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cus of Causality Comparison of Male Adults Who Do and Do Not Stutter

        Moonja Shin(신문자),Kyungjae Lee(이경재),Jin-ah Sung(성진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인과소는 말더듬성인의 내적 특성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나타낼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말더듬성인과 일반성인의 인과소를 직접적으로 비교한 국내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 상황 관련 글자료와 일반적인 상황 관련 글자료를 분석하여 산출한 인과소가 말더듬 유무 집단과 상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말더듬성인 남성 15명과 일반성인 남성 15명의 글자료를 대상으로 오리진 점수, 폰 점수, 오리진-폰 점수 비율이 말더듬 유무와 상황(의사소통 상황과 일반적인 상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행동통제소가 말더듬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인과소와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결과: 말더듬성인의 의사소통 관련 폰 점수가 일반성인의 의사소통 관련 폰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다른 인과소 지표들은 말더듬 유무와 상황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효과크기는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다. 행동통제소 역시 말더듬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인과소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높은 폰 성향이 말더듬는 사람의 주요한 특성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더불어 말더듬는 사람의 의사소통 관련 특성은 오랜 말더듬경험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라는 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말더듬성인의 평가에서는 인과소와 같은 내적 특성을 평가하여야 하며 주체성의 향상을 치료목표에 포함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locus of causality (LOC) is suggested to be a reliable and valid indicator of intrinsic features of adults who stutter (AWS).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directly comparing the LOC of Korean AWS and adults who do not stutter (AWN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LOC between AWS and AWNS, and communication-related and general LOC. Methods: The current study analyzed writing samples of 15 AWS and 15 AWNS, and determined whether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the Origin scores, Pawn scores, and Origin-Pawn score ratios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participants (AWS vs. AWNS) and two writing conditions (communication-related vs. general topic wri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OC scores and locus of control of behavior (LCB) scores were determined. Results: Communication-related Pawn scores of AW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W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LOC indicators between AWS and AWNS.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CB scores between AWS and AWNS, a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OC and locus of control score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communication-related Pawn scores would be distinctive features of AWS. In addition communication-related attitudes would be the result of natural responses toward the long history of stutter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rinsic features such as LOC should be an important target area for stuttering assessment and enhanced agency should be an important treatment goal.

      • KCI등재

        아동 말더듬 시작과 관련된 요인의 특성

        신문자(Moonja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시작과 관련된 요인들을 조사하고 이들 특성들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185명의 2~6세 말더듬 아동(남자 148명, 여자 37명, 남녀 비율 4:1)이었으며, 각 아동의 말더듬 시작 연령, 시작시 비유창성 유형 그리고 말더듬 시작 방식(점진적 vs. 갑자기 발병)으로 나누어 질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조사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말더듬 시작 연령은 2~3세가 가장 많았으며(69.2%), 갑자기 말더듬 시작 방식을 보인 경우가 67%였으며 말더듬 시작시 비유창성 유형으로는 R2 (비정상적 반복)가 가장 많았고 R2+DP (막힘 혹은 연장)을 보인 경우가 다음으로 많았다. 말더듬 시작 연령과 비유창성 유형 간 그리고 성별과 시작방식 사이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2~3세에 말더듬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며 주로 3세 이전에 가장 말더듬발생 위험이 높다는 이전 연구들을 지지하였다. 말더듬 시작 방식으로 갑자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한 경우가 많았고, 시작 시 R2 또는 R2+DP이 시작 시기에도 출현한다는 것 등은 말더듬은 점차적으로 진행된다는 전통적인 주장과 다른 말더듬의 다양성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시작 방식에 따른 남녀 간의 차이는 성별에 따른 다른 특성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stuttering onse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factors in Korean children who stutter. Methods: Participants were 185 stuttering children between the age of 2 and 6 years (boys 148, girls 37; male to female ratio 4:1). Information regarding participant age, types of disfluencies at the onset of stuttering and manner of stuttering onset (gradual or sudden)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ith the primary caregiver. Results: Stuttering onset was the most frequent from two to three years of age (69.2%), and stuttering occurred suddenly for 67% of stuttering children. The most frequent type of disfluency was R2 (within-word repetitions) and then R2+DP (disrhythmic phonation: prolongations and/or blocks).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age at onset and type of disfluency and between sex and manner of stuttering onset. Discussion & Conclusions: Current findings support the idea that stuttering generally begins before the age of three. Also,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ttering onset is not uniform.

