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초 독일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와 그림동화

        송희영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6 No.76

        Im Zentrum dieser Arbeit steht die Untersuchung von der deutschen bürgerlichen Ideologie zu Anfang des 19. Jahrhunderts und in den Grimmschen Märchen. 1812 erschien die erste Auflage der Kinder- und Hausmärchen der Brüder Grimm. 1819 erschien die zweite Auflage, und im Jahr 2019 wurde das zweihundertste Jubiläum der Kinder- und Hausmärchen gefeiert. Der Märchenforscher Lutz Röhrich meinte, das Märchen tut alles, um die Wirklichkeit nicht zu weit zu verlassen: Kinder- und Hausmärchen spiegeln somit die deutsche Gesellschaft des 19. Jahrhunerts wider. Ende des 18. Jahrhunderts kam das Rollenmodell des natürlichen Geschlechtscharakters auf, das ebenfalls einen großen Einfluss auf die Gesellschaft im 19. Jahrhundert ausübte. Frauen hatten demnach keinen Subjekt-Status, waren keine mündigen, autonomen Menschen, sondern benötigten eine Geschlechtsvormundschaft, ausgeübt durch den Vater oder den Ehemann. In den Schriften zementierten die bedeutenden Philosophen des späten 18. und frühen 19. Jahrhunderts wie Kant und Fichte ebenfalls die prinzipielle Ungleichheit der Geschlechter und rechtfertigten faktisch die Minderstellung der Frau. Gemäß dem sich unter diesen Bedingungen entwickelnden bürgerlichen Familienideal vertrat der Mann die Familie nach außen und nahm alle öffentlichen Aufgaben wahr. Im Gegensatz fand die Frau ihre Erfüllung in der Privatheit als Hausfrau und Mutter. Sie war dazu von jeder Art gesellschaftlich-politischer Mitwirkung ausgeschlossen und kümmerte sich um den Haushalt sowie den Familienalltag und sozialisierte die Kinder. In den Kinder- und Hausmärchen der Brüder Grimm wird die extreme Passivität und Subordinationen der weiblichen Figuren zum Ausdruck gebracht: Vor allem symbolisieren Dornröschen und Schneewittchen ‘schlafende Schönheiten’. Dornröschen schläft einhundert Jahr lang und Schneewittchen liegt lange in dem Sarg, als ob sie schlafen würde. Die Begegnung der Heldinnen mit dem zukünftigen Ehemann wirkt aus heutiger Sicht unfreiwillig, passiv und unterwürfig. Als völlig teilnahmslos gegenüber dem Gemahl könnten die beiden Frauengestalten gelten. Die Grimmschen Märchen spiegeln somit die Idealvorstellung des 19. Jahrhunderts von der Rolle der bürgerlichen Frauen wider. 그림 형제의 『아이와 가정의 동화』 가운데 「장미공주 Dornröschen」와 「백설 공주 Schneewittchen」는 아름다움과 순종, 수동성, 인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동화들이다. 우리나라에서 「잠자는 숲속의 공주」로 알려진 「장미공주」의 여주인공은 100년간 잠들고, 백설 공주는 사과를 베물고 죽은 듯 잠들다가 깨어난다. 이들 ‘잠자는 미녀’는 아름답지만, 자신의 주장과 의견을 제시하기보다는 순종과 인내를 가장 잘 드러내는 여성상의 전형이다. 이들은 수동적이고, 순종적인, 그리고 끝내 인내의 기다림을 미덕으로 포상받는 여성들로서 그림동화는 이러한 인고의 기다림과 덕목을 지킨 여성들에게 마침내 해피엔딩을 선사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여성 이미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동화는 결코 초 시대적인 산물이 아닌, 철저하게 당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가치관과 삶의 반영이다.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면서, 그림동화가 만들어진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기로 한다. 19세기 초 독일 사회의 변화와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가 그림동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고, 이를 통해 탄생한 여성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19세기 독일 사회와 여성의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분석대상은 그림동화 중 ‘잠자는 미녀’의 이미지가 가장 잘 드러난 「장미공주」와 「백설 공주」에 한정한다. 물론 그림동화의 여주인공의 이미지와 성차별에 초점을 두고 비판한 연구들이 많이 있다. 그림동화의 여성상에 관해 분석한 논문 중 대표적인 논문으로 「Grimm 동화에 있어서 여성 인물의 특성」(박대환, 독어교육, 1999), 그림동화의 여성상과 남성상을 유형별로 분석한 「그림 Grimm동화에 나타난 여성상과 남성상」(최석희, 독일어문학, 2000), 그림동화의 양극적 여성 이미지와 헐리우드 영화의 재현을 연구한 「천사 아니면 마녀? - 그림동화와 헐리우드 영화 속의 여성이미지」(송희영, 헤세연구, 2004)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그러한 여성 이미지가 탄생하게 된 배경으로써 19세기 초 독일 사회를 주목해서 살펴볼 것이며, 그것이 그림동화에서 어떻게 재현되어 나타나고 있는지 역추적할 것이다. 그림동화 자체를 분석한 연구는 많아도 그림동화의 배경으로 19세기 초 독일 사회와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를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퓌뒤푸 시네세니(Cinéscénie) 연구: 피에르 노라의 ‘기억의 장소’ 개념을 중심으로

