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馬祖 門下의 다양한 禪風 고찰

        정운스님(신명희) 한국선학회 2020 한국선학 Vol.0 No.56

        중국 당나라 때, 홍주종의 개조(開祖) 마조(馬祖, 709~788)는 조사선(祖師禪)의 조사이다. 마조의 문하는 기록마다 다른데, 적어도 88명에서 몇 백여 명까지 기록되어 있다. 제자들이 많다보니, 다양한 부류의 제자들이 있다. 먼저 교를 버리고 선을 선택한 사교입선(捨敎入禪) 수행자들이 있다. 두 번째 마조 문하에 여러 제자들이 있어서인지, 출가전이나 출가 이후에도 독특한 행적을 남긴 제자들이 많았다. 세 번째 부류는 특이한 집단인데, 재가자·비구니 여성 수행자, 그리고 독특한 선풍을 전개한 이들이다. 네 번째 부류는 마조에게서 심인(心印)을 얻은 뒤 은둔한 부류이다. 다섯 번째 부류는 중앙 제도권과 가까이 지내는 선사들이 있었는데, 이들로부터 마조선이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여섯 번째 부류는 한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선풍을 전개한 이들인데, 이들에 의해 마조선이 크게 발전되었다. 이 여섯 번째 부류에서 파생되어 신라 말기~고려 초기~고려 중기에 이르기까지 마조의 3세·4세·5세 등 다양한 제자들이 있다. 마조에 의해 당나라 때의 선사상이 발전하였고, 2대 제자와 3세에 해당하는 제자들에 의해 마조선은 중국 전역은 물론이요, 우리나라에까지 선풍이 전개되었다. 마조 문하에서 발전된 조사선이 근자에까지 전개되고 있음을 상기해 현 우리나라 선을 비추어보는 동기로 삼는다. During the era of the Tang Dynasty in China, the Buddhist monk Majo (709-788) of the Zen sect was the originator of the religious sect of the Zen thought that had been achieved by him, who was the founder of the school. The disciples of Majo are different in every record. At least 88 persons and up to over several hundred persons have been recorded. As there had been a lot of the disciples, there are the disciples of the diverse kinds. Firstly, there are the people who entered the Zen performance who threw away the religion and selected the Zen. The second kind is the people who had independently unfolded the Zen style in one region. Thanks to these people, the Majo Zen had been developed greatly. Regarding the third kind, by spending the time close to the central, institutional sphere, the Majo Zen had received the recognition from these people. The fourth kind is the kind who had lived in seclusion after obtaining the shimin from Majo. The fifth kind is an unusual group. They are the jaegaja and bhikkhuni (Buddhist nun) woman performers and the people who had unfolded the unique Zen style. Regarding the sixth type, there are the diverse disciples, including the third generation, the fourth generation, the fifth generation, etc. of Majo from the last period of Shilla to the beginning of Goryeo and to the last period of Goryeo. Thanks to Majo, the Zen thought at the time of the Tang Dynasty had developed greatly. And thanks to the disciples of the later generations and the disciples who pertain to the third generation, Majo Zen had been spread out widely not only in the whole region of China, of course, but, also,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