      • KCI등재

        한국 아동용 토큰검사(Korean Token Test for Children)의 표준화 연구

        신문자(Moonja Shin),김재옥(Jaeock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듣기이해력과 작업기억력을 평가하는 검사도구인 한국 아동용 토큰검사(Korean Token Test for Children, 이하 KTC)의 국내 표준화 작업으로, 정상성검증과 이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방법: 만 3;0세부터 12;11세 아동 총 1,018 명을대상으로 15개의 연령집단으로 나눈 후, KTC를 실시하여 연령별 기술통계 자료에 대한 정상성을 검증하였으며, 문항내적일관성, 반분검사신뢰도 및 각 세부단원과 그 단원 내 문항 간의상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총점수와 세부단원 간의 상관계수 및 연령집단별 총점수와 세부단원 간의 상관계수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분석하였고, 구인타당도 검증을위하여 연령집단별 세부단원과 총점수 및 성별이나 지역에 따른 총점수와 표준점수의 차이를비교하였다. 결과: KTC의 문항내적일관성과 반분검사신뢰도는 각 .957과 .962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각 세부단원과 그 단원 내 문항 간의 상관계수는 .527~.759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내용타당도 분석을 위한 총점수와 세부단원 간의 상관계수는 모든 단원에서.602 이상의 높은 상관점수를 보였고, 연령집단별 총점수와 세부단원 간의 상관관계는 연령집단에 따라 다양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3세 집단은 단원 1이, 6세 이상 집단에서는 단원4가 총점수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었다. 구인타당도 분석을 통해 연령이 증가할수록 세부단원및 총점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성별이나 지역에 따른 총점수와 표준점수의 차이는 크지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KTC가 아동의 듣기이해력과 작업기억력을 검사하고자 하는 내용을 타당성 있고 신뢰롭게 측정하는 도구임을 밝혔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minister the Korean Token Test for Children (KTC) which was the Korean version of Token Test for Children-Second Edition (TTFC-2)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Methods: The KTC was administrated to 1,018 normal Korean children aged from 3;0 to 12;11, divided into 15 age group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split-half reliability were investigated. Correlation among total and subtest scores was examined for the content validity. Total and subtest scores of age groups and gender were compared for the construct validity.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on performance for each age level and developmental trends across age level were reported. Bot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split-half reli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among total and subtest scores were observed. Different age groups demonstrated different total and subtest scores with the trend of increased both scores by aging.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t total and subtest scores observed by gender. Discussion &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KTC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measuring auditory comprehension as well as working memory skills in Korean children.

      • 정상성인의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선별검사 제작을 위한 예비연구

        신문자(Moonja Shin),김재옥(Jaeock Kim),이수복(Soobok Lee),이소연(Soyeon Lee) 한국음성학회 2008 음성과학 Vol.15 No.4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troduce Korean Oro-motor Mechanism Screening Examination (KOMSE) and to provide the standardized scores taken from 120 normal adults aged 18~59. KOMSE was composed of 13 items of structure, 17 items of function, 3 items of voice, and 14 items of regularity and accuracy of articulation during diadochokinesis. Additionally, maximum phonation time and diadochokinetic rates were measured. Total score of KOMSE is ranged from 0 to 200.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50~59 age group than in the 20~29 age group,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x. MPT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age groups. The rate of DDK was also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age groups. However, some reducing trend in the rate of DDK was observed as age increased. KOMSE would be very helpful for SLPs to screen the abnormality of oro-motor mechanism.