        송희영 한국문화경제학회 2013 문화경제연구 Vol.16 No.2

        피에르 노라는 프랑스역사총서 『기억의 장소』에서 현재 세계적인 관광명소 퓌뒤푸 테마파크가 위치해 있는 장소이자, 프랑스혁명 당시 방데전쟁(1793)으로 상징되는 혁명파와 반혁명파의 이념적 갈등의 첨예한 격전지였던 방데(Vendée)지방을 ‘기억의 장소’ 연구영역에 포함한다. 본 논문은 방데전쟁을 작품창작의 소재로 취하고 있는 퓌뒤푸의 대표 어트랙션인 ‘시네세니(Cinéscénie)’ 속에 투영된 피에르 노라의 ‘기억의 장소’ 개념 분석을 시도한다. 연구의 목적은 노라의 기억 개념과 시네세니 사이의 상호 연관성 속에서 발견되는 서사극 시네세니의 특징을 바탕으로, 지역의 역사자원을 원천으로 한 문화기획의 가치와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함이다. 연구결과 시네세니는 첫째, 혁명군에 의해 살상당한 방데의 조상들을 추모하고 기억하는 기념제의 형식을 보유하고 있다. 둘째, 비극적인 과거사(방데전쟁)를 재기억화(remémoration)하는 작업에 있어서 국가가 주도한 공식역사에 대항하는 하위서사(sub-narrative)적 특성을 보여준다. 셋째, 시네세니 기획 전 과정에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이 주효하였음이 확인됨에 따라 “기억의 장소화 작업은 기억이 깃든 장소의 당사자들의 의지에 의해 성취된다.”는 노라의 주장을 입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방데 전쟁의 기억, 시네세니’는 역사와 기억의 대립, 또는 공식역사와 비공식 역사의 갈등을 기념문화제 형식을 빌어 구현하고 있는 ‘기억의 장소’이며, 방데 공동체의 기억이 깃들어 있는 특별한 장소, 즉 지역 정체성으로부터 탄생된 역사문화콘텐츠로서의 특징을 함유한다.

