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limate Change Policy in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신상범(辛相範, SHIN Sang-bum)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9 신아세아 Vol.16 No.4

        이 논문은 중국의 기후변화 정책을 전반적으로 개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의심할 여지없이 중국은 미국과 더불어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협상에서 가장 중요한 나라이다. 중국은 이미 세계에서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나라가 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극히 최근까지 구체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있지 않았다. 최근 중국정부는 구체적인 감축 목표를 발표했지만 아직 곧 다가오게 될 코펜하겐 당사국 회의 및 그 이후의 국제협상에서 중국이 정확히 어떠한 태도를 보일 것이고 또 얼마나 일관되게 자신의 태도를 유지할 것인가는 미지수로 남아있다. 다만 분명한 것은 중국의 태도가 기후변화협상 및 전체 지구환경 정치에서도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이러한 중요성에 비해 중국의 기후변화 정책의 국내적 측면을 다루는 기존 연구는 거의 없거나 대개 2006년 이전의 문헌들이다. 그러나 2006년 이후 국내 제도적 측면에서 중국의 기후변화정책에는 중요한 변화들이 있었기 때문에 본 논문은 그러한 변화들을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중국의 기후변화 정책의 국내적 측면을 개관한다. 본 논문은 먼저 중국 기후변화 정책의 역사적 형성 및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정책의 기본 원칙, 이념적 배경 그리고 목표 등을 살펴본다. 또한 기후변화 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조직 구성 및 정책결정과정을 분석하며 여기에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기후변화정책에서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는 청정개발체제(CDM)을 간략히 살펴본 후 본 논문의 함의에 대해 간략히 토론한다. There is no doubt that China, along with the United Stat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untries in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negotiations. China is already the number one country in terms of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world, but it has not specified any reduction target for greenhouse gas emission until very recently. Even though the Chinese government announced the specific target for emission reduction very recently, we are still not sure how China's position will be and how it will change at the Copenhagen and subsequent climate change negotiations. However, one thing for sure is that China's position in the future international negotiations will keep having a great impact on the negotiation itself and on the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as a whole.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China, previous works on China's climate change policy, especially the domestic side, are extremely rare, especially published after 2006.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fill this gap by providing an overall picture of China's climate change policy. It first introduces basic ideologies, principles, and goals of China's climate change policy, and provides a historical overview on China's climate change policy evolution over time. Then, it analyze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decision making process of China's climate change policy, and discusses China's uniqueness in this institutional arrangement. Finally, it briefly overviews China practice of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and some implications are followed.

      • KCI우수등재

        ESG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증거

        신상이,박종일 한국경영학회 2022 經營學硏究 Vol.51 No.4

        In this study, we examine whether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 high degree of ESG(and/or factors) and EM (i.e., AEM, REM) with regard to ① direct effect, ② moderating effect, and ③ combined effect. For this, we base the sample of our study consisted of 6,250 firm-year observations using the evaluation information of KCGS those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from 2011 to 2020. The empirical result of our study is as follow. First, we find that ESG ratings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REM but not on AEM in respect of direct effect. Second, we do not find that high-grade ESG negatively moderates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loss avoidance as well as earnings decrease avoidance (i.e., a strong incentive for managers to report earnings) and EM in respect of moderating effect. Third, we find that firms with higher level of foreign ownership negatively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ESG and EM in respect of combined effec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ESG and external corporate governance. In sum, Our findings provide a contribu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ility engagement and EM practices, extending the prior research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and combined effect. Thus, we fill the prior research gap.