      • KCI등재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 치료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분석

        신문자(Moonja Shin),최소영(SoYoung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2

        배경 및 목적: 말더듬 치료에서 언어치료사가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여러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많은 언어치료사들이 다른 말ㆍ언어장애군의 치료에 비해 유창성장애 치료에 더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 치료경험을 분석하여 중심현상과 관련요인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근거 이론 접근방법에 따라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 치료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다섯명의 언어치료사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치료와 관련된 경험들은 “말더듬 치료에 대한 막막함”을 중심축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을 생성시키는 인과적 조건은 “열악한 배움 환경”, “부정적 인식”이었다. 중심현상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인 요소인 맥락적 조건으로는 “부모로 인한 어려움”, “아동의 여건”이 작용하였다. 중심현상의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상황에는 “전문성 개발하기”, “성공적 치료경험”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성공적 치료의 모색”, “치료의 포기”, “치료의 회피”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치료사의 말더듬아동 치료경험의 유형은 “현실도전형”, “현상유지형”, “현실회피형”으로 분류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언어치료사들이 말더듬아동 치료에 막막함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치료의 막막함에 대한 대처 방안은 치료 현장에서뿐 아니라 학회 및 협회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말더듬에 대한 사회적 편견은 국가와 사회적 측면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importance ascribed by clinicians to stuttering therapies. A substantial number of clinicians have reported more difficulty with fluency disorder therapies than with therapies for other speech disorder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speech pathologists with therapies for stuttering children and, in doing so, to investigate the central phenomenon of those experiences and its causal and contextual factors. Methods: In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speech pathologists with therapies for children who stutter, the present study utilized the ground-theory approach, which is a qualitative methodology. Data were obtained by means of intensive interviews with five speech pathologists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stuttering therapies. Results: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experiences of speech pathologists with children who stutter was found to be a sense of “helplessness with respect to stuttering therapies.” The causal conditions of the central phenomenon were found to be a “poor learning environment” an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therapy.” This phenomenon was found to be reinforced by the contextual conditions of “difficulties with parents” and “conditions of the stuttering children.” “Development of professional therapeutic skills” and “experience with successful therapy” were found to be the remedial factor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henomenon of a sense of helplessness with stuttering therapies. Among the remedial strategies reported for the phenomenon of clinician helplessness were “search for successful therapies,” “abandonment of therapy,” and “avoidance of therapy.” The experiences of speech pathologists with therapies for children were classified as “challenging type,” “status quo type,” and “avoiding type.” Discussion &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volved in the sense of helplessness reported by speech pathologists with respect to therapies for children who stut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ny program intended to remedy speech pathologists’ sense of helplessness with stuttering therapies should be managed not only by the clinicians themselves, but also by an academy or professional association. The study further concluded that societal prejudice against stuttering needs to be dealt with at the societal and governmental levels.

      • KCI등재

        오리진-폰 분석도구로 측정한 말더듬성인의 개별적인 다면적 변화

        신문자(Moonja Shin),이경재(Kyungjae Lee),성진아(Jin-ah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말더듬은 다면적 장애이기에 치료의 진전 지표 역시 다면적이어야 한다. 또한 말더듬 치료는 다양한 내적, 외적 특성의 변화를 목표로 하므로 치료 중 진전은 장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별적인 치료를 받은 말더듬성인이 보이는 다양한 내적, 외적 특성의 변화를 장기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말더듬성인이 보이는 변화를 개별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총 8명의 말더듬성인이 보이는 변화를 6개월 동안 살펴보았다. 참여자는 주 1회의 개별치료를 받았으며, 특히 치료 초기 3개월 동안 나타나는 변화를 2주에 한 번씩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와 일반적인 주제 관련 인과소를 측정하여 살펴보았다. 더불어 치료 초기, 치료 3 개월, 치료 6개월에 인과소 평가와 더불어 파라다이스-유창성 평가-II의 필수과제와 의사소통태도검사, 행동통제소검사, 주관적 말더듬 평가검사를 실시하여 장기간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말더듬성인은 의사소통태도검사와 일반적인 주제 관련 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른 내적, 외적 평가도구에서는 전체적으로 바람직한 변화 양상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더불어 각 개인의 변화 양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개별 치료라는 일반적인 형태의 치료를 받는 더듬성인은 치료 중 변화가 매우 개별적이고도 완만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한다. 이에 말더듬성 인의 치료에서는 각 개인에게 적절한 보다 장기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Objectives: Indicators of the change processes of adults who stutter (AWS) should be multidimensional as stuttering is a multi-dynamic disorder. In addition change processes need to be long-term, as various overt and covert features need to be targeted in stuttering treatment. The primary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determine long-term change processes in both the overt and covert features of AWS who received individualized stuttering treatment. Moreover individualized change patterns of the participants were also investigated. Methods: The change processes of 8 AWS were determined in the current study. The participants received individualized stuttering treatment once a week. The locus of causality was determined bi-weekly during the first 3 months of treatment. In addition to the locus of causality measure, Paradise-Fluency Assessment-II obligatory tasks and communication attitude test, the Locus of Control of Behavior, and the Subjective Screening of Stuttering-Revised were conducted at the beginning, 3 months and 6 months of treatment.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adise-Fluency AssessmentII communication attitude test and general Pawn scores. However most of the other overt and covert measures showed desirable, but non-significant change patterns.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showed individualized change pattern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 processes of AWS are individualized and slow-tempoed in individualized stuttering treatment. Accordingly, long-term and individualized change plans are required in the treatment of AWS.

