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밈의 기호학적 특성과 문화의 전파

        쉬자오이,하오화웨,최원호 한국영상학회 202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0 No.5

        밈(Meme)은 유전자와 같이 유전, 확산되는 문화적 정보의 단위이다. 넓은 의미에서 '모방'의 과정을 통해 복제되는 모든 정보 는 밈으로 간주된다. 이때 밈을 전파하는 주체는 밈의 결정적 요인으로서 기호의 방법을 통해 밈을 매개로 한다. 실제 문화는 기호로 구성되며, 인류는 기호의 세계에서 그 문화를 이어가고 있다. 연구자는 밈의 기호학적 특성에 주목하고, 스튜어트 홀 의 인코딩, 디코딩 이론을 바탕으로 밈의 전파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밈의 전파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외부 경 험, 내부 경험, 정동으로 나누고, 유전, 변이, 선택의 세 가지 단계를 통한 문화의 전개를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개인 경 험의 주체성이 밈의 인코딩과 디코딩을 반복을 통해 문화가 형성, 확산된다고 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리적 상이함으로 인한 차(茶) 등의 문화적 현상을 통해 문화의 진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즉 세부적인 사례를 통해 밈의 유전, 변이, 선택 과정 에 의한 것임을 증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밈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문화의 전개를 설명하고자 한다. A meme is a unit of cultural information that spreads like a gene. In a broad sense, all information reproduced through the process of 'imitation' is considered a meme. The subject that propagates the meme is a decisive factor in the meme, mediating the meme through symbols. The researcher pays attention to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of the meme and attempts to explain the propagation process of the meme based on Stuart Hall's encoding and decoding theory. Furtherm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spread of memes are defined as external experiences, internal experiences, and emotions, and cultural development is interpreted through the three stages of heredity, variation, and selection.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evolution of culture through cultural phenomena, such as how tea evolved due to geographical differences. In other words, through detailed examples, the heredity, variation, and selection process of memes is the result of an evolutionary process that is not based on genetic factors but rather on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individual who created them. In this study, I explain the development of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memes.

      • KCI등재

        좀비 영화의 상업성과 예술성

        쉬자오이,하오화웨,최원호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6

        영화는 상업과 예술의 결실이지만 ‘포스트 <아바타(Avatar)>’시대에 제작된 화려한 CG 기반의 영화들에서 예술성의 균형은 중요한 관건이다. 즉 역설적으로 기술에 대한 지나친 의존이 잠재적 위협이 되면서, 영화의 예술성을 결여된 사례가 등장하기 도 하는 것이다. 특히 디지털 영화와 같은 장르의 영화에서는 상업성과 예술성의 균형이 보다 요구된다. 발터 벤야민(Water Benjamin)과 아도르노(Theodor Wiesengrund Adorno)는 기계복제가 매체나 도구로서 예술 영역에 대한 개입과 그에 따른 결과를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한 바 있다. 그들의 이론은 오늘날까지도 충분한 참고 의의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 서는 영화의 상업성과 예술성의 관계를 벤야민과 아도르노의 이론을 바탕으로 접근하고, 예술에서 현실의 중요성을 분석하고 자 하였다. 영화의 상업성은 기계복제의 특성에서 비롯되며, 영화의 예술성은 영화와 현실 사이에서 비롯된다. 이에 연구자는 보다 실천적 해석을 위해 좀비 영화를 소재로 현실과 가상이 캐릭터 이미지와 서사 모델을 통해 어떻게 결합, 상징, 은유로 표현되는가를 연구하였다. 좀비 영화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상업성과 예술성이 균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Movies are a community of commerce and art, but cinema movies that emphasize virtual reality produced in the post-Avatar era pose a potential threat to the artistry of movies. Excessive emphasis on technology causes such films to be outside of reality. Especially with regard to digital movies, it is even more necessary to strike a balance between commerciality and artistry. Regarding mechanical reproduction technology as a medium or tool, intervention in the field of art, and how consequences should be evaluated, Benjamin and Adorno have published relevant discussions. Their theories still have sufficient reference significance today.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erciality and artistry of movies based on Benjamin and Adorno's discussion on the commerciality and artistry of fil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mphasizing that artistry cannot be divorced from real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model of the role image and narrative mode of zombie movies, the analysis here shows that zombie movies realize the symbolic and metaphor of actual society by combining reality and fantasy. The inseparable characteristics of zombie movies and reality are the key to the balance between commerciality and artistry.