      • 國際貿易慣習의 生成과 發達에 관한 硏究

        宋熹永 建國大學校 經濟經營硏究所 1983 商經硏究 Vol.8 No.1

        International trade nin macroscopic aspect is international business activities between countries within the category of international economics but in microscopic aspect, it can interpret the fruit of contract of sales through private economic sectors. The object of trading, in a broad sense, although it contains goods of corporeal or incorporeal nature, such as goods, technique, capital and labour, in a restricted sense, its object is corporeal movables. Therefore, transactions of trade will be seen as a contract of internatnational goods sales with trading parters in foreign countries. Moreover, international trade transactions are private contracts between trading parters, such as trading companies, and individuals in foreign countries. Consequently, each sales contract will be defined a pattern of contracts. Though today most international trading is distant trade and not over-the-counter sales, we have no uniform law yet. In these circumstance, naturally, international sales contracts depend upon international custom and usag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eation and advancement of trade custom. And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of this study are mainly to review, analyze the various factors within international trade regulations, as well as custom practices and precedents which have an effect on international trade sales contracts. International trade custom has two fundamental functions. The first is supplementary function of international sales contracts, the second is cretera for interpretation of contracts, therefore international trade custom is essential to international trade transaction. However, we have no uniform law of trade. International transaction be carry out at individual contract. The contract are an essential part of the international trade system of free enterprise, and hence the law provides contract with special protections. Without such protections, international trade would find very difficult to promote its volume. Therefore international trade custom and it's rules is essential to trade transaction. For the above mentioned purpose, this study is composed of; Chapter Ⅱ, Creation Advancement of trade custom. Chapter Ⅲ, Function of trade custom and characteristic of international trade transaction Chapter Ⅳ, Direction and codification of international trade rules.

      • KCI등재

        독일문학과 성서: 문학과 신학의 대화

        송희영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9 문학과종교 Vol.24 No.3

        After the Reformation and the translation of the Bible by Luther in 1517, German literature has produced great religious literature through the ages,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German literature was born on the basis of the Bible. After the Enlightenment in Germany, Goethe’s Faust, the romantic works in the 19th century, Rilke’s poems in the 20th century, Joseph and his brothers by Thomas Mann are the works created from the motives of the Bible. The discussion of ‘religion and literature’ in Germany has been active as late as in the 1980s, which results from the distinct character restricts of German history. Based on the symposium in Tübingen, studies on ‘literature and religion’ have actively progressed since the late 1980s. In addition, beyond Germany active research was expanded to Austria in the 2000s.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과 성서번역 이후 독일문학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마다 위대한 종교문학을 탄생시켰으며, 독일문학은 성서의 기반위에서 탄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일 계몽주의 이후 18세기 클롭슈톡의 『메시아』를 비롯해 괴테의 『파우스트』, 횔덜린의 시, 19세기의 낭만주의 작품들을 걸쳐 20세기 릴케의 시, 토마스 만의 『요셉과 그의 형제들』은 성서적 모티브를 통해 새롭게 탄생된 작품들이다. 전후 서독의 하인리히 뵐의 『아담아, 너는 어디에 있느냐?』와 동독의 슈테판 하임의 『다윗 왕』, 페터 학스의 『아담과 이브』 역시 성서적 소재를 통해 히틀러의 파시즘과 동독의 전체주의에 항거하고 있다. ‘종교와 문학’에 대한 독일의 논의는 1980년대에야 비로소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84년 튀빙엔대학에서의 ‘신학과 문학. 20세기의 대화가능성과 한계들’이라는 주제로 문학인과 신학자들의 시대에 대한 진단과 반성, 책임을 토대로 문학과 신학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을 보였다. 튀빙엔에서의 심포지엄을 토대로 1980년대 후반부터 ‘문학과 종교’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척되었다. 또한 연구의 활성화는 독일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독일어권 문화에 해당하는 오스트리아에서도 확대되어 나갔다.

