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디자이너의 직무분석

        신계옥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0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25 No.-

        본고에서는 직무 분석법의 기초 이론 문헌을 통해 연구하여 현재 디자인 환경에서 근무하는 디지털 미디어 디자이너의 직무를 분석을 시도 하였고 이를 통해 현재 교육과정에서 보완개선하고 현장실무에서 요구되는 제고방안들을 고찰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직무 분석의 개념 및 용어, 필요성 방법 등의 직무 분석에 활용되는 이론들을 살펴보고 교육과정개발에 적합한 DACUM법의 필요성과 기능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3장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환경을 살펴보고 교육과정개발에 적합한 DACUM법으로 디지털 미디어 디자이너의 직무 분석을 실시한 자료를 토대로 디지털 미디어 디자이너의 직무를 의무와 과제별로 구분하여 DACUM차트를 제작하였다. 4장에서는 직무 분석을 통하여 조사된 내용을 토대로 교육적 측면에서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분야에 관하여 앞으로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서술하였다. In this thesis, we have tried to analyze the present job functions of the digital media designers through analysis and review of methodologies stated in general theoretical documents to investigate there quired job functions in real world and possible recommendation of improving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to meet its requirement. First of all, in Section 2, we have investigated on concept, terminologies and methodologies that are used in analyzing the job functions. And we also investigated on requirements and its functions of DACUM methodology which we believe it is suitable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section 3, we have investigated the current environment of the designers and produced a DACUM chart report with the result of analysis made through DACUM methodology by duties and assignment. Finally in section 4, we have described the recommendation for improving the education for digital media designers with the fact based on job function analysis.

      • KCI등재후보

        일광 변화에 따른 건축물 외장 색채 연구

        신계옥 ( Kye Ok Shi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2 No.-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일광 및 기후 변화에 따른 건축물 외장의 색채 변화를 연구, 관찰하였다. 일정 장소를 일정 기간(2011년 9,10,11월)동안 아침, 정오, 오후에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대표적인 샘플링 컬러를 추출하고, 이를 색상, 명도, 채도로 분석 정리하였다. 그 결과 이 지역의 색채에서 나타난 현상은 아침에는 채도와 명도는 저명도, 저채도로 변화가 심하였으며, 색상도 어두운 색조로 변화가 심하였다. 정오에는 비교적 명도가 높아졌으나, 채도는 낮은 영역에서 약간씩 변화를 보였고 색상은 밝은 색채로 유지되었다. 오후에는 11월에 이르러 점점 명도가 어두워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오후의 일광에 따른 변화가 많았다. 또한 채도는 저채도를 유지하였고, 색상은 동일했지만 어둡게 변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일광에 따른 명도와 채도의 변화는 건축물 외장의 색채에 영향을 미쳐 동일한 색상이 다양하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 건축물에 적용되어야 할 색채는 그 지역의 일광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후속적으로 세워지는 건축물에 이를 반영한 색채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색채 계획이 도시 경관 형성 계획에 실행되어야 건축물의 군(群)이 이루는 조화롭고 고유한 도시경관이 만들어지고, 그 결과 특정 지역의 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characteristic color of the specific place, so observes and analyzes the change of color images of the exterior of buildings according to changing daylight. After photographing same buildings for three months(Sep.,Nov.,Dec. 2011.) every morning, noon and afternoon, the study extracts the representative sample colors from these image data and organizes these by the hue, saturation and brightness.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aturation and brightness change a lot in low level and the hue also changes much as a dark color in the morning. At noon, the brightness relatively goes to high level, the saturation changes a little at the low level and the hue remains as a bright color. And in the afternoon, the brightness tends to become darker especially in November and the change of the brightness affected by daylight is great. The saturation keeps at the low level and the hue stays same color but becomes dark. This analysis presents that the change of the saturation and brightness according to the changing daylight influences the color of the exterior of buildings and as a result, the same color can be changed variously. Therefore, the color applied to buildings of the specific place should be considered the change of colors according to the changing daylight. And the color plan for other buildings construction must reflect these color changes. This kind of color plan on the making cityscape can create the harmony and identity formed from group of buildings. Through this, the culture and identity of specific place can be succeeded and developed.

      • KCI등재

        디자인 씽킹에 의한 자율 학습 가이드 개발 연구 - 창의적 실기 프로젝트 중심으로 -

        신계옥 ( Shin Kye-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2 No.-

        현재 우리는 인공지능과 사물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제 4차 산업혁명시대에 살고 있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미래의 인재상은 창의적 사고에 의한 자율적 문제 해결 능력의 인재이다. 이러한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에서의 혁신이 선행되어 시대에 맞는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디자인 씽킹을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여 자율적으로 학습하며 창의적 문제 해결의 방법을 습득하게 하는 교육 과정 설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씽킹의 개념을 명확히 고찰하여 교육과정에 도입하고자 먼저 디자인 씽킹의 발달 과정과 정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의 교육 방법으로 창의적 프로젝트를 위한 기본 교육 설계를 하였고, 디자인 씽킹을 적용시킨 자율 학습 관리 가이드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의 일방적인 교육과정을 벗어나 자율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과 창의적 잠재력을 개발하는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The era in which we live now is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aracterized a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right people for the future are the ones who ha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by creative thinking. In order to educate these kinds of people,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training method and the innovation in the process of education for the times. For that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educational process that can be learned self motivated learn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by applying design thinking at the educational sit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actice of the design thinking was explained to apply this concept into educational course. Based on this, the basic education for creative projects by educational method of human resources training required for this era by applying design thinking presented a method of self motivated learning guided by design thinking. This method can be characterized as the one which develops the self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creative potential.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에 기초한 외국 유학생의 대학 생활 실태 사례 연구 -"K"대학을 중심으로-