        대승경전에 나타난 무주열반(無住涅槃) 사상 - 『유마경』을 중심으로 -

        정운스님 (신명희) 한국선학회 2022 한국선학 Vol.- No.61

        대승불교도들은 석가모니부처님이 수많은 과거생에 보살로서 자비를 실천함[因行]으로써 부처가 되었음[果德]을 본 따서 자신들도 ‘보살’이라고 지칭했다. 그러면서 대승불교 보살들은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실천 방법을 모색했다. 보살행 가운데서도 이타의 대비행(大悲行)인데, 이 대비에서 발로(發露)된 최상의 보살행이 무주열반(無住涅槃) 사상이다. 이전 부파불교 교도들의 최고 이상적인 경지는 육도윤회(六道輪迴)에서 벗어나 적정(寂定) 경지에 머물러 있는 열반세계이다. 그런데 대승불교 보살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열반에 들지 않고[無住涅槃], 사바세계로 되돌아와 중생들과 함께 하기 위해 차안(此岸)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즉 보살은 중생을 보살피기 위해 원력[願力, 誓願]을 세우고 사바세계에 머물며 중생을 제도한다. 『유마경』이 시작되는 연원은 유마거사의 발병(發病) 때문이다. 유마거사가 병이 난 원인은 ‘중생이 병들어 있어 보살도 병이 났음’을 주제로 하는 대비심이 나타나 있다. 유마[大乘]와 성문[小乘]들과의 대화로 경전 내용이 전개되는데, 대승불교를 상징하는 유마의 설법은 곧 보살로서의 대비심을 설파한다. 곧 중생에 대한 이분법적 차별심이 없는 대비심으로 무집착·무주심(無住心)의 공관적(空觀的) 바라밀행을 기반으로 한다. 이 무주열반 사상은 『유마경』 이외에도 대승불교 사상에 대비천제(大悲闡提)·동사섭(同事攝)·십우도의 열 번째 그림[入纏垂手] 등에도 나타나 있다. By modeling after the fact that the Sakyamuni Buddha became the Buddha by putting into practice the mercy as the Bodhisattva in the many past lives, the Mahayana Buddhists called themselves, too, as the “Bodhisattvas”. Meanwhile, the great Buddhist Bodhisattvas had sought after a method for putting into practice the Zaririta. Among the Bodhisattva’s journeys, too, it is an altruistic, great flight. The best Bodhisattva’s journey that had been manifested in this daebi is the thought of the Non-mainstream Nirvana. The top, ideal state of the previous Bupa Buddhists is the Nirvana world that has been staying in the proper state by coming out of the ryukdoryunhwe. But, regarding the Mahayana Buddhism Bodhisattva, in order to save the world, without entering into Nirvana, by returning to this world, in order to be together with the people, he has been remaining in this world. Or, in other words, in order to take care of the people, Bodhisattva establishes a Seowon and saves the world while remaining in the world of the people. This is because the origin where the Vimalakirti Sutra begins is the occurrence of an illness of Yumageosa. Regarding the cause of the illness of Yumageosa, the Daebishim, which has ‘Because the people are ill, the Bodhisattva, too, is ill’ as the topic, becomes unfolded. The scripture gets unfolded with a conversation between Yuma and Seongmun. The Buddhist sermon of Yuma, which symbolizes the Mahayana Buddhism, preaches the Daebishim as a Bodhisattva, indeed. Indeed, with the Daebishim that does not have a dichotomic sense of discrimination regarding the people, it is based on the gonggwan baramilhaeng of the non-obsession and the sense of being ownerless. This thought of the Nirvana without the maintenance is the same thought as daebicheonje and dongsaseop (one between dongsaseop and saseolbeop) other than the Vimalakirti Sutra. And, after completing the performance in the ten oxherding picture, too, of the Songdae Gwakamseonsa, the salvation of the people is described as the last tenth picture [Ipjeonsusu].