      • KCI등재

        GAAP ETR의 유연화가 기업신용등급 및 타인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신상이,박종일 한국세무학회 2020 세무와 회계저널 Vol.21 No.5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ether credit rating agencies and debtholders take into account smoothing of GAAP effective tax rates (ETRs) (hereafter, GSMO), indicates higher or lower financial reporting quality. Demere et al. (2019) develop a new measure of GSMO as the inverse difference in volatilities of GAAP ETRs and cash ETRs over prior three years (i.e., t-2,t), suggest that smoothing of GAAP ETRs through tax accruals is associated with higher overall financial reporting quality. Thus, they insist that managers are likely to use tax accruals to smooth out volatilities in GAAP ETRs to communicate a long-term sustainable tax rate, and also they are restrained from using accruals for earnings manipulation. Therefore, Demere et al. (2019) assure that such a GAAP ETR smoothing serves as a credible indicator for overall reporting quality. But prior research do not investigate on the market response. An open question in the market participants is whether GAAP ETR smoothing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higher or lower financial reporting quality. To fill this void, our study investigates whether credit rating agencies and debtholders perceive GSMO to be a financial reporting risk increasing or decreasing factor. We also distinguish between GSMO driven by economic fundamentals (innate GSMO) versus management choices (discretionary GSMO). For this purpose, our sample covers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based on the test variable from 2003 to 2018 (the dependent variable from 2004 to 2019), then final sample includes 10,415 firm-year observation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controlling for several variables as well as pre-tax earnings smoothing, tax avoidance, and opaque financial reports that affect credit ratings, we find that a significantly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credit rating and GSMO, as well as we find that both innate and discretionary factor has the potential to influence credit rat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redit rating agencies perceive GSMO to be associated with managerial opportunism, which leads them to downgrade credit ratings accordingly. Second, we also find no relation between the cost of debt and GSMO, only find that a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cost of debt and innate GSMO. Third, we include interactive terms between GSMO and agency cost (e.g., the largest shareholder’s holdings), between GSMO and monitoring effects (e.g., foreign shareholder’s ownership) in the model, we find that the interactive terms are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ed with credit ratings, respectively. Contrastively, we find that the interactive terms on the agency cost are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ed with the cost of debt, while we find that the interactive terms on the monitoring effect are significantly negative associated with the cost of debt. Thus, we observe a systematic differences between credit rating agencies and debtholders perceive GSMO to be associated with th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Lastly, when we divided the full sample into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we find that the first results obtain similar between the two subsamples. Whereas the second results vary in different market type. For example, GSMO is negative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ost of debt in the KOSPI (KOSDAQ) sample. In sum,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financial reporting and tax literatures by being the first to examine the economic consequence of GAAP ETR smoothing in the context of credit ratings and the cost of debt. Collectively, our results show that GAAP ETR smoothing perceive higher or lower financial reporting qu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arket participants. In that respect, our findings is inconsistent with Demere et al. (2019)’s argument and evidence. Therefore, our results contribute to related literature by providing additional and new evidence. 본 연구는 기업이 GAAP ETR의 유연화(이하 유효세율의 유연화)를 하면 신용평가기관과 채권투자자 측면에서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알아보았다. Demere et al.(2019)은 과거 3년간으로 측정되는 유효세율의 유연화 측정치를 처음 제안한 후 이 측정치가 높은 재무보고의 질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과 실증적 증거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앞서의 연구는 유효세율의 유연화에 대한 시장반응을 살펴보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효세율의 유연화 정보에 대해 기업신용등급 및 타인자본비용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시차모형을 이용하여 관심변수를 기준으로 2003년부터 2018년까지의 유가증권과 코스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일정 변수뿐 아니라 세전이익의 유연화, 그리고 조세회피까지 통제한 후에도 유효세율의 유연화는 기업신용등급과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본질적 또는 재량적 유효세율의 유연화로 분해하여 살펴본 경우에도 일관된 증거를 보였다. 둘째, 유효세율의 유연화와 타인자본비용 간에는 일관된 유의한 관계를 관찰하기는 어려웠다. 다만, 스프레드로 측정된 타인자본비용과 본질적 유효세율의 유연화 간에는 기대와 달리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시장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하면 앞서의 결과들은 신용평가기관의 경우 별다른 차별적 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채권투자자의 경우 KOSPI와 KOSDAQ에 따라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요약하면, 본 연구는 유효세율의 유연화 정보에 대해 신용평가기관과 채권투자자 측면에서 처음 시장반응을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또한 본 연구는 Demere et al.(2019)의 주장과 다른 실증적 결과 역시 관찰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을 제공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가상화폐(비트코인 등)의 과세가능성 연구