      • KCI등재

        유창성장애 연구의 최근 동향

        신문자(Moonja Shin),전희정(HeeCheong Chon),이수복(Soo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최근 발표된 유창성장애 치료관련 연구 자료들을 살핌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약 10년간의 국내외의 연구자료 중 말더듬 치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실험연구와 말더듬 중재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방법: 2000년부터2009년 사이의 논문 중 유창성장애 관련 권위 있는 학술지인 󰡔언어청각장애연구󰡕, 󰡔언어치료연구󰡕,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JSLHR), 그리고 Journalof Fluency Disorders (JFD)에 등재된 논문들을 고찰하였다. 결과: 연구유형별 분석결과,중재(치료효과)연구 29편(37.66 %), 중재관련 비교연구 24편(31.17 %), 그리고 중재관련 특성연구 24편(31.17 %)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분석결과, 청소년 및 성인이 50편(64.94 %)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학령전기 아동이 14편(18.18 %), 기타 7편(9.09 %), 학령기 아동이6편(7.79 %)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분석결과, 중재연구와 특성․비교연구 모두 그룹 간또는 그룹 내 비교의 실험절차를 따랐으며, 중재연구는 종단비교를, 특성․비교연구의 경우횡단비교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 분석결과, 중재연구의 경우 행동적 측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비교연구의 경우 발화형태를 비교하거나 변화를 관찰 한 연구(행동적 측면)가 대부분이었다. 종속변인 분석결과, 중재와 특성․비교연구 모두, 발화특성이 대부분이었으며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수반행동, 심리․성격적 측면, 기타 순으로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 아동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는 외국에서도 그 역사가 길지 않으나최근 10년간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을 위한 치료프로그램이 개발 혹은 보완되고 그 프로그램의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예: 리드콤 프로그램, 페일린 상호작용치료 프로그램). 국내연구는 국외연구와 비교해 볼 때 중재연구보다는 특성․비교연구가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에서도 말더듬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그 효과가 검증될 필요가 있으며, 외국의 치료방법의 경우 국내적용의 타당성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중재 논문들이 증거중심치료(evidence-based treatment: EBT)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rends and advancements in treatments for stuttering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stuttering. Methods: Experimental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stutter (PWS) related to treatment or treatment affects; (2)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9 (within a 10 year span); and (3) publication in one of four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JCD), Kore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KJSLHD),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JSLHR), and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JF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separately analyzed. Results: A total of 77 articles that met all criteria were chosen. The results show that 29 articles (37.66%)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stuttering treatment, 24 articles (31.17%)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PWS with people who do not stutter, and 24 articles (31.17%)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PWS. In terms of participants, 50 articles (64.94%) included participants who were adolescents and/or adults, 14 articles (18.18%) included preschool children, and 6 articles (7.79%) included school-aged children. Articles based on the effects of treatment focused on behavioral components using treatment methods and longitudinally compared the changes between groups and/or within groups. The majority of characteristic articles also focused on behavioral components and cross-sectionall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and/or within groups. The analyses of dependent variables demonstrated that articles on the effects of treatment and characteristics mostly measured or compared speech patterns, such as types and frequencies of disfluencies, naturalness of speech, and speaking rate. Perceptions of stuttering treatment, accessory behaviors, and emotional/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also studied. Discussion & Conclusion: Overall trends show that there are more stud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ttering than the effects of stuttering treatment. Even though the history of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s of stutter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is relatively short, as compared to that of adults, recently, several treat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or updated for early childhood stuttering, and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efforts to validate the treatment efficacy. For the adolescent and adults who stutter, several behavioral and/or cognitive treatment methods and devices are used to diminish stuttering.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vidence-based treatment are provided as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말더듬 가계력 연구

