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재난사고에 대한 동 · 서양 기자들의 기록과 해석방식

        이완수(Wansoo Lee),박재영(Jaeyoung Park),신명환(Myounghwan Shin),전주혜(Joohye, Je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1 No.-

        문화심리학자들은 그 사회 구성원들이 문화적 배경차이에 따라 사물을 다르게 인지한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확인해 왔다. 하지만 저널리즘 규범에 따라 사회문제를 재구성하는 기자들의 경우 그들이 문화적 배경에 따라 사물을 어떻게 차별적으로 인지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 기자들이 유사한 국가적 재난사고를 어떻게 다른 인지방식으로 기록하고 해석하는지를 문화심리학적 이론을 적용해 비교분석했다. 분석결과, 양국 기자들은 재난사고를 인지하고 해석하는 방식에 있어 상당부분 서로 다른 문화적 사고 편향성을 보였다. 한국 기자들은 미국 기자들에 비해 실명 취재원보다는 익명 취재원을, 개인 취재원보다는 집단 취재원을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했다. 재난사고에 따른 피해자 또는 가해자에 대한 강조 방식에서도 한국 기자들은 피해자 입장에 보다 주목한 반면에, 미국 기자들은 가해자 입장에 보다 비중을 두고 보도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난사고를 접근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한국 기자들은 기자 자신이 아닌 관찰 대상을 중심에 두고 사고내용을 기록하는 아웃사이더 관점을 보인 데 반해, 미국 기자들은 기록 주체자인 기자 자신의 관점에서 재난사고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인사이더 관점을 상대적으로 많이 보였다. 하지만 양국 기자들은 재난사고 유형에 따라 서로 같거나, 또는 반대의 인지방식으로 사고를 기록하고 해석함으로써 문화심리학적 이론이 일관되게 증명되지는 않았다. 이 연구는 사안의 성격이나 속성을 다차원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채 사람들의 사고습관을 단순히 동양의 종합적 사고와 서양의 분석적 사고로 비교하는 문화심리학적 이론은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제언했다. Cultural psychologists have long been confirming that members of a society perceive things differently due to differences in their cultural backgrounds. However, very few is on how journalists who reconstruct social problems in accordance with the norms of journalism perceives thing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uses cultural psychological theory to compare on how South Korean and American reporters record and interpret similar national disasters in differing ways. According to the analytical findings, reporters from both countries show considerably different cultural thinking biases in the way which they perceived and interpreted disasters. Korean reporters use anonymous sources more than identified ones and group sources more than individual ones. And while Korean reporters pay more attention to the victims’ position as a way of emphasizing the victims or perpetrators in the disasters, American reporters tend to report more on the perpetrators’ position. In the regard to disaster accidents, Korean reporters observe objects from an outsider’s view, not as the reporter himself. On the contrary, American reporters observe disasters from an insider’s view, with of themselves. However, the journalists of neither country consistently prove the validity of cultural psychology theory by recording and interpreting the disasters in the same or opposite cognitive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review cultural psychological theories that compare people’s thinking habits simply with collective thinking of the East and analytical thinking of the West without considering the nature and attributes of the subject in a multidimensional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