134주 중 각각 39주(29.1%)와 24주(17.9%)가 cephalothin과 cefuroxime에 내성이었으며, 13주에서 ESBL 유전자형이 검출되었는데 blaCTX-M-14형이 8주, blaCTX-M-9형이 1주, blaTEM-52형이 1주, blaSHV-12형이 1주, blaPER-1형이 1주이었다. 134주 중 15주는 cefoxitin에 비감수성이며 그 중 11주는 cefuroxime에 내성이었다. PABL 검출을 위한 modified Hodge 시험에 5주가 양성이었다. PABL 유전자형은 4주 중 2주에서 CMY-10형, 각 1주에서는 CMY-2 와 DHA-1 형이 검출되었다. 1주의 CMY-10형에서는 blaPER-1, blaTEM-52형의 유전자도 함께 가지고 있었다. DHA-1생성 주는 ceftazidime(MIC≤1 μg/mL), cefotaxime (MIC≤1 μg/mL)에 감수성이었고 CMY-2, CMY-10을 생성하는 균주들도 ceftazidime MIC가 각각 (MIC : 4 and ≤1 μg/mL) 감수성이었다. 결론 : P. mirabilis 에서의 ESBL, PABL 생성은 9.7%와 3.0%이었으며, ESBL의 대부분은 blaCTX-M-14형이었다. 이들 유전자의 균주간 전이와 PABL검출을 위한 선별 기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신상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4 No.-
This article studied the background and details of espionage on the Hongdo-jeongtamgi(紅島偵探記), written in 1746(Yongjo 22), which is record in Honggipo(紅旗浦) and the area of Hongdo(紅島) that correspond to Vladivostok are recorded. The background of espionage were the matter of establishing the border line designated by Mangucho-seolsin(莽牛哨設訊) and Toechaek(退柵) in the Yalu River[鴨綠江] border with the Qing(淸) Dynasty, and the sense of crisis that the Deungdeunggi(磴磴磯), then residing in the north, might break in. In order to get more information on these issues, King Yongjo(英祖) dispatched Kyori(校理) Eom Woo(嚴瑀) as the Bukgwan-eosa(北關御使), and then Eom Woo also sent a scout of 27 people, including Nam Jekeuk(南濟極), to Honggipo and Hongdo areas on two times to spy out the region. As a result, they successfully collected various information on Deungdeunggi, and sensed the occurrence of the drifting people[流民] caused by the Qing Dynasty’s crack down on illegal ginseng herbalists[蔘偸採者], and found out the scale and situation of the Chinese native bees[漢人] that fled to the areas of Honggipo and Hongdo. Eom Woo reported what he found to Yongjo, which led to conclude the discussion on the circumstances related to Deungdeunggi in Joseon court. After the expedition, Yongjo rewarded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pying. Later in 1747, Joseon decided to exile two Korean women, who were captured and transferred by Qing administrations for smuggling into Deungdeunggi, after through investigation. Also,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exploration could be used to produce the map Haedongjido(海東地圖)’s Seobukpiayanggye- jeondo(西北彼我兩界全圖). As such, Hongdo-jeongatamgi(紅島偵探記), a detailed record on the espionage, is meaningful in several aspects: First, it shows the process of obtaining information and efforts to overcome the sense of potential crisis of Manchuo-seolsin, Toecheek, and Deungdeunggi invasions, which was a keen issue at the time. Second, it provides data on the detailed methods of various explorations developed in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operating personnel, the personnel involved, the exploration routes, the people who met during the reconnaissance,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the explorations. Third, by providing geographical names as well as geographical and cultural information, as well as language and customs, it can be used as a major resource for studying the area historically and can be useful for revealing new relationships with the region. 이 글은 1746년(영조 22) 지금의 블라디보스토크에 해당하는 紅旗浦와 紅島 일대를 정탐한 「紅島偵探記」에 대하여 정탐을 하게 된 배경과 정탐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정탐의 배경으로는 영조 22년에 청나라와의 압록강 국경 지대에서 발생한 莽牛哨設訊과 退柵에 의한 국경선의 설정 문제, 그리고 당시 북방에 거주하던 磴磴磯가 침입할지도 모른다는 위기의식 때문이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보다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영조는 校理 嚴瑀를 北關御使로 파견하고, 嚴瑀는 南濟極 등 27명을 두 차례에 걸쳐 紅旗浦와 紅島 일대로 보내 정탐을 해오게 한다. 그 과정에서 磴磴磯에 대한 여러 정보와 함께 당시 청나라가 진행하고 있던 蔘 偸採者의 단속에 의한 유민의 발생과 紅旗浦와 紅島 일대로 도망한 漢人 토벌의 규모와 양상을 정탐하는 데 성공한다. 嚴瑀는 정탐의 결과를 영조에게 보고하고, 영조를 비롯한 조정에서는 당시의 이러한 정황과 지리적 정보를 알게 됨으로써 磴磴磯에 대한 논의는 일단락된다. 정탐이 끝난 뒤에 영조는 해당자들에게 포상을 하고, 다음해인 1747년에 청나라에서는 磴磴磯에 들어가 14년을 살았던 두 조선 여인을 잡아 한양으로 보내오는데, 형조에서 심문한 다음 섬으로 유배를 보낸다. 또한 이 정탐의 결과 얻어진 지리 정보는 『海東地圖』의 「西北彼我兩界全圖」를 제작할 때에 거의 그대로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당시의 정탐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한 「紅島偵探記」는 다음의 몇 가지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1) 당시 급박하게 진행되었던 莽牛哨設訊과 退柵 문제, 磴磴磯 침입의 위기의식을 정탐이라는 방법으로 극복하고자 한 노력과 정보 취득 과정을 알 수 있다. 2) 조선시대에 다양하게 전개한 정탐 활동의 진행 과정과 방법, 운용 인원, 정탐 노정, 정탐시에 만났던 사람들, 정탐지의 지리적 정보 등의 제반 사항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규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3) 지명은 물론 인문 지리적 정보, 언어와 풍속 등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지역을 연구하는 주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과의 새로운 관계를 설정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국제 표준 문자코드세트에 등록된 韓國 固有漢字 고찰(1)-‘假借의 원리를 응용하여 造字한 고유한자’를 중심으로-
