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연구

        오원석 ( Won Seok Oh ),최성규 ( Sung Kyu Choi ),송혜경 ( Hyea Gyeong Song ),신지현 ( Ji Hyeon Shi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1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대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지적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 사회적 거리감, 개인적 권한 및 차별적 신념에 대한 배경변인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사회적 통합에 대한 관련 변인간의 관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연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지적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는 여학생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졌으며, 1학년이 4학년보다 긍정적이고, 특수교육관련학과에 재학생이 보다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지적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은 학년, 만남정도, 봉사활동의 정도에 의해 설명될 수 있으며, 사회적 거리감은 성별, 학년, 전공, 만남정도, 활동 경험에 의해, 개인적 권리는 성별, 만남정도, 봉사활동에 의해, 그리고 차별적 신념은 성별, 학년, 만남, 봉사활동 변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셋째, 지적 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관련 변인간 관계 모형은 개인적 배경 변인 중 간접 경험의 정도와 봉사활동 정도에 의해 가장 잘 예측할 수 있으며, 사회적 거리감과 차별적 신념에 대한 정도에 따라서도 매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설명량은 R2=.574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253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explanatory variables of social integration, social distance, private rights, and subtle derogatory beliefs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and developing a relational model of variables related to their social integration. The study generat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tudy instrument was proved. Second, female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In addition, first year students and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related subjects display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senior students and students whose majors were not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s the social integration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can be explained by what school year they are in, their meetings with the disabled, and degree of their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The social distance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can be explained by what school year students belong in, their gender, majors, meetings with disabled people, and their activity experiences. In addition,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s private rights can be explained by students`` gender, meetings with the disabled, and their voluntary activities. Furthermore, subtle derogatory beliefs towards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can be explained by what school year students are in, their gender, meetings with the disabled, and voluntary activities. Third among personal variables, the degrees of students`` indirect experiences and voluntary activities was found to be the best predictors of the relational model of variable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s the social integration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The relation also displayed significant changes with regard to the social distance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and subtle derogatory beliefs about them. The entire amount of explanation was R2=.574.

      • KCI등재
      • KCI등재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 아동 태도 검사 도구의 타당성 연구

        최성규,오원석,허명진,송혜경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576 children in 19 classes of 7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egu in order to develop the attitude test instrument of non disabled children toward inclusive education through validity proces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subfactor of the attitude test instrument toward inclusive education to inclusive attitude. The test instrument was adapted from the content of the Inclusion of Students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Inventory (ISDHH) developed by Hsin-Ling Hung(2005) and went through the validity process with the test instrument of Oh Won Seok and Seo Young Ran (2006) which was modified and used for our real situation. The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below. First, non disabled children's attitude test instrument toward inclusive education was composed of 5 factors including inclusive attitude, contact frequency, affection and expectation toward positive and negative recognition of classmates. The reliability in composition validity and item internal consistency of this attitude test instrument was very high so it was proper for the instrument to test non 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Second, in the result examining relationship model between background and inclusion-related variables of non disabled children toward inclusive education, it was shown that grades and experience of service in facilities in the case of background variables and contact frequency, affection and expectation about negative and positive recognition of classmates in the case of inclusion-related variables were closely related. As above, in the attitude of non disabled children toward inclusive education, the child who is low grade, has service experience in facilities and has a lot of opportunities to contact with disabled children in school and other activities feels friendly towards disabled children and has positive attitude.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se children perceive positively toward recognition of classmates.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태도 검사 도구를 타당화 과정을 거쳐 개발하고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검사 도구의 하위 요인이 비장애아동의 통합태도에 대한 관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초등학교 7개교 19학급에서 576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태도 검사 도구는 5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태도 검사도구의 구성 타당도와 문항 내적 합치도에 의한 신뢰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검사하기 위한 도구로 적절하였다. 둘째,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 아동의 배경변인과 통합관련 변인 간 관계 모형을 검정한 결과 배경변인에서는 학년과 시설에 대한 봉사경험의 정도, 그리고 통합관련변인으로는 접촉빈도, 친근감, 학급 구성원의 긍정적 인식에 대한 기대와 부정적 인식에 대한 기대가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장애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을 위해서는 장애 시설에 대한 현장학습의 기회를 확대하고 장애아동과 상호작용적 접촉의 기회를 확대하여야 하며 저학년 시기에 장애이해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