      • KCI등재

        세계 상실로서의 실향 또는 이산, 이별의 비극박완서의 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와 크리스타 볼프의 나누어진 하늘

        송희영,이인영,이재원,김숙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4 獨語敎育 Vol.31 No.-

        ‘Tragödie der Heimatlosigkeit als Weltlosigkeit, Zerstreuung und Abschied’ ist ein Versuch, in Bezug auf Teilung und Vereinigung die Frauenliteratur in Korea und Deutschland zu vergleichen und zu analysieren. Die Schriftstellerinnen von beiden Ländern, beispielsweise Christa Wolf und Pak Wan-So, setzen sich mit dem Thema des geteilten Landes in ihren Romanen Der geteilte Himmel(1963) und Es war warm in dem Winter(1983) intensiv auseinander. In beiden Erzählungen werden aus der weiblichen Perspektive vor allem der Mammonismus im Korea der 70er Jahre und der Bürokratismus in der DDR der 60er Jahre scharf kritisiert. Das Problem der Spaltung Deutschlands und Koreas, und die daraus resultierende Identitätsproblematik der Heldinnen steht im Zentrum der Romane. Die Art und Weise, wie die Hauptfiguren in den Romanen dargestellt werden, ist ziemlich interessant, da die Schriftstellerinnen zeigen, in welcher Weise sich die Protagonistinnen des Problems der Teilung von beiden Ländern bemächtigen. Ihr literarisches Vorgehen ist die Empörung über die Misere des Krieges, die Heimatlosigkeit als Weltlosigkeit, die Zerstreuung der Familie, und der daraus resultierende Tod und den Abschied des Liebespaars. Aus dem konkreten, eigenen tragischen Erleben erwachsen, gewinnen die Heldinnen am Ende der Romane Selbstreflexion und Selbstverwirklichung. Hier zeigen sich der Wunsch nach dem “gemeinsamen Mit-Leben” und die Hoffnung, “von der Teilung zur Vereinigung” zu gelangen.

      • KCI등재

        폴 틸리히와 ‘문학과 신학’에 관한 독일의 후속 연구

        송희영 한국헤세학회 2019 헤세연구 Vol.42 No.-

        Paul Tillich hat in dem Aufsatz Über die Idee einer Theologie der Kultur(1919) versucht, das Verhältnis von Theologie und Kultur grundlegend neu zu definieren und dabei eine ‘Kulturtheologie’ vorgestellt. Diese Theologie macht es sich zur Aufgabe, zwischen dem christlichen Glauben bzw. der Theologie auf der einen Seite und der modernen, säkularen Gesellschaft auf der anderen Seite zu vermitteln. Nicht der Gegensatz, sondern die Vermittlung zwischen Religion und Kultur steht für Tillich im Vordergrund, da die Religion selbst nicht ohne kulturelle Vermittlungen existieren könnte: “Religion ist die Substanz der Kultur - Kultur ist die Form der Religion”. Mit Beginn der 1970er Jahre kam es in Deutschland im Verhältnis zwischen Theologie und Literatur zu einer Neuorientierung im Paradigma des Dialogs. Dorothee Sölle, Dietmar Mieth und Karl-Joseph Kuschel haben die Forschung über das Verhältnis von Theologie und Literatur weitergeführt. Realisation. Studien zum Verhältnis von Theologie und Dichtung nach der Aufklärung von Sölle, Dichtung, Glaube und Moral von Mieth und Jesus in der deutschsprachigen Gegenwartsliteratur von Kuschel haben im Gefolge Paul Tillichs produktive Ergebnisse zum Verhältnis zwischen Theologie und Literatur geliefert. 이 논문은 ‘폴 틸리히와 문학과 신학에 관한 독일의 후속 연구’에 대해 살피고 있다. 문학과 신학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단초가 1919년 독일의 신학자 폴 틸리히를 통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독일의 후속 연구는 1970년대에나 가능했다. “신학은 어떻게 문화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가?”라는 문제제기로 신학과 문학 모두에게 혁신적인 단초를 제시했지만, 틸리히는 나치정권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미국으로 망명해야 했으며, 미국에서 <문화의 신학>과 <존재의 용기>를 발표하고, 이를 통해 1950년대 미국의 신학과 문학의 진영에서 후속 연구들을 꽃피웠다. 히틀러의 유대인학살에 대한 독일 기독교의 침묵은 종교에 대한 근본적인 불신을 가져왔다. 이러한 연유로 독일에서의 ‘문학과 신학’의 대화 가능성은 보이지 않다가 1970년대 초반 도로테 죌레, 디트마 미트, 칼-요셉 쿠셸과 같은 학자들을 중심으로 ‘문학과 신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척되었으며, 이들이 발표한 출판물을 토대로 두 학문 간의 생산적인 논의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특히 죌레가 제시한 문학과 신학의 상호 오해의 불식에 대한 노력과 두 학문 모두의 현실관여에 대한 촉구는 많은 연구가들에게 후속 연구를 촉발시켰다. 미트는 문학과 신학이 부패와 타락, 무질서의 사회 속에서 도덕과 윤리의 기준을 높은 지향점으로 두고 있다고 강조했으며, 쿠셸은 문학과 신학이 상호 협력을 통해 기존의 “조종되고, 길들여진 권력의 언어”에 비판적으로 대응할 뿐만 아니라 “기능화된 사회”를 거부하는데 앞장 설 수 있는 대화 파트너임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프랑스 역사야외극의 구성 요소와 지역 정체성