신상현 구결학회 2022 구결연구 Vol.48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nique Chinese characters in Korean(固有漢字)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Borrowed characters(假借), among Korean characters registered in ISO/IEC 10646, an Universal Character Code Set(UCS), and summarizes them by typ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cases of which sounds and meanings were used in actual literature. The total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registered in Korea in the UCS is 20,287. Among them, about 500 unique Chinese characters in Korean(固有漢字) were newly created to indicate Korean native words, and applying the principle of Borrowed characters(假借) were currently 146. If they were classified by used purpose, they were 1) 5 characters for borrowing ‘隱()’ and marking ‘~ㄴ’, 2) 69 characters for borrowing ‘乙’ and marking ‘~ㄹ’, 3) 6 characters for borrowing ‘音/味’ and marking ‘~ㅁ’, 4) 3 characters for borrowing ‘邑/巴’ and marking ‘~ㅂ’, 5) 60 characters for borrowing ‘叱’ and marking ‘~ㅅ(ㄷ/ㅌ)/ ~ㄱ/ ~ㅈ’, 6) 3 characters for borrowing ‘同/東/應’ and marking ‘ㅇ’. In addition, the use of unique Chinese characters in Korean(固有漢字) was confirmed through actual literature dat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t was used to indicate various linguistic elements such as names of objects, names of peoples, names of places, notation of Idu(吏讀), notation of the Jurchen Language(女眞語), and etc. And, it was found that not only the sound of a Chinese character was taken, but also a semantic element was taken. Also, it showed a tendency to be widely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ound of the native language in names of objects, peoples, and places. Finally, it can be seen that a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were created to represent a single native language. 이 논문은 국제 표준 문자코드세트인 ISO/IEC 10646에 등록된 韓國 固有漢字 가운데 ‘假借의 원리를 응용하여 造字한 고유한자’를 조사하여 유형별로 정리하고, 실제 문헌에서 어떠한 음가와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그 용례를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국제 표준 문자코드세트(UCS)에 한국이 등록한 한자는 모두 20,287자이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해 새로 만들어진 고유한자는 약 500여 자이며, “假借의 원리를 응용하여 造字한 한자”는 현재 146자로 파악된다. 이를 용도별로 분류해보면, 1) ‘隱()’을 차용하여 ‘~ㄴ’을 표기한 것이 5자, 2) ‘乙’을 차용하여 ‘~ㄹ’을 표기한 것이 69자, 3) ‘音/味’를 차용하여 ‘~ㅁ’을 표기한 것이 6자, 4) ‘邑/巴’을 차용하여 ‘~ㅂ’을 표기한 것이 3자, 5) ‘叱’을 차용하여 ‘~ㅅ(ㄷ/ㅌ)/ ~ㄱ/ ~ㅈ’을 표기한 것이 60자, 6) ‘同/東/應’을 차용하여 ‘~ㅇ’을 표기한 것이 3자였다. 그리고 실제 문헌 자료의 용례를 확인하였는데, 물명, 인명, 지명, 이두 표기, 여진어 표기 등 다양한 언어 요소를 표기하는 데에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단순히 한자의 음만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 요소를 취한 것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물명, 인명, 지명 등에서 고유어의 음가에 맞추어 다양하게 두루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게다가 하나의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해 다수의 한자를 조자하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신상현,이완영 한국사회체육학회 2020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82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conomic impacts of ‘2019 Festival of Korean Sports for All’ by utilizing an industry-related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was made based on the table of industrial assoactiions issued by the Bank of Korea and the project budget of the host organization for the calculation of economic ripple effect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articipants’ spending.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industry association, the aevrage expenditure of participants in the Festival of Korean Sports was 156,457 won.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calculated based on the Bank of Korea’s industrial correlation table was 24,926,850,651 won .The value-added inducement effect was derived from 11,089,122,045 won. Finally,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151.9. Conclusion: The exact expected effect of the economic performance of the‘F estival of Korean Sports for All’is important to promote stable growth of the industry while maintaining market value.