        신상이,전홍민 한국세무학회 2018 세무와 회계저널 Vol.19 No.5

        Since the price of virtual money has risen more than ten times in recent years, virtual currency transactions are attracting tremendous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axation of virtual money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and prior studies of the global perspective related to the taxation of virtual money in addition to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virtual money, and examined the taxation range of virtual currency in Korea. Virtual currency trading in Korea is very demanding to make investments for the purpose of short-term high profit margins, which is very likely to have negative social effect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is speculative demand, it is necessary to preemptively levy a high tax rate on trading gains and reduce the potential speculative demand. Therefore, the Korean government is reviewing the taxation of virtual money from September 2017, which covers transaction tax, capital gains tax, value added tax, inheritance, and gift tax. In a country that recognizes virtual money as an asset, it is stipulated that taxation should be levied on the gains on sales related to virtual money.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policies are being made on virtual money, taxation on transfer income tax, transaction tax, inheritance, and gift tax. However, in the case of value added tax, there is no consistent conclusion regarding currency by country. Current many governments generally do not recognize virtual currency as real currency, and it is a general trend that they need to be taxed on the value they receive as assets, rather than as currency. In order to actually tax the virtual money, the government must first classify the legal status and definition of the virtual currency by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virtual currency, and the tax office plans the taxation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virtual currency. Further, since virtual money is being traded through distribution networks around the world, the taxation system should also keep pace with the system of each country. 가상화폐는 아직 명확한 정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지만 지폐나 동전 같은 실물이 없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상공간에서 전자적 형태로 사용되는 디지털 화폐나 전자화폐를 일컫는다. 최근 들어가상화폐의 가격이 10배 이상 상승하여 가상화폐 거래는 주목을 받고 있다. 정부에서도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2017년 9월부터 가상화폐에 대한 과세를 검토하고 있으며, 이는 거래세, 양도소득세, 부가가치세, 상속․증여세를 포괄하고 있다. 가상화폐에 대해서 자산으로 인식하는 국가에서는 가상화폐와 관련된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과세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미국, 영국, 독일 등 선진국에서도 가상화폐 거래에 대해 양도소득세, 거래세, 상속․증여세를 과세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만들어 가고 있다. 하지만 부가가치세의 경우, 가상화폐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여부에 대해서 국가별로, 일관된 결론은 없는 상황이다. 부가가치세 부과여부의 핵심은 가상화폐를 ‘자산’으로 인식할지아니면 ‘통화’로 인식할지 여부이다. 한편, 한국에서의 가상화폐 거래는 단기간의 높은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투자를 수행하려는 수요가 매우 강하고, 이는 사회적으로도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확률이 매우 높다. 이러한 투기적 수요를 어느 정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매매차익에 대해서 높은 세율을 부과하여,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투기적 수요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가상화폐에 대한 과세문제를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먼저 가상화폐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정의가 필요하며, 세계 각국의 동향에 맞게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주요국의 과세현안을 검토해야 할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가상화폐를 대상으로 가상화폐에대한 한국에서의 과세가능성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상화폐의 정의 및 특징과 더불어, 가상화폐의 과세와 관련된 세계의 동향 및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우리나라의 가상화폐의 과세방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KCI등재