        신문자(Moonja Shin),전희정(HeeCheong Chon),이지숙(JiSu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3

        배경 및 목적: 가계력은 말더듬 시작과 관련된 주요한 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의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가계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227명의 2∼6세 말더듬 아동(남자 180명, 여자 47명)이었으며, 각 아동을 대상으로 말더듬 가계력 여부를 조사하고 가계력의 유형(부계와 모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말더듬 가계력이 있는 아동은 112명(49.3%)으로 나타났다. 말더듬 가계력이 있는 아동 중 일차친족(가족: first-degree relatives)의 말더듬을 보고한 아동들(남자 48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일차친족의 성별 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자 말더듬 아동의 경우 남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47.9%, 여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50.0%로 나타났다. 여자 말더듬 아동의 경우, 남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는 57.1%, 여자 일차친족이 말더듬이 있는 경우가 42.9%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이번 결과는 말더듬 아동 가족에게서 높은 비율의 말더듬 가계력을 보인다는 선행연구결과들을 지지하고 있다. 성별에 따른 차이, 그리고 말더듬 가계력이 보고된 아동의 부계 또는 모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은 말더듬 집단의 이질성을 시사한다. 또한 말더듬의 시작과 진전은 말더듬이 진행되기 쉬운 유전적 소인뿐 아니라 환경적인 결합 또는 상호작용이 고려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in young Korean children who stutter (CWS). Methods: Participants were 227 CWS, 2 to 6 years of age (180 boys and 47 girls). Information regarding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was collected. Results: In this study, 49.3% of CWS (112 CWS) reported a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Of children whose first-degree relative(s) had stuttering problems (48 boys and 14 girls), the percentage of male relatives who stuttered in the families of stuttering boys was 47.9%,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relatives who stuttered was 50.0%. The percentage of male relatives who stuttered in the families of stuttering girls was 57.1%, and the percentage of female relatives who stuttered was 42.9%. Discussion & Conclusions: The high incidence of stuttering in the family of CWS supports previous research, which has indicated that the incidence of stuttering is higher in stuttering populations. Differences in sex or type of family history (i.e., paternal, maternal), however, were not significant. This may indicate that stuttering is not a homogeneous disorder.

