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분말성제제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 수종제산제중의 Ascorbic acid 의 안정성 관한 연구

        신상철,이민화,우종학 한국약제학회 1973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 No.1

        There are many reports on the stability of drugs in powders and tablets. The stabilities of ascorbic acid in the antacid preparations, such as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magnesium trisilicate, magnesium alumino silicate, and dried aluminum hydroxide gel under various humidities were examined. From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assumed that the concentration of ascorbic acid, the amount of water-vapor sorption, and the physical character of the antacid ingredients wer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degradation of ascorbic acid. The ascorbic acid, mixed with carbonates, such as calcium carbonate, was degradaded rapidly, while the preparation with dried aluminum hydroxide gel was slightly degraded after 10 days. A 2% ascorbic acid in the prepation was rapidly degraded than 10% ascorbic acid in the preparation.

      • 국내 차세대 인터넷 응용사업 추진현황

        신상철,Sin, Sang-Cheo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1 지식정보인프라 Vol.4 No.-

        정보통신부에서는 차세대 인터넷, 광통신, 디지털방송, 무선통신 등 6대 중점분야 및 원천기초 등 2대 기간분야를 전략적으로 차세대 핵심기술로 지정해 민관공동으로 개발, 수입대체 및 조기상용화를 꾀하고 있으며, 금년부터 2004년까지 5년간 정부출연금 1조 1500억 원 등 총 4조 16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 SCOPUSKCI등재

        하이트린 정(테라조신 2 mg)에 대한 테라신 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신상철,김수진,오인준,이용복,임동구,박행순,문재동 한국약제학회 1999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29 No.1

        Bioequivalence of two terazosin tablets, the Hytrine^(TM) (II-Yang Pharmaceutical Co., Ltd.) and the Terasin^(TM) (Daewon Pharmaceutical Co., Ltd.),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KFDA. Sixteen normal male volunteers (21∼30 years ol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one tablet containing 2 ㎎ of terazosin was orally administered, blood was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 of terazosin in serum was determined with a HPLC method using spectrofluorometric detector.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AUC_t, C_(max) and T_(max)) were calculated and ANOVA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AUC_t, C_(max) and T_(max) between two tablets were 6.02%, 3.44% and -3.67%, respectively. The powers (1-β) for AUC_t, C_(max) and T_(max) were 98.05%, 98.34% and 29.81%, respectively. Detectable differences (Δ) and confidence intervals were all less than ±20% except T_(max), AUC_t and C_(max) met the criteria of KFDA for bioequivalence, indicating that Terasin^(TM) tablet is bioequivalent to Hytrine^(TM) tablet.

      • KCI등재

        잎갈나무통나방의 생활사

        신상철,채정석,최광식,박일권,김철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0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2 No.2

        일본잎갈나무의 식엽해충인 잎갈나무통나방(Coleophora obducia Meyrlck)의 생활사 및 천적의 종류를 충북지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기주식물로는 일본잎갈나무만이 확인되었다. 잎갈나무통나방은 연 1회 발생하였으며 성충의 우화시기는 5월 중순부터 하순까지였고 최성기는 5월 14일경이었다. 성충 1마리당 포란수는 약 44.5개였으며 1엽당 1개씩의 알을 낳았다. 난기간은 약 2주 였고 유충은 잎 속에다 고치를 틀고 월동하였고 4월 말부터 용화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천적으로 포식성곤충인 거미류, 개미류 등과 기생성곤충인 기생파리류와 기생벌류가 조사되었다. The life history and natural enemies of Coleophora obducia Meyrick which is a defoliating pest of Larix leptolepis were studied mainly in Chungchongbuk Province. Larix leptoiepis was the only host plant of this pest. Coleophora obducia had one generation per you and the adults emerged from mid May to late May with a peak emergence around May 14th. The mean number of eggs in an ovary was 44.5 and most females oviposited one egg on each needle. The duration of the egg stage was about two weeks. Larvae passed the winter in a pouch made by spinning the needles. Pupation began in the late April, and the pupal period was two weeks on average. The natural enemies observed were parasitoids and predators.