      • KCI등재

        선사상적 관점에서 본 법정의 ‘속 뜰’ 세계

        정운스님(신명희) 한국선학회 2021 한국선학 Vol.- No.60

        본 논문은 비구 법정(法頂, 1932∼2010)의 삶과 수행의 면모에 나타난 선사상을 주제로 한다. 법정은 1955년 22세에 효봉을 은사로 출가했다. 비구계를 받은 뒤 제방 선방에서 안거를 성만했고, 경전 번역에 힘썼으며, 1970년대 민주화 운동에도 참여했다. 법정은 30대 후반에 『무소유』라는 책을 통해 불교계보다 세상에 알려졌다. 진정한 수도자의 모습으로 수많은 이들의 영혼을 일깨워준 ‘비구’로서 70년대 이후부터 법정이 열반하기 전까지 한국사회의 멘토였다. 한편 법정은 글과 법문으로 부처님의 진리를 세상에 보편화시킨 현대판 ‘21세기 원효’라고 볼 수 있다. 진리는 중생의 삶 속에 있다. 법정의 삶과 수행이 곧 선(禪)의 길이다. 법정의 글과 법문을 통해 선사상적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는 점은 세 분야이다. 첫째는 선종사에서 법정이 모델로 삼았던 선사들로서 담백하고 가난한 수도자들, 시를 읊으며 은둔자적한 선사들, 무정물을 통해 깨달음을 추구한 선사들이다. 둘째는 법정은 초년 시절에 ‘본래면목(本來面目)’ 화두를 들었고, 이후로는 ‘시심마(是什麼:나는 누구인가)’로서 평생을 이 화두를 안고 살았다. 이렇게 선적(禪的) 삶을 지향은 법정은 현재 시점을 일상에서 강조했으며, 그의 일상적 삶이 그대로 선의 전개였다. 셋째는 법정은 무소유적 삶을 일관하며, 무정물에 공감하며 그의 ‘속 뜰’ 세계를 채웠다. This thesis shall have the Zen thought appearing in the aspects of the life and the practice of the Buddhist priest Beopjeong (1932~2010) as the subject. Beopjeong left the home with the Buddhist monk Hyobong as the teacher at the age of 22 in the year 1955. After receiving the bigugye, at the good defense embankment, the angeo was seongman. And he had exerted the strength on the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And, in the 1970’s, he had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oo. In the latter part of his 30’s, through a book called ‘Nonpossession’, Boepjeong had publicized to the world rather than the Buddhist system. As ‘a Buddhist priest’ who awakened the spirits of a lot of people with the appearance of a true monk, from after the 1970’s until the monk entered the Nirvana, he had been a mentor of the Korean society. Meanwhile, it can be considered that Beopjeong is the modern version ‘21st century Wonhyo’ who had universalized the truths of the Buddha in the world through the writings and the Buddhist writings. Truth lies within the lives of the people. The life and the practice of Beopjeong are, indeed, the road of Zen. Through the writings and the Buddhist writings of Beopjeong, from the aspect of the Zen thought, three fields had been approached. Regarding the first, the origin of the Buddhist monks who had been made into the models by Beopjeong at the Seonjongsa Temple had been climbed up. They are the light and poor ascetics, the Buddhist monks who had been reclusive while reciting the poems, and the Buddhist monks who had pursued the realization through the inanimates. The second is the Zen thought of Beopjeong. During the young days, Beopjeong had heard about the topic of conversation of ‘the original appearance’. And, afterwards, the topic of conversation had been the Sisimma. Meanwhile, Beopjeong had emphasized the present time point that had been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Zen in the everyday life. And, his everyday life is the unfolding of Zen just the way it is. Regarding the third, from the non-possession thought of Beopjeong, in relation to the sympathetic awareness of the inanimates, etc., the world of his Inner Courtyard had been looked at.

