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열이 있는 3