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발굴조사와 보고서 작성, 배포, 활용

        쇼다신야,손준호 한국문화유산협회 2017 야외고고학 Vol.0 No.30

        일본에서 발굴조사는 일찍이 17세기까지 올라간 사례도 있지만, 소위 긴급조사 발굴 건수의 급증에 의해 발굴조사의 지침이 필요하게 된 것은 고도 경제 성장기인 1960년대의 일이다. 이때 埋藏文化財発掘調査の手びき 라는 발굴조사와 보고서 작성 입문서가 국가 주도로 출간되어 40년 동안 발굴조사의 지침이 되어 왔다. 최근 발굴 건수의 증가와 조사 기술의 발전을 배경으로 44년 만에 유사한 이름의 입문서가 출간되었는데, 본고에서는 이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에서 현재 행하여지고 있는 발굴조사와 보고서 작성, 그리고 공개 상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내용은 일본에서의 행정적 유적지 인식과 발굴 허가 절차, 발굴조사의 순서와 기법, 현장에서의 기록 방법, 보고서 작성 과정, 보고서 배포와 공개 등이다. 현재 일본에서 발굴조사 보고서와 관련된 가장 큰 문제는 20만 권으로 추정되는 막대한 분량의 자료를 어떻게 보관하고 공개 및 활용할지에 대한 것이다. 보고서 디지털화와 ‘전국 유적 보고 총람’ 프로젝트는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된 사업인데, 2015년부터 나라문화재연구소에서 새로운 온라인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전체 문장 검색이나 영어 검색 기능 등을 이용하여 연구의 효율성과 자료의 활용도를 비약적으로 높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해결해 나가야 할 부분 또한 적지 않다. 디지털화의 선진국인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사례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디지털 기록 보존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조금씩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In Japan, although archaeological excavations took place as early as in the 17thcentury, it is as late as the 1960's that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 published guidelines for archaeological excavations, due to the drastic increase of developer-funded excavation caused by rapid economic growth. 44 years after the first publication, new guidelines have only now been published because of the enlarged scale of excavations and development of methodology in this field. Being guided by this publication,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modern Japanese excavations, includ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the methodology of excavation and process of report publication, as well as the distribution and disclosure processes.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is how to deal with the vast amount of excavation reports assumed to number around 200,000. An online resource project of Japanese excavation reports called 'Comprehensive Database of Archaeological Site Reports in Japan' has been promoted by Nar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archaeological research through the inclusion of English and full-text search functions. Yet, digitization of archaeological reports has been criticized with regard to concerns over reliability, permanency, and authenticity. Now, academic exchanges about topics like digitization with developed countries like Korea are requir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 KCI등재

        土器附着物 分析을 통한 飮食物 復元硏究의 現況과 課題 - 일본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