      • KCI등재

        프랑스 문화재 보호정책의 역사와 세계유산 등재 제도의 의미

        신상철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4

        The discussion about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began in earnest in French society in the period of the Revolution of 1789. The start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policy in France originated as a result of political confrontation and ideological controversy. In the extreme political conflicts surrounding the end of the absolutist regime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republican state, the French society of intellectuals began to contemplate institutional measures for the stable preservation and continued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 Attempts to preserve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and art works from the revolutionary madness of deliberately destroying the traces of history, and to preserve them in their original forms, were the major drivers of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policies in French society. In French society,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the state in cultural policy as a whole, the state is always in charge of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y. In the modern western society, France was the first country to establish national cultural property system, and public concern wa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cultural property policies. Therefore, defining the reason and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categories of cultural assets to be protected by the state and carrying out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policies in the public sector have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French society since the Revolution. In France, cultural properties are based on values such as a significant monumentality(signification mémoriele), a historical value(valeur historique), antiqueness(ancienneté), an aesthetic value(valeur esthétique), an identity(identité), and collective memories(mémoires collectives) and the categories expanded sequentially. The historical remains and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system, which has been under discussion and supplementation for about two centuries since the outbreak of the French Revolution, is well acknowledged in modern French society. The French government, which has accumulated the social consensus on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implementation of legislative systems,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Patrimoine mondial) system in cooperation with UNESCO. With a total of 42 UNESCO-listed World Heritage sites by 2016, France is the country with the largest number of world heritage sites along with Germany, followed by Italy in Europe.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nch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policy and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e will be throughly looked into, and the significance of the UNESCO World Heritage system and the ways to utilize it in France will be examined. 프랑스 사회에서 문화재 개념에 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점은 1789년 대혁명 시기였다. 프랑스에서 문화재 보호 정책의 출발은 정치적 대립과 사상적 논쟁의 결과로서 비롯되었다. 절대왕정 체제의 종식과 새로운 공화주의 국가의 수립을 둘러싼 극심한 정치적 갈등 속에서 프랑스 지식 사회는 문화유산의 안정적인 보존과 지속적인 전승을 위한 제도적 방안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지난 역사의 흔적을 의도적으로 파괴하려는 혁명의 광기로부터 역사문화재와 예술품을 보호하고 원형 상태로 보존하려는 시도들은 프랑스 사회에서 문화재 보호정책의 수립을 가져온 주요한 동인이었다. 문화정책 전반에 있어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는 프랑스 사회에서 문화재 보존과 관리 업무의 주체는 항상 국가였다. 근대 서구 사회에서 국가 차원의 문화재 관련 제도를 제일 먼저 수립한 나라는 프랑스였으며 문화재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공공성이었다. 따라서 국가의 보호 대상이 되는 문화재의 범주를 설정하고 공공 부문에서 문화재 보존 정책을 수행해야 하는 이유와 당위성을 규정하는 것은 대혁명 시기 이후 프랑스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프랑스에서 문화재는 기념비성, 역사적 의미, 오래됨, 미적 가치, 정체성 그리고 공동의 기억 등의 가치들을 근거로 설정되었으며 그 범주는 순차적으로 확장되었다. 프랑스 대혁명이 발발한 이후 약 2세기에 걸쳐 수많은 논의와 보완을 걸쳐 시행되어온 역사유적 및 문화재 보호 제도는 프랑스 사회에서 그 당위성을 인정받고 있다. 문화재 보호에 관한 사회적 합의와 법제화된 제도의 시행 경험을 축적한 프랑스 정부는 유네스코와의 협력을 통해 세계유산 제도가 시행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016년 기준 총 42개의 유네스코 등재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는 유럽에서 이탈리아의 뒤를 이어 독일과 함께 가장 많은 수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프랑스 문화재 보호정책의 특징과 역사적 변천 과정을 조망하고 현재 프랑스 사회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제도가 지닌 의미와 활용 방식에 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