      • KCI등재

        『유마경』에 나타난 무주심(無住心) 사상

        신명희(정운)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7 No.-

        The Vimalakīrti Sūtra is a scripture that was composed around the 1st century B.C.E. At the point when the idea of prajña was understood the Vimalakīrti Sūtra was established and practical aspects of emptiness and wisdom were developed. Since the Vimalakīrti Sūtra reached China, the scripture was recognized as a scripture of the Zen tradition. Furthermore, Yumageosa was recognized as a Zen practitioner who helped to popularize the text. This was in part due to the concept of non-abiding mind (無住心), which was put forth by numerous Buddhist monks who expressed this state of realizati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he Diamond Sūtra also developed the idea of prajña and although it was composed earlier than the Vimalakīrti Sūtra both scriptures contain similar ideas about non-abiding mind, no-mind, etc. In the Diamond Sūtra, the phrase that “one should generate a mind that is not fixed on anything” (應無所住而生其心) and the unintended Buddhist alms (無住相布施) are emphasized. In other words, the state of non-abiding that is free of obsession references the non-abiding mind. Furthermore, the non-abiding mind references no-mind. Non-abiding mind is explain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Vimalakīrti Sūtra. It refers to an indiscrete mind that is not obsessed and that does not distinguish (無分別心). It is an innocent mind that seeks but is not obsessed with saving (無求心), a mind that does not receive and has no concept of obtaining (無所得心). It is a mind of non-duality, which is of absolute equality, beyond words, and without causing any distinction between right and wrong (不二心). 본 논문은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에 나타난 무심사상을 주제로 한다. 『유마경』은 기원전 1세기 무렵, 결집된 반야부 경전이다. 『유마경』은 반야 사상이 완성되어가는 시점에 결집된 경전으로서 공ㆍ반야사상의 실천적인 측면이 전개되었다. 이 경전은 대승을 표방하는 유마거사와 성문승을 표방하는 비구들의 대화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면서 『유마경』에서는 유마거사의 병을 방편으로 (대승 보살로서) 중생에게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에 대해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이 점은 보살이 중생을 제도했으되 (자신이 제도했다는 것에) 집착하지 않는 무주심(無住心)이 드러나 있다. 이 경전이 중국으로 유입된 이래, 『유마경』은 선경(禪經)으로서, 유마거사는 선 수행자로서 인식되어 수많은 이들에게 애독되었다. 『유마경』에는 선사들의 깨달음의 경지를 표현하는 무주심(無住心) 사상이 여러 각도로 언급되어 있어서다. 『금강경』은 『유마경』과 같은 반야부계 경전으로 『유마경』보다 일찍 결집되었다. 두 경전은 무주심ㆍ무심 사상 등에서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다. 『금강경』에서 응무소주(應無所住) 이생기심(而生其心)과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를 강조한다. 즉 집착하지 않는 무주상(無住相)은 곧 무주심(無住心)을 말하는 것이요, 무주심은 곧 무심이다. 『유마경』은 무심 사상을 다양한 각도로 설하고 있다. 집착하거나 분별심을 내지 않는 무분별심(無分別心), 구하되 구함에 집착하지 않는 무구심(無求心), 얻었다는 것조차 집착하지 않는 무소득심(無所得心), 시비분별을 일으키지 않고 언어조차 여읜 절대평등한 경지인 불이심(不二心) 등이다.

      • KCI등재

        나말여초의 潙仰宗 수용 및 전개

        신명희(정운) 한국선학회 2016 한국선학 Vol.43 No.-

        중국 선종의 5가(五家) 7종(七宗) 가운데 최초로 형성된 선종이 위앙종이다. 스승 위산과 제자 앙산의 앞 글자만 따서 위앙종이라고 한다. 위앙종의 선사상은 조사선 사상을 그대로 드러낸 시절인연을 자각하고 일상생활에 철저한 평상무사한 여여불이 다. 또한 앙산이 탐원 응진으로 97개의 원상 법을 얻은 뒤에 위산 문하에 들어와 제자들을 제접할 때 원상(圓相)을 활용했다. 우리나라 나말여초에 위앙종의 선풍이 전개되었는데, 대통·순지·무염에 의해서이다. 위앙종을 최초로 공부한 성주산문 무염의 제자 대통은 법을 받아왔지만, 신라에서 전개하지 않았다. 오관산문 순지는 앙산에게서 법을 얻어 신라로 돌아와 견성성불의 단계와 원리를 17개의 원상으로 체계 화했다. 성주산문 무염은 앙산의 설을 근거로 무설토론을 전개했다. 중국에서는 북송대에 위앙종이 5대로 법맥이 끊겼는데, 근현대 선사인 허운에 의해 위앙종 선풍이 다시 전개되고, 법맥도 전승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고려 때 지겸이 『종문원상집』을 통해 일원상을 재편집했다. 위앙종의 선풍은 선종사에 발전되거나 전승되지 못했지만, 원상은 당대(唐代) 이후 제자들을 깨우치는 방편으로 활용되 기도 하고, 오도송으로 표현되었다. The Dhyana school in China was largely developed from the late Dang dynasty. That is, it can be said as the start of Patriarchal meditation, at this time various sects of Dhyana school were formed. In the Five Houses and Seven Schools (五家七宗) , the first formed Dhyana sect was the Wiang order of the Majo school. The name came from the first letters of Master Wisan and his disciple Angsan. The Seon of Wiang order is to realize the law of timely causality disclosing the thought of Patriarchal meditation and do one’s best for daily lives as Tathata Buddha. And also before Angsan was studying under the Wisan school, he gained the dharma with 97 perfect laws from Tamwon Eungjin. After then, the one perfect law was used as the teaching of how to do Hwadu for his disciples or the way of enlightenment. By Daetong, Sunji, Muyeom, the Seon wind of Wiang order was blown from the late Silla to the early Goryeo periods in Korea. Daetong, a disciple of Muyeom studying in the Seongjusanmun, was transmitted for the dharma though, he did not develop it in the Silla. Sunji in the Ogwansanmun attained the dharma of Angsan and came back to the Silla. He systemized the levels and principles of Buddhahood with 17 perfect laws. Muyeom in the Seongjusanmun developed the discussion of Nothing to say based on the theory of Angsan. Of course, he mentioned the discussion of Nothing to say as the superiority theory of Patriarchal meditation in Korea though, the discussion of Nothing to say by Muyeom shows the part of coincidence of Seon and Doctrine. In China, the dharma lineage of Wiang order was ended as the Five generation. However the modern Seon master Heowoon developed the Seon wind of Wiang order, and also the dharma lineage has been transmitted. In Korea, Jigyeom in the Goryeo period re-edited the one perfect law in the collection of Jongmunwonsang. The Seon wind of Wiang order could not be developed or transmitted in the history of Dhyana school. However, after Dang dynasty (唐代) , the perfect law was expressed as the ultimate truth of round and perfect enlightenment and used as the expedient to disenchant disciples of Seon masters in East Asia and as sources for making enlightenment poems.