        송희영 한국문화경제학회 2016 문화경제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지역사(地域史) 기반 공연콘텐츠 창작사례를 보여주는 프랑스의 ‘역사야외극(Spectacles historiques)’을 심도 있게 탐색하여, 기존의 연극 장르와 구별되는 역사야외극의 구성 요건과 특성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프랑스의 역사야외극은 고성(古城), 왕궁, 성당, 저택과 같은 역사문화유적지 경내에 마련된 야외무대에서, 그 장소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과 연관된 이야기를 공연콘텐츠로 재현하여 관중들과 교감을 이루는 지역축제의 한 유형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프랑스 역사야외극이 배우(연희자), 관객(관중), 무대(공연장소)라는 연극의 3대 요소를 갖춘 역사극으로서의 속성 외에 지역의 장소 정체성을 표출하고 있는 지역문화콘텐츠서의 특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지역문화콘텐츠로서의 프랑스 역사야외극의 특징은 첫째, 지역주민들이 연행의 주체로서 주도적인 참여를 하고 있다. 둘째, 역사극의 연행 장소에 깃든 문화적 기억, 즉 장소감을 드라마의 플롯으로 구성함으로써 공연콘텐츠를 매개로 한 지역 정체성을 구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프랑스의 역사야외극 연구는, 공연콘텐츠를 매개로한 문화자원 활용 지역문화사업은 외부의 전문기획사에게 공연제작을 의뢰하여 지역에 일방적인 이식을 시도하는 관주도 용역사업에서 탈피하여,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역사극의 무대배경이 되는 장소에 깃든 문화적 기억을 스토리텔링으로 재현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함을 가르쳐 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Effectiveness of a Stroke Risk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Adults with Prehypertension

        송희영,남경아 한국간호과학회 2015 Asian Nursing Research Vol.9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ommunity-based intervention for prehypertensive adults, to enhance stroke risk awareness and to adopt a preventive lifestyle for primary stroke prevention. Methods: This was a single-blinded, repeated measures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47 participants (2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in the control group)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two urban areas. The stroke risk self-management intervention consisted of three weekly, 2-hour, face-to-face sessions and two booster telephone sessions, utilizing strategies to enhance motivation for behavioral change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pretest, a 1-month and a 3-month post test of stroke risk awareness and preventive lifestyle including blood pressure self-monitoring, healthy diet, and regular physical activ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wo sample t test,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Friedman test with PASW Statistics 18.0.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stroke risk awareness, blood pressure self-monitoring and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were sustained over time. Conclusions: Our preliminary results indicate that the stroke risk self-management intervention is feasible and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self-management of stroke risk factors for primary stroke prevention among a prehypertensive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