신상현,정호원 한국체육정책학회 2021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usefulness of panel data in terms of supplementing the deficiencies of sports-related statistics that are currently being generated, and attempts to reveal the demands of the times in establishing sports industry panel data in grasping, researching, and establishing policies in the sports. In this study, the opinions of exper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cusing on preparations and methods for building panel data in the sport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t group in-depth interview survey, the priorities for establishing sports panel data were derived. First of all, in order to prepare panel data, the method of converting the existing survey to the panel survey form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 of the panel survey needed to establish a research institute for a new data environment. Third, It should be a scientific investigation that can accurately estimate the probability of initial extraction of the survey sample or the probability of sample dropout occurring between waves. Lastly,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anel survey period should be quarterly, half-yearly, one year or two years also depends on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survey. As already pointed ou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original data of the panel survey are disclosed to the outside, the method of publishing the original data and future research plan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combination in selecting the panel survey cycle. Panel data construction is a long-term and continuous business, and the required budget is not small, so it is believed that it will help to reduce trial and error that may occur when building panel data.
신상현,남윤신 한국체육정책학회 2021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balanced lifestyle and sports policy for each generation and region as sports welfa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ports for all sentiment index. To this end, a scale to measure the index was develop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expert interviews and the relative weight of the index was derived in an objective method using the AHP. First of all, the living sports experience index was selected by dividing into major categories such as participation in living sports, infrastructure environment for living sports, sports culture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living sports. Based on this, the indicators corresponding to each sub-class were selected and develop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assigning weights to three major categories excluding the actual state of participation in life sports among the developed indicators, infrastructure environment(.372), cultural environment(.344),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285) showed a relatively high weight in that order. In the case of overall sub-items, the relative weights were high in the order of facility system(.145), safety system(.122), program system(.119),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and leader system(.109).
신상현,박형국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가장 많이 참여하는 축구체제의 비교분석을 토대로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했다. 국내 축구 리그에 참가하는 관계자, 지도자, 유소년 선수들의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취지와 최전방현장의 운영현 황을 점검해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고 다른 연구와 차별화할 수 있는 발전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유소 년 축구 지원 사업 분석과 사업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정책 개선 방안을 수립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방향 공유 대책 마련과 문화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제정을 통해 I-리그의 정체성을 강화할 필요 가 있다. 둘째, 참가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경기력 향상을 위해 경기 파일럿 도입과 디비전시리즈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I-League 인식 개선과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리그 운영을 위해 비즈니스 시스템을 체계화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 was identified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ccer system in which children and teenagers participate the most. Based on various opinions of officials, leaders, and youth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domestic soccer league, the government also wanted to examine the purpose of the program and the operation status under the front line to improve the deficiencies and suggest alternatives for development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research. This study establishe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analysis of youth soccer support projects at home and abroad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dentity of the I-League through the preparation of direction sharing measures and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cultural programs. Second, the level of competition pilot introduction and division leagu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generate interest and improve performance of participants. Third, the business system should be systematized for the improvement of I-League awareness and efficient communication and league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