      • KCI등재

        『華嚴經』의 禪觀 小考

        정운(신명희)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2 No.-

        『화엄경』은 대승 초기경전으로 信解行證의 긴밀한 구조로 짜여 있으며, 이론과 수행의 실제를 여실 히 보여주는 경전이다. 곧 『화엄경』의 性起․唯心․法界緣起 思想은 인간이 깨달음을 이룰 수행체계와 가능성을 설하고 있다. 性起란 중생 누구나 깨달음의 본성을 갖추고 있는 본성인 體가 衆生心에 內在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는 수행에 의해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중생 그대로 본래 부처인 것이다. 이렇게 부처와 본질이 같 기 때문에 모든 중생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성불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다음 唯心思想이다. 이 세상 모든 만물이 마음을 따라 생겨나고, 사라진다. 그런데 이 마음은 고정불변 한 마음이 아니다. 청정한 본성이지만 緣起하는 성품을 가지고 있다. 곧 본래성에 있어서 空이며 서로 다른 것과 의지함으로서 生하여 연기하는 마음인 것이다. 法界緣起는 『화엄경』의 세계관이자, 깨달 음의 세계를 이론화하는 근거이다. 우주 법계의 모든 만물은 홀로 존재할 수 없으며, 각기 서로 因이 되고, 緣이 되어 因果 관계를 맺고 있는데, 바로 重重無盡한 緣起이다. 이 법계연기는 四種法界(理․事․ 理事無碍․事事無碍)로 전개된다. 이와 같이 화엄의 세계관은 무한한 시간과 공간이 펼쳐진 장엄함이 전개되는데, 이는 바로 깨달음의 세계를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이 正覺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화엄경』의 禪觀(性起․唯心․法界緣起 )은 禪師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곧 선사상의 근거가 된다. 『the Avatamska Sutra』, the Mahyna early buddhism, is a scripture showing clearly the reality of theory and practice with its close structure of Faith, Interpretation, Performance, and Evidence. In other words, the philosophies of Sunggi, Eusim, and Beopgyeyeongi in 『the Avatamska Sutra』 teach the possibility of people to achieve enlightenment and the practice system for it. Sunggi means that a body, which is the nature of enlightenment, is inherent in people's mind. This means that people are a buddha as they are, not that people become a buddha through practice. People are the same as buddha essentially and, therefore, each person has the possibility to attain buddhahood. Next philosophy is Eusim. Everything in the world appears and disappears following its heart. And this hear is not cast in stone. It is a pure nature but has the character of Paticcasamuppāda. That means it was an ‘emptiness’ originally, but it comes to exist by depending on other thing each other and keeps going continuously. ‘Beopgyeyeongi’ is the worldview of 『the Avatamska Sutra』 and the foundation of theorizing the world of enlightenment. All things in the universe cannot exist alone, but they become a cause and a connection for each other. And this causality is the Paticcasamuppāda. overlapped one upon another. This Beopgyeyeongi unfolds with the thought of four kinds of world. The abhisambodhi Like this, the worldview of Avatamska spreads as a grandeur with limitless time and space and this grandeur means the very world of enlightenment. The philosophy of Zen (Sunggi, Eusim, and Beopgyeyeongi) in 『the Avatamska Sutra』based on the worldview of abhisambodhi(enlightenment) has affected Zen monks and became the foundation of Zen thoughts.