      • KCI등재

        경북지역 공공하수처리시설 유입수 및 방류수의 유기물 특성

        이기창,박영진,강귀화,정미옥,류동현,정상섭,이원태 대한환경공학회 202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3 No.5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s in influents and effluents of sewage treatment plants (STPs) in Gyeongbuk province, Korea, for better performance of treatment processes in the plants. Methods : We selected six STPs with each capacity over 30,000 m3/day in Gyeongbuk province, and analyzed water quality data in influents and effluents of the plants from 2013 to 2020. Also, the removal efficiencies of pollutants were assessed with the operational data. In 2020, characteristics and origins of dissolved organic matters (DOM) in influents and effluent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fluorescence excitation emission matrix (FEEM)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 : The average BOD5/CODMn ratios of influents and effluents from the STPs were 1.60 and 0.27, respectively. High variability in BOD5/CODMn ratios was observed for both influents and effluents. The CODMn/TOC ratios of the influents and effluents were the same with an average of 1.6. Although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was different for each STP, the organic matter removal efficiency was similar, and the TOC removal efficiency was 86.5~91.7%. The representative spectra of DOM identified through FEEM analysis was peak C (humic-acid like substance) region, and under the same carbon concentration (2 mg-C/L)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effluents was stronger than influents possibly due to the influence of soluble microbial products (SMP). It was found that DOM of both influent and effluent originated from microorganisms, and the difference in water quality of DO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The characteristics and fate of organic matters in influents and effluents of the six STPs were similar regardless of plant lo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efficiently control organic matters in the STPs. 목적: 본 연구는 경북지역 내 대표적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유입수 및 유출수 내 유기물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처리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경북지역의 공공하수처리시설 중 시설규모 30,000 m3/day 이상인 6곳을 선정하여 2013~2020년 동안의 운영자료를 활용하여 유입수 및 방류수의 수질특성과 공정효율을 분석하였다. 2020년 시료는 형광 excitation emission matrix (EEM)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유입수 및 방류수의 용존유기물질(Dissolved Organic Matter, DOM) 특성과 생성기원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및 토의: 분석대상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유입수와 방류수의 BOD5/CODMn 평균비는 각각 1.60과 0.27이었다. BOD5/CODMn 비는 유입수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처리가 된 방류수에서도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유입수와 방류수의 CODMn/TOC 비는 평균 1.6으로 동일하였다. 처리시설별로 생물학적공법이 상이하였지만 유기물 제거효율은유사하게 나타났으며, TOC의 경우 제거효율은 86.5~91.7%이었다. 형광 EEM 분석을 통해 확인된 DOM의 대표적EEM spectra는 peak C (humic-acid like substance) 영역이었고, 동일한 탄소농도(2 mg-C/L) 조건에서 방류수가 미생물의 대사활동으로 생성된 soluble microbial products (SMP)의 영향으로 형광강도가 더 강했다. 유입수와 방류수의 DOM은 모두 미생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고, DOM의 수질성상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조사대상 공공하수처리시설간 유입수 및 방류수에 대한 유기물질의 거동이 유사하고 다양한 유기물 성상지표가 비교적 균일한 값을 가져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수처리공정에서 유기물질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SCOPUS

        한국 유창성장애의 유전적 요인에 관한 연구

        신문자(Moonja Shin),이성은(Sung Eu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1

        본 연구는 유창성장애로 진단 받은 2세에서 45세까지의 남녀 229명을 대상으로 유창성장애 가계력을 조사하였다. 자료를 연령별로 나누어 대상자의 성별, 언어문제 유무, 유창성장애 시작연령과 가계력의 유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전체 대상자의 55.0 %가 유창성장애 가계력을 보였으며, (2) 말더듬는 여자의 경우 말더듬는 남자보다 가계력이 있는 비율이 더 높았고, (3) 언어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성인집단에서 가계력이 있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 그러나 언어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학령기와 성인집단에서 가계력이 없는 경우가 더 많았다. (4) 말더듬 시작연령은 가계력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빨라서, 가계력이 있는 경우는 70.2 %, 없는 경우는 60.0 %가 5세 이전에 말더듬기 시작하였다고 보고하였다. (5) 가계력이 있다고 보고한 126명의 자료를 하위분석한 결과 대상자 성별에 따라 유창성장애 가족의 성별, 부계·모계의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genetic inheritance of 229 stuttering males and females. Subject s, aged 2 to 45,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the preschool- age group, the school- age group, and adult 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in terms of sex, presence or absence of language difficulties, stuttering- onset ages, and presence or absence of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Fifty- five percent of subject s reported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Females who stuttered were found more likely than males stutterers to have stuttering relatives. Among the preschool- age and school- age groups, subjects without language difficulties were no more likely than adult subjects to have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Adult subject s without language difficulties, however, were more likely to have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Stuttering- onset ages were earlier for subject s with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than for subject s without it. Differences between sexes were found depending on whether the family history of stuttering was on the paternal side or on the maternal s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