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회에서 시왕의 기능과 의미

        신미옥 ( Sin Mi-ok ),강인숙 ( Gang In-suk ) 남도민속학회 2021 남도민속연구 Vol.43 No.-

        재회는 상·중·하 삼단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중단의 시왕은 재회의 목적에 부합하는 중심적 역할을 한다. 이는 선악을 심판하여 응보(應報)를 결정하는 기능을 통해 산자든 망자든 십불선업(十不善業)을 참회하여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 정토세계(淨土世界)를 구현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재회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시왕의 기능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시왕 의례의 형성과정을 통해 재회의 설행연원을 살폈다. 시왕 의례는 16세기에 간행된 『제반문』에서 독립된 재차로 확인된다. 이 재차를 중단의식으로 하는 예수재, 영산재, 각배재, 사십구재의 설행연원은 _제반문_ 간행 이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설행 연원에 대해서 고려시대부터라고 주장하는 것은 문헌이나 의례문 등의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 재회에서 시왕의 공통된 기능은 삼세의 선악을 심판하는 심판자의 역할이다. 시왕의 역할에 의한 기능과 의미에 따라 재회의 명칭이 정해진다. 시왕이 산자를 위할 때는 예수재라 하고, 망자를 위할 때는 영산재, 각배재, 사십구재가 된다. 여기서 각 재회별로 시왕이 갖는 기능과 의미의 차이점도 찾아볼 수 있다. 예수재에서는 산자가 전생 빚을 갚기 위해 헌납하는 명부전(冥府錢)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면서 수복(修福)의 실천을 증명하는 의미가 있다. 시왕은 망자를 위한 재회에서 십악(十惡)을 참회하는 심판자 기능을 전제로, 재회에 따른 기능과 의미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다. 사십구재는 망자가 중음계(中陰界)에 머무는 동안 해당 대왕이 해당 죄업을 심판하여 참회하는 선별적 기능이 있고, 각배재는 중음을 벗어난 후백일재, 소상재, 대상재와 같이 특정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선별적 기능과 천도재와 같이 소규모의 유정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기능이 있으며, 영산재와 같은 불특정 다수의 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기능이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망자는 사후의 안위를, 시주는 개인과 가족의 안녕을 얻는 의미를 확인하였다. Jaehoe is mainly composed of three parts, the top, medium, and bottom. Among them, Siwang on the medium plays central roles conforming to the purpose of Jaehoe. This is because with the function to judge good or evil and realize retributive justice, either the living or the dead repent of Sipbulseoneup (十不善業) and actualize the Land of Perfect Bliss (淨土世界) being freed from the pain of samsa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Siwang having central roles in Jaehoe. First of all, based on the process that the ritual of Siwang was formed, this author investigated the origin of performing Jaehoe. According to 『Jebanmun』 published in the 16th century, the ritual of Siwang is found to be an independent Jaecha. We can see that the origin of performing Yesujae, Yeongsanjae, Gakbaejae, and Sasipgujae having this Jaecha as the ritual of Jungdan came after the publication of 『Jebanmun』. About the origin of performance, Goryeo is generally supported, but it is impossible to find any ground of literatures or ritual documents for that. In Jaehoe, Siwang commonly has roles as a judge to decide Samse’s good or evil. The name of Jaehoe is decided by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Siwang’s roles. When Siwang is for the living, it is referred to as Yesujae, and when it is done for the dead, it falls into Yeongsanjae, Gakbaejae, or Sasipgujae. Here, we can find the difference in functions and meanings that Siwang is equipped with by the types of Jaehoe. In Yesujae, it functions as the acceptance of Myeongbujeon (冥府錢) that the living offer to pay the debt of the past life and has a meaning of proving the practice of Subok (修福). Making a premise that Siwang has functions as a judge in Jaehoe for the dead about the repentance of Sipak (十惡), we can also find the difference in functions and meanings according to the types of Jaehoe. Sasipgujae has a selective function to allow the dead staying in Jungeumgye (中陰界) to be judged by the proper Daewang about the sin and repent. Gakbaejae has its selective function to console the dead being freed from Jungeum specifically like Baekiljae, Sosangjae, or Daesangjae, a universal function to target a small group of Yujeong as in Cheondojae, and also a universal function to comfort many and unspecified dead people like Yeongsanjae. With these functions, we can see that the dead gain peace after death while Siju obtains personal and family’s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