      • KCI등재

        『維摩經』의 禪觀 및 수행체계 연구

        정운(신명희)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維摩經』은 초기 대승불교 경전으로, 반야부경전류에 속한다. 이 경전은 부처님이 법을 설한 형식이 아니라, 維摩라는 거사가 설정되어 空이라는 실천사상을 바탕에 두고 있다. 『유마경』은 이론적으로는 원시불교의 無常·無我·無相·自性淸淨·菩提心(大悲心)·般若사상을 내포하고 있으며, 실천적으로는 大乘的인 空 사상의 전개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곧 『유마경』은 佛敎學과 禪學을 두루 겸비하고 있으며 經의 큰 물줄기는 空의 실천적 전개방식인데 그 전개구성은 不二사상이다. 이 不二사상에 입각해 결국 世間·出世間, 眞理·方便, 淨·穢, 色·空, 迷·悟 등이 不二이며 煩惱卽菩提로 도출된다. 『유마경』이 중국으로 유입된 이후 敎宗보다 禪宗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유마경』은 禪經으로 유마거사는 禪者로 불리었다. 『유마경』에는 공의 실천적 차원에서 禪思想 및 禪觀이 드러나 있다. 즉 禪宗의 사상이라 할 수 있는 唯心淨土, 煩惱卽 菩提, 莫着言說, 不二思想이다. 이러한 사상들을 禪宗에서 적극 수용하여 일상의 장소에서 일상적인 行 하나하나가 바로 부처의 行이므로, 行住坐臥·語黙動靜하는 일상적인 禪修行이나 좌선만을 고집하지 않는 수행으로 발전되었다. The Vimalakirti Sutra is a sutra of early Mahayana Buddhism, and it is one of the sutras containing the idea of prajna. This sutra was not authored or preached by the Buddha, but lay Buddhist Vimalakirti formed it. It is based on practicing the idea of Emptiness (sunyata in Sanskrit). The Vimalakirti Sutra, in theory, contains the ideas of primitive Buddhism such as impermanence, no self, no form, the pure-clear heart-mind of self-nature, the thought of enlightenment, and the thought of prajna (profound wisdom), while, in practice, it consists of the way of developing the idea of the Emptiness of Mahayana Buddhism. In other words, the Vimalakirti Sutra combines doctrine and Zen at the same time. The main stream of the sutra is the way of developing the idea of Emptiness, and the developing form is the idea of non-duality. Being based on the idea of non-duality, the mundane and supramundane, truth and skillful means, purity and defilement, form and emptiness,ignorance and enlightenment, and so on, are not two things. That means defilements are another name for enlightenment. After the Vimalakirti Sutra was introduced in China, it came to have a deeper relationship with Zen schools than doctrinal schools, and this sutra became considered a sutra dealing with Zen, and Vimalakirti as a Zen Master. By accepting these ideas positively, Zen schools developed them into daily Zen practicing actions, saying each action is the very action of the Buddha. In other words, daily actions like walking, standing, lying, or sitting down, and talking, being silent, moving, or being calm can be actions practicing Zen, so they did not insist on only sitting meditation.