        쇼다 신야 한국문화유산협회 2013 야외고고학 Vol.0 No.16

        선사인들이 무엇을 먹고 살았는지에 대한 규명은 인류의 생존전략과 직접관련되는 고고학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고고학적으로 과거 식생활을 연구하는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글에서 다룬 토기부착물은 직접 이용된 식물자원의유래를 찾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 글에서는 최근에 일본에서 진행되고있는 현미경을 사용한 탄화물과 잔존 녹말의 관찰,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古DNA분석에 대해서 실제 필자가 행한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토기 표면에는 조리와 상관없는 여러 가지 흔적이 존재하기 때문에 토기의 라이프히스토리를 충분히 감안하여 분석 대상으로 삼을 부착물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석 시료로 적당한 것은 조리에 이용되었다고 인정되는 사용흔이 있는 토기 내면부착 탄화물이다. 토기 내면 부착 탄화물은 인경(鱗莖)・섬유・대형식물유체・편조(編組)제품・불명식물유체・판별불가능 등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여러분석에 앞서 육안 및 현미경에 의한 관찰이 우선되어야 한다. 일본 오카야마(岡山)현 죠토(上東)유적 출토 야요이시대 토기를 대상으로 필자들이실시한 토기부착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탄화물 SEM관찰을 통해서는 벼의횡세포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정백(精白)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쌀을조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잔존 녹말 분석을 통해서는 대부분의 녹말이 분해 혹은손상된 상태였지만 계통을 달리 하는 원형과 오각형 녹말이 같이 확인되었기 때문에한 개체 토기 안에서 복수의 대상물이 조리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되었다. 또한, 식물섬유와 세포조직 내부에 녹말이 확인된 사례도 있는데, 이들은 근경이나구근류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한편, 탄소・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에의해서는 조리대상물이 주로 C3 식물로 구성됨과 동시에 해산물이나 C4식물인잡곡류는 포함되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古DNA분석을 통해서는 벼의 DNA가확인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현미경 관찰을 통해서 확인되지 않았던 밀의 DNA가검출되었다. 위와 같은 여러 방법을 구사한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서 각 방법의 장점과 단점이정리되었다. 앞으로의 자료 축적과 방법의 세련화를 통해서 기술적 문제가해결된다면, 토기부착물에 대한 분석연구가 한국고고학의 여러 시대 연구에 있어서 큰공헌을 할 수 있는 방법인 점을 확인하였다. Reconstructing food and culinary practices in prehistoric tim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on which archaeologists in various research fields have carried out intensive investigations. Carbonized residues attached to pottery vessels constitute important material for the investigation of human diet. In this paper the author introduces various kinds of methods for analyzing pottery residue, including observatio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cient starch analysis, carbon/nitrogen stable isotope analysis, as well as ancient DNA analysis. Before sampling, it is crucial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ife history of pottery, as well as cooking trace patterns, in order to get an accurate sample for the investigation. This is because there many factors which can contaminate the original material for cooking. Also, as attached residues can appear in various shapes, observation should precede any other analysis. The author undertook the above-mentioned, multi-disciplinary analysis on residue from Yayoi pottery that was excavated from the Joto site, in the Okayama pref. Japan. As a result, identifiable features of rice consisting of broken grains that did not have the bran fully removed were observed. Stable isotope ratios also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contribution of C4 plants. The starch grains extracted from the sampled pottery suggested that the residues might contain other starchy foods, although their association with the pottery could not be confirmed. Finally, the result from aDNA analysis showed the existence of wheat other than rice. Though some problems remain to be solved, the comprehensive method showed in this paper can promote the discussion of food and culinary practices in the various stages of the prehistoric and proto-historic periods in Korean archaeology.

      • KCI등재

        한반도와 서부일본에서 금속기수용과 사회변화

        쇼다신야 ( Shoda Shin Ya )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8 No.-

        이 글은 최근에 재검토가 진행된 동북아시아에서 금속기 확산 과정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우선 이 지역에서 기원전 1천년기 편년을 정리한 후, 특징적으로 확인된 두 가지 물질문화적 현상, 즉 무기형석기와 석제장신구의 발달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무기형석기 는 근거리 병기인 석검과 석모, 원거리 병기인 석촉에 대해서 각각 검토하였는데, 각지에 서 무기라는 개념을 받아들이면서도 재지적인 제작전통을 유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석제장신구의 발달은 물품과 정보 유통이 활발해짐과 동시에 진행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소형관옥의 대량생산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정보전달이라는 사회적 기능이 강화 된 점도 파악되었다. 결국 이 지역에서 금속기 수용이 사회에 준 영향은 의기로서의 무기 형석기 발달과 신분표시로서의 석제장신구의 발달이었으며, 이 두 가지 현상은 교환망의 확대와 집단 간 관계의 복잡화라는 동일한 맥락 속에서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f metal adoption in northeast Asia, which has been dramatically reconsidered in recent years. Firstly, the author shows a new chronology through this area, covering the 1st millennium BC. Based on this chronology, the process of appearance of weapon-shaped stone tools and stone ornaments, which seem to be the characteristics in this area when they adopt metal, were considered. About the weapon-shaped stone tools, I divided them into close range weapon such as daggers and spearheads, and distant range weapon such as arrowhea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se materials, it is revealed that even many regions in NE-A shared the idea of weapons, the local tradition of stone tool production were inherited in each area.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stone ornaments seems to correspond with the complication of social networks accelerated by the increasing exchange of products and information. Mass production of small pieces of tubular beads can be interpreted in this context. In the end, the metal adoption in NE-A brought the development of weapon-shaped stone tools as prestige goods and stone ornaments as indication of identities. These two phenomena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under the of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lex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