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송현심,성승연 한국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1

        This study was planned to improv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by reviewing factors showing th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adjustment in previous studies. In doing so,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self-regulation modes, volitional inhibition made,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were established and empirically tested. Additionally, the three hypothesized models were analyzed across the three types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which was intended for total 540 students has found that social support showed the direct effect on the associations between all other variables and school adjustment and exhibited the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friends’ social support. The results showing the significant mediated effec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선행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들을 검토하여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자기조절양식, 의지적 억제양식), 학교생활 적응 및 삶의 만족 간의 구조모형을 설정하여 각 변인들 간의 직․간접 효과를 규명하였고, 설정된 연구모형 경로에서 사회적 지지원에 따라 삶의 만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총 5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양식, 의지적 억제양식, 학교생활 적응, 삶의 만족 모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 적응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친구의 사회적지지 모형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간접경로를 통하여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 자기조절양식, 의지적 억제양식을 통해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자아탄력성은 자기조절양식을 통해 의지적 억제양식에 영향을, 자기조절양식은 의지적 억제양식을 통해 학교생활 적응과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변인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과 중년성인의 의미추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희망,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검증

        송현심,성승연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3

        본 연구는 대학생과 중년기 성인의 삶의 의미의 두 하위요인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각각의 기능과 의미추구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희망과 의미발견이 갖는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의미추구, 의미발견, 희망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경로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00명, 중년성인 500명, 총 1,000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희망,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연구모형에 있어서는 의미추구와 주관적 안녕감의 직접경로를 제외한 연구모형이 두 집단 모두에서 더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매개경로는 의미추구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과 의미발견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집단의 변인 간 차이검증 결과 의미발견과 주관적 안녕감 전체는 중년성인이,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하위요인은 대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집단의 경로계수 차이검증 결과, 의미추구가 희망과 의미발견에 미치는 영향, 희망이 의미발견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및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the two subordinate factors of meaning in life, in Undergraduates and middle-aged adults; specifically, the influences of the search for meaning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ediated effect of hope and presence of meaning in that process. This study also aimed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meaning, the presence of meaning, and the influence of hope on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included 1,000 individuals, 500 undergraduate students and 500 middle aged adults who completed a survey on meaning in life, hope, and subjective well-being. Regarding mediated pathway, the mediated effect of hope and presence of meaning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for mea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above result, advanced research,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학교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김명화,송현심,하정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school counselors’ importance of peer supervision and examine what experiences are done in peer supervision and which support system are required based on the experiences. Methods For this, a research was conducted by selecting total ten school counselors with school counseling experiences for three years or more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developed by Hill.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task and organization systems felt by school counselors, awareness of school counselors, awareness of peer supervision, and factors for growing as school counseling expe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chool counselors’ peer supervision experiences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were discussed. That is, the school counselo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an increase in various tasks, roles, and cases of crises and difficulties due to differences of the recognition of peer supervision according to school managers. On the other hand, they have found to participate in peer supervision and agonize about practical help, emotional comfort, efforts for improving expertise, and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support. Conclusion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chool counselors were living their lives as a counselor in the working environment which was neither diverse nor systematic. They were also solving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s a school counselor by finding their own method through peer supervision. Even though the school counselors were receiving realistic help and emotional comfort that could complement deficiencies through peer supervision, they were experiencing limitations and feeling psychological discomfort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complement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necessities to systematically carry out the official and professional education, and also to provide the supervisor education as an expert in some areas. 목적 본 연구는 학교 상담자들의 동료 수퍼비전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고, 동료 수퍼비전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또한 그 경험을 토대로 어떠한 지지체계를 필요로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3년 이상의 학교 상담경력이 있는 10명의 학교 상담자를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참여자 선정은 눈덩이 표집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Hill에 의해 개발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사용하였다. 반구조화된 면접과 개방형 질문을 통해 참여자들의 반응을 유도하고, 연구팀과 감수자를 두어 자료 분석과 해석 과정에서 여러 사람들의 시각과 관점을 반영하여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결과 학교 상담자가 느끼는 업무 및 조직체계, 학교 상담자에 대한 학교의 인식, 동료 수퍼비전의 경험, 그리고 학교 상담 전문가로성장하기 위한 요인들로 정리되었다. 즉, 학교 상담자는 다양한 업무와 역할, 위기 사례의 증가로 인한 어려움, 학교 관리자에 따른동료 수퍼비전 인식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반면, 동료 수퍼비전에 참여하며 현실적 도움과 정서적 위안,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심층적으로논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 상담자들은 다양하고 체계적이지 않은 업무환경에서 상담자의 삶을 살아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학교상담자로써 경험하는 어려움들을 동료 수퍼비전을 통하여 나름의 방법을 찾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상담자들은 동료 수퍼비전을 통하여 부족한 영역을 채울 수 있는 현실적 도움과 정서적 위안을 얻고 있으나, 동시에 한계를 경험하며 심리적 불편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일정 부분은 전문가인 수퍼바이저의 교육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