      • KCI등재

        『楞伽經』의 禪觀 小考

        신명희(정운)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4 No.-

        『楞伽經』은 부처님의 성스러운 가르침을 간직한 『楞伽阿跋多羅』라고 불리운다. 이 경이 성립될 당시에 대승불교가 직면하고 있던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을 광범위하게 취급하고 있다. 또한 대승의 교 리를 체계적으로 설한 것이 아니라 각 품이 별개의 독립된 성격의 내용을 담고 있는 독특한 형식을 취 하고 있다. 이 경전의 주요 특징은 如來藏과 阿賴耶識을 동시에 언급하고 있는 점에서 독특하다. 3自性과 8識 등 唯識의 기본개념은 물론, 二無我의 空사상 및 如來藏緣起說, 迷悟의 본질인 5法(名․相․分別․正智․眞如) 등 갖가지 교리들이 설해져 있다. 이렇게 여러 교설이 망라되어 있어서 뚜렷한 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 은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능가경』에 흐르는 禪觀思想은 一心이며, 이 一心을 기반으로 不 說一字, 自覺聖智, 指月, 宗通說通, 4種禪 등이 설해져 있다. 『능가경』은 4․7․10권 본 등이 있으나 선종과 관련된 것은 求那跋陀羅가 번역한 4권본 『楞伽阿跋多 羅寶經』(443년)이다. 달마가 혜가에게 4권본 『능가경』을 주면서 수행의 현리를 삼도록 한 이래, 초기 선종 선사들의 소의경전이었다. Lankavatara Sutra is called Lankavatara Postscript which keeps divine teaching of Buddha. It widely covers various issues that Mahayana Buddhism was challenging in the period that this scripture was established. Moreover, it has a unique form that contains individual feature of each part, not systemically explaining doctrine of Mahayana. Specialty of this scripture is that it refers both Tathagatagarbha and Alaya at the same time. It explains not only basic concepts of consciousness such as three characteristics of self and eight senses but also five laws (title, phase, division, separation, wisdom and Tathata), essence of emptiness in two selflessness, Tathagatagarbha Origin, confusion and realization. Because it includes various doctrines, it seems like it does not have any distinct system. However, Zen thoughts over Lankavatara Sutra are one mind and it explains Bulseolilja, Consciously Cengage, Jiwol, Jongtongseoltong and four types Zen based on this one mind. There are fourth, seventh and tenth edition of Lankavatara Sutra and among them, Neungaabaldarabogyeong (year 443), the fourth edition translated by Gunabhadra which is related to Zen types. Since Dharma gave four Lankavatara Sutra to Hyega and asked him to take it as an esoteric principle of practice, it became Souigyeongjeon of Buddhist priests of Zen in the early period.