        신계옥(주저자) ( Qing Zhou ),주경(공동저자) ( Qing Zhou ),주우(공동저자) ( Yu Zhou ),녕미형 ( Mei Ying Ning ),무문일 ( Wen Yi Wu ),서신희 ( Chen Xi Xu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2 No.-

        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K``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34명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서비스디자인의 사고방식과 도구 활용 및 프로세스와 방법을 적용하여 대학 생활에서의 불편 요인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학 생활에서의 유형, 무형의 불편 요인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식당 및 기숙사, 강의실에서의 문제들과 교내외 교통 및 이동 수단, 외국인들을 위한 안내책자의 부재로 인한 대학생활의 불편한 사항들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이 개선되고 해결되어야 ``K`` 대학에서 일정기간동안 유학하는 외국 유학생들이 불편한 점이 없이 교육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후에도 미래의 친한인재로 교류의 기틀이 되어 바람직한 미래의 가치가 창출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design of services, take advantage of the service design concepts and tools to target foreigners 34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the University of "K", to apply the process and methods of college life grasps the inconvenience factors in the medium, it is attempted to derive a problem. As a result, it was able to grasp the tangible, intangible of failure factor entities in college life. In other words, transportation and means of transportation outside the school, inconveniences of college life by the absence of a brochure for foreigners and restaurant, dormitory, is a problem in the classroom has been grasped. Basis of these issues are improved at the University of "K" should be resolved foreign students is inconvenient point without having a certain period of time studying abroa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ducational purposes, after also exchanges in the future of the close human resources I think that the value of the desired future is created to become.

      • KCI등재후보

        경관 이미지를 위한 색채 분석 및 색채 계획

        신계옥 ( Kye Ok Shi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8 No.-

        글로벌 시대에 지역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적 아이 덴티티는 지역의 자산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계승 발전시키고 그 지역의 개성과 문화적 아이덴티티를 살릴 수 있는 방법으로 도시 경관 색채 계획에 그 지역의 색채를 사용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일광 및 기후 변화에 따른 그 시설물이나 건축물이 놓여지는 장소에 대한 색채 변화를 연구 관찰하였다. 그리고 세 부분의 일정 장소를 일정 기간(9,10,11)월 동안 하루에 4번 아침 점심 저녁 밤에 촬영하였다. 수집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그 지역의 대표적인 샘플링 컬러를 추출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Adobe Illustrator에서 제공하는 배색 코드에 입력하여 색상, 명도 채도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그 지역의 색채를 알고자 하였으며, 그것들을 활용하여 지역의 아이덴티티가 있는 경관 이미지를 형성해 나가기 위한 색채 배색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In this global era, the history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community becomes it`s important asset. Therefore, to inherit, develop and highlight the community`s character and cultural identity, the colors of the community must be used according to the plan of the landscape image. So, in this study, color changes of the community caused by the changes of the daylight and climate at the facilities and architectures are observed and studied. In three specific places, pictures are taken four times a day (morning, noon, evening and night) over a period of time (September, October, November). The typical sampling color of the community is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image data, which is arranged by color, brightness and chroma according to the Adobe color code, Through this method, the colors of the community can be cleared, and by using them, the way of the color harmony plan forming a unique landscape image can be proposed.

      • KCI등재

        건축물 외장재의 계절 색채변화에 관한 연구 -봄, 가을 중심으로-

        신계옥(주저자) ( Kye Ok Shi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5 No.-

        건축물은 일광의 영향으로 그 색채가 시시각각 변화한다. 이러한 미세한 변화를 바탕으로 한 정확한 물체 인식과 일관성을 위하여 건축물 색채 이미지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계절 중봄과 가을의 일광에 따라 변화하는 건축물 외장재의 색채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건축물 외장재의 일광에 따른 색채 변화를 조사, 관측하였다. 그 조사 대상으로 건축물이 밀집해 있는 지역의 외장재가 다른 건물 3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24절기중 양력으로 가을 절기에 해당하는 2014년 9월부터 11월까지, 2015년 봄 절기에 해당하는 3월부터 5월까지 사진 촬영에 의한 정오 시간대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HSB컬러 모델에 의해 색상, 명도, 채도를 측정하고, 엑셀에 의해 그래프로 그 색상, 명도, 채도변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같은 건축물이라도 일광의 영향을 다르게 받아 색상의 큰 변화를 보였다. 밝은 색채의 건물일수록 색상의 변화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건축물의 외장재에 따라서도 색상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유리재 건축물은 지역의 자연환경과 시간에 따른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색상이 유지되었다. Buildings, under the influence of daylight, the color is ever-changing. These minute changes was to the original,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color image of the building for accurate object recognition and consistency.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color change due to the daylight of the building exterior material that you wan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change of the exterior material of a building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spring and autumn of daylight in four seasons, it was observed. Exterior material of the area where the building is dense as the surveyed were selected six of the other buildings. And September-November 2014 that corresponds to the fall of the season in the lift of the 24 season, collects image data of noon time zone by the photography of March to May, which corresponds to the spring season of 2015, by the HSB color model, measuring Hu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e of the change in the graph in Excel. As the result even the same building is seen by different color image along with the daylight. The range of the hue variation is bigger when the color of building is brighter.the exterior of buildings is one of the factors which affect to the color variation. The color variation of glasses is smaller than other exteriors, so it maintains its original color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