        노동조합의 영향력이 조세회피성향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

        신상이,전홍민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와 회계저널 Vol.17 No.2

        This paper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labor union's influence and corporate tax avoidance focusing on Korean empirical evidence. Prior management literatures suggest that existence of labor union is mixed result with the firm value. So accounting and finance papers try to examine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labor union’s influence. Also accounting literatures suggest that labor union have a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rporate earnings management by playing a monitoring role in a good corporate governance role(Choi and Bae 2011). However there is limited research has been done regarding the labor union's influence and the corporate tax avoidance in Korean empirical evidence. Using Korean 1,900 firm-year observations between 2000 to 2008, labor union’s influenc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corporate tax avoidance. This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existence of labor union can make manager do use corporate tax avoidance which could reduce real cash outflows and the firm’s unionization rate i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rporate tax avoidance. This result implies that labor union is interested in after-tax cash flows because labor union just seeks to maximize wages for their short term perspective. Also thi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labor union do not play an active monitoring role regarding manager’s opportunistic tax avoidance for their long term perspective. This study makes several contribution toward accounting and tax literatures. First, U.S. studies shows that labor union has monitoring role toward corporate tax avoidance, however Korean labor union boost up corporate tax avoidance which can enable wage maximization. So regarding this topic, U.S. and Korea has different empirical result then this can show us labor union’s behavior toward corporate tax avoidance can be differ from each other. So this empirical result may shed some light on accounting and tax literatures. 본 연구는 노동조합의 영향력이 조세회피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기업을 대상으로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의 유가증권 또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노동조합에 대한 자료를 계산할 수 있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 1,900개의 기업/연도 관측치를 이용하여 노동조합의영향력이 경영자의 조세회피성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주제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노동조합 영향력의 대용치인 노동조합유무, 노동조합가입률, 노동조합 상근직원률과 경영자의 조세회피성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표본을 이용한 분석에서 노동조합 유무와 조세회피성향 사이에는 유의적인 정(+)의 관계가 존재하여 평균적으로 노동조합이 있는 기업은 무노조기업에 비해 조세회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동조합가입률과 조세회피성향 사이에 유의적인 정(+)의 관계가 존재하여, 노동조합가입률이 높을수록 경영자의 조세회피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동조합 상근직원률과 조세회피성향 사이에 유의적인 정(+)의 관계가 존재하여, 노동조합의 상근직원률이 높을수록 경영자의 조세회피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 의하면, 노동조합의 영향력이 증가할수록 경영자의 조세회피성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의 노동조합은 임금극대화 등 조합의 이익극대화를 추구하고 기업에 대한 감시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노동조합을 대상으로 조세회피성향을 분석한 선행연구 결과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선행연구들이 대부분 노동조합이 경영자의 대리인 비용을 감소시키는 감시역할을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낸 것과는 달리 한국의 노동조합이 조세회피성향과 관련해서는 감시역할을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를 보임으로써 이는 노동조합의 행위에 대한 추가적인 시사점을 줄수 있다고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Foreign Ownership and Labor Investment Efficiency

        신상이,전홍민,Jennifer Brodman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학연구 Vol.47 No.3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foreign ownership on firms’ labor investment efficiency,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firms’ long-term operating performance. Further, this paper examines whether foreign ownership alleviates over or under investment in labor, focusing on the Korean stock market. Using Korean listed 22,924 firm/year observations from 1997 to 2019, we estimate abnormal net hiring by using the abnormal portion of net hiring for each firm/year observations.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foreign ownership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absolute value of abnormal net hiring, which indicates that foreign ownership enhances firms’ labor investment efficiency. Additional analyses suggest that foreign ownership alleviates over and underinvestment in labor in the Korean stock market. Further analyses suggest that foreign ownership’s monitoring effect toward labor investment efficiency enhances sustainability operating performance. Robustness tests, including firm-fixed effects and two-stage least squares estimation, supports our main results. There is an ongoing debate on whether foreign ownership’ active monitoring role in developing countries. Foreign ownership conducts an active monitoring role in developing countries regarding labor investment.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foreign ownership may be an one of determinant of enhancing firms’ labor investment efficiency in Korean stock marekt.

      • KCI등재

        재벌 주 고객 여부가 자기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신상이,전홍민 한국세무학회 2018 세무와 회계저널 Vol.19 No.3

        This paper examines whether chaebol major customers affects on implied cost of equity capital focusing on Korean stock market. In Korea, chaebol is the business conglomerate which might be great influence on Korean economy. Prior papers suggest that customer concentration risk is the fundamental risk which affect on cost of equity capital or future stock price volatility. So Dhaliwal et al.(2016) shows that customer concentration risk might higher implied cost of equity capital.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have been done regarding whether chaebol major customer increase or decrease firm’ cost of equity capital. So this paper needs to examine whether chaebol major customer which affect on cost of equity capital. Using 2009 to 2015. 1.651 firm-year observations, chaebol major custome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st of equity capital. This result suggest that chaebol major customer might be the possible risk factor for the firm which is closely related to firm risk. Accounting literature trie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the cost of equity capital which is important indicator for the firm’ internal rate of return. So accounting transparency, disclosure quality might affect on implied cost of equity capital and chaebol major customer might be the one determinant of the firm’ cost of equity capital. So this paper may shed some light with this rising accounting issue. 본 연구는 재벌 주 고객 여부가 자기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납품업체가 주로 재벌기업의 경우 공급업체의 영업위험이 증가하는 지에 대해서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경우 재벌기업은 산업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재벌기업의 전횡은사회적인 문제로 언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Dhaliwal et al.(2016)과 Albuquerque et al.(2014)은 고객집중도는 기업의 특수한 위험에 해당하며 고객집중도가 높은 기업은 자기자본비용 및 미래주가수익률의 변동성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금융감독원전자공시시스템에서 기업의 주요고객에 대한 자료를 직접 수집하였으며, 선행연구에 따라 네 가지자기자본비용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상장기업 중금융업을 제외하고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1,651개 기업/연도 관측치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재벌 주 고객 여부는 자기자본비용과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특히 공급업체가 비재벌기업인 경우 재벌 주 고객 여부는 자기자본비용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네 가지 자기자본비용에 대해 각각 분석하거나 추가적인 통제변수를 고려하여분석하였어도 일관된 실증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재벌 주 고객 여부가 투자자의 입장에서 기업의 영업환경과 관련한 위험으로 판단되어 투자자는 해당기업에 대해서 영업위험을 증가시키는 위험프리미엄을 적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재벌 주 고객 여부가 해당기업의 자기자본비용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하여 실증분석한 국내 최초의 연구로써 기업의 이익조정, 공시품질 등 정보위험의 측면이 자기자본비용의 결정요인이라는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재벌 주 고객 여부가 기업의 영업환경과 관련한 위험이라는 측면에서 자기자본비용의 한 결정요인임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Infectious Disease Control in Northeast Asia : A Comparative Case Study of Disease Surveillance Systems and Regional Cooperation in Japan, China and Korea