      • KCI등재후보

        大行 語錄에 나타난 無心思想

        신명희(정운)(Sin, Myung-Hee(jungun)) 대행선연구원 2019 한마음연구 Vol.2 No.-

        선적인 측면에서 본래 깨달아져 있다는 사상을 본각·본래성불이라고 하는데, 이는 본체적인 측면이다. 본체적인 측면에 작용적인 측면인 무심이 흐르고 있다. 『금강경』의 보리심이나 청정심이 본체적인 측면이라면 무주상無住相·무주심無住心·무심無心은 작용적인 측면이다. 또 『유마경』에 묘사된 해탈·열반·보리가 본체적인 측면이라면, 분별심[所住心]이 없는 무구無求·무소득심無所得心·불이不二 등은 작용적인 측면이다. 『법화경』·『화엄경』·『열반경』 등 본각의 이면에 작용적인 측면인 무주심·무심이 기저에 흐르고 있다. 대행의 사상도 본체적인 선관에 무심이 작용하고 있다. 대행의 한마음·주인공은 시공간적인 측면에서 무변하고 영원한 한량한 힘을 갖고 있다. 그러면서 작용적인 측면으로 믿고 맡김에 있어 주인공과 맡기는 나를 분별하지 않고 무심하게 맡기라고 하였다. 또한 수행차제에서나 보살행에 있어, 일상적인 삶에 있어서도 욕심과 집착을 비우고 무심할 것을 강조한다. Originally, the ideology of being enlightened is called "Bongak" and "Bonraeseongbul". This is the body aspect. If the borisim or the cheongjeongsim of the Diamond Sutra are the body aspects, the mujusang, the mujusim, and musim are the action aspects. Also, if the vimutti, the nirvana, and the bodhi that are described in the Vimalakirti Sutra are the body aspects, the innocence, the mind of the no gain, the non-duality, etc., which do not have the mind of distinguishing, are the action aspects. In the many Mahayana sutras, including the Sutra of the Lotus, the Avatamska Sutra, the Sutra of Nirvana, etc., the action aspects of the mind of the ownerlessness and the mind of the indifference have been flowing in the base on the other side of the origianal enlightenment. Indeed, the action aspect of the indifference has been flowing in the body aspect. Regarding the ideology of the Daehaengseonsa, the indifference has been acting in the seongwan. The protagonist Hanmaeum in the Daehaengseonsa possesses the unchanging, eternal, and abundant power regarding the spatiotemporal aspect. Meanwhile, with regard to believing and entrusting with the action aspects, it was told to indifferently entrust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protagonist and myself, who is entrusting. Also, with regard to the performance now or the Bodhisattva’s Journey or the everyday life, it is emphasized that the greed and the obsession must be emptied and that one must be indifferent.

      • 포스트 코로나, 불교 포교의 변환에 대한 소고

        신명희(정운)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4 No.-

        2020년 2월부터 코로나가 발병하였다. 금방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코로나19 전염증은 끝나지 않고, 앞으로 장기간 지속될 거라고본다. 근자에 경제 ․ 사회 ․ 문화뿐만 아니라 종교계까지 코로나 이후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가 관건이다. 앞으로도 이 코로나19가잠잠해져도 또 다른 바이러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사회 전반적으로 비대면 사회가 장기화되자, 개인적으로는 불안과 블루 우울증이만연되고, 경제 또한 계속 침체되어 가고 있다. 이에 코로나19 전염증의 무거운 공기를 타개할 불교적 변환점을 모색해야 한다. 현 불교계는 신도수가 줄고 있고, 출가자 또한 감소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 시점에 코로나 전염증이 발병해 사찰들이 경제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 사찰들 중에는 여러 곳에서(?)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고, 스님들도 현시대를 타개해나갈 새로운 포교 매체를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물질적인 대체 방법만이 아닌 현대인의 코드에 맞는 불교적인 행법을 개발해야 한다. 더 나아가 부처님이 중생을 제도하고 대승교도들이 행했던 중생을 향한 염원을 갖고 불교 포교의 미래 지향해 나가야 한다. Corona took place from February 2020. The COVID-19 epidemic, regarding which it had been thought that it will disappear soon, did not end. And it is seen that it will continue for a long time period in the future. These days, how to prepare for after Corona on the part of not only the economy, the society, and the culture, but, also, the religious circle is a pivotal point. Even if this COVID-19 abates in the future, too, the possibility of yet another virus taking place is big. As the untact society has become longterm in the overall society, individually, the anxiety and the blue depression have been getting rampant, and the economy, also, has been continuing to get stagnant. As such, a Buddhist transformation point that will break through the heavy air of the COVID-19 epidemic must be sought after. Regarding the Buddhist circle at the present, the number of the believers has been getting reduced. And it is the reality in which the home leavers have, also, been reduced. At such a time point, because the Corona epidemic has occurred, the Buddhist temples have been receiving the economic blows. Among the Buddhist temples, the self-saving measures have been deliberated at the presentation places. And the Buddhist monks, too, have been preparing a new propagation medium for overcoming the present era. But, a Buddhist practice method that fits the chord of the modern people and not a material replacement method must be developed. Furthermore, the Buddha must save the mankind. And, with a wish that is directed toward the mankind, which had been had by the great monks, the future of the propagation of the Buddhism must be purs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