      • KCI등재

        시리즈 영화 속에 나타난 쿠키영상 연구- 마블 영화를 중심으로

        쉬자오이,최원호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8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Credit cookie which was added to the ending of a movie, has a long history. The credit cookie attracted audiences attention on the ending of a movie, adding color and prosperity to movies. Though a range of credit cookie was made and applied and there are studies on this issue, few attention has been paid on the effects and functions of credit cookie. That is to say, the narrative function and the narrative characters of building a series of movies, highlights its academic values. This paper takes the credit cookie of Marvel movies as the example, studying the narrative functions and characters including “Revealing Secrets”, “Sequel” and “Building Images” based on the history of credit cookie. It also institutionalizes the creative part of the credit cookie. 쿠키영상은 영화의 엔딩 크레딧이 끝난 후 추가되는 영상으로, 역사가매우 길다. 쿠키영상은 엔딩 크레딧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현상을 해소하는 동시에 영화의 재미를 크게 증가시켰다. 하지만 쿠키영상 이론에 관한연구는 최근까지도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다양한 쿠키영상이 만들어지면서 일부 학자들이 그에 관한 이론과 분석을 진행했지만, 영화 속 쿠키영상의 발전에 관해 심도 있게 연구한 문헌은 거의 없다. 최근 마블 시리즈 영화의 인기 상승과 함께, 영화 속 쿠키영상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쿠키영상이 지닌 서사적 가능성과 영화 시리즈 구조에대한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쿠키영상을 중심으로 쿠키영상의 역사, 발전 과정과 함께 변화하는 특징을 연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밀 게시, 속편 암시, 인물 이미지 등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쿠키영상의 서사적 기능을 분석하고,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쿠키영상이 만들어낸 혁신적인 부분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팬덤의 우상숭배 연구

        쉬자오이(XU, ZHAO YI),최원호(CHOI, WON HO)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21 영상기술연구 Vol.- No.35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cultural capitalism, digital technology network-based social media has not only changed our daily lives, but also formed a fandom culture of idolatry. The social media represented by digital technology and capital operation has changed the public culture production and communicational means, Especially in the concept of the whole public culture consumption. The socio-cultural phenomena of idolatry which brought about by the combined effects of Needs, Social Identity, and Interaction Ritual. Now days people are living in the society where there are ubiquitous social media and multi-cultures. The idolatry stem from capital controls and liberal media public, Public is hardly to escape from these influences. Fan culture prosperity, Fan club will along with its growing team spirit and professional awareness.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hopes to explore the future value of fandom culture by analyzes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fans and idolatry phenomena of the new media era.

      • KCI등재

        시리즈 영화 속에 나타난 쿠키영상 연구

        쉬자오이(Zhaoyi Xu),최원호(Wonho Choi)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8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5 No.-

        쿠키영상은 영화의 엔딩 크레딧이 끝난 후 추가되는 영상으로, 역사가 매우 길다. 쿠키영상은 엔딩 크레딧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현상을 해소하는 동시에 영화의 재미를 크게 증가시켰다. 하지만 쿠키영상 이론에 관한 연구는 최근까지도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다양한 쿠키영상이 만들어지면서 일부 학자들이 그에 관한 이론과 분석을 진행했지만, 영화 속 쿠키영상의 발전에 관해 심도 있게 연구한 문헌은 거의 없다. 최근 마블 시리즈 영화의 인기 상승과 함께, 영화 속 쿠키영상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쿠키영상이 지닌 서사적 가능성과 영화 시리즈 구조에 대한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쿠키영상을 중심으로 쿠키영상의 역사, 발전 과정과 함께 변화하는 특징을 연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밀 게시, 속편 암시, 인물 이미지 등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쿠키영상의 서사적 기능을 분석하고,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쿠키영상이 만들어낸 혁신적인 부분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Credit cookie which was added to the ending of a movie, has a long history. The credit cookie attracted audiences attention on the ending of a movie, adding color and prosperity to movies. Though a range of credit cookie was made and applied and there are studies on this issue, few attention has been paid on the effects and functions of credit cookie. That is to say, the narrative function and the narrative characters of building a series of movies, highlights its academic values. This paper takes the credit cookie of Marvel movies as the example, studying the narrative functions and characters including “Revealing Secrets”, “Sequel” and “Building Images” based on the history of credit cookie. It also institutionalizes the creative part of the credit cookie.

      • KCI등재

        탄막 영상의 기호학적 전파 -롤랑 바르트의 신화를 중심으로-

        하오화웨,쉬자오이,팡시,최원호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22 영상기술연구 Vol.- No.40

        Roland Barthes’ “Myth” is a combination of structuralist semiotics and ideological criticism, which helps to analyze the inner working mechanism of cultural text production of cultural meaning and ideological concepts. Internet video has become the most used form of media in people's daily life. This paper compares the communication modes of commonly used video platfor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ymbolic communication of Internet imag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bullet hell video and other Internet videos. The emergence of bullet hell broke the viewing mode of unilateral output of images to the audience. The superimposed relationship between bullet hell and the video in the bullet hell video changes the symbolic composition of the image, thereby affecting the myth of the image.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