        신상범(Sang bum Shin)(辛相範)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2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national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systems of the three major Northeast Asian countries - China, Japan, and South Korea - in comparative perspective and investigate their regional cooperative efforts. Since national disease surveillance systems of individual countries are the foundation of global disease control and health governance,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national disease surveillance systems and asses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system in comparative perspective.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the topic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 on global health in International Relations, however, literature on national disease surveillance systems in IR is rare. This article first discusses the importance of global health issues in the IR context and provides a framework for analysis incorporating four dimensions - local,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 into a single framework of global health governance. It then provides basic profiles of national disease surveillance systems such as an historical overview, number of staff, laws and regulation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examine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focusing on (1) how independent the national pivotal organization is from relevant government organizations; (2) how autonomous and capable local agencies are to cope with diseases. It finds that, overall, disease surveillance systems in the three countries are well developed in the sense that central control towers are effective in collect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making prompt decisions, and implementing them, while local agencies are effective in detecting, reporting, and controlling infection cases swiftly. However, Japan’s system is slightly more decentralized than the other two, and at the same time, the level of independence in Japan’s national key organization is slightly lower than the other two. This article also finds that various bilateral and multilateral attempts for regional cooperation have been made, especially led by China and Japan. 이 논문은 한국, 중국, 일본의 국가 감염병 감시체제를 비교 분석하고 그들이 주도하는 역내 협력의 현황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별 국가의 감염병 감시 체제는 글로벌 질병 관리와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의 기초가 된다는 측면에서 한 지역의 주요 국가들의 감염병 감시 체제의 특징을 비교하고 그 장단점을 파악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정치학에서 이 주제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극히 드물다. 특히 최근 국제정치학자들이 글로벌 보건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이 분야에서 많은 연구 성과들을 생산해내고 있는 것에 비해, 이러한 연구들의 기초가 되는 국가 단위의 감염병 관리시스템의 특징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국제정치학에서 보건 이슈가 왜 중요하며 어떻게 연구되어 왔는지를 간략히 소개하고 이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분석 틀을 제시한다. 이어서 한중일 3국의 감염병 감시체제의 기본 현황을 및 제도적 특징을 제시하고 분석한다. 비교의 준거는 (1) 중앙의 핵심 조직이 정부 내의 다른 부서로부터 얼마나 독립적인가 즉 독자적으로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가 (2) 지방의 감염병관리 조직들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자율성을 가지고 있는가이다. 비교 분석 결과 3국 모두 기본적으로 효과적인 전염병관리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SARS나 MERS 등 각자가 경험했던 통제 실패의 경험이 조직이 발전하는 큰 계기가 되었다. 중앙의 대표 조직은 어느 정도의 독립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방 조직들도 초동 대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일정 정도 갖추고 있다. 단 일본의 경우 다른 두 국가들보다 더 지방 분권화되어 있고 중앙의 독립성 수준이 비교적 낮다. 또한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역내에서 다양한 양자, 다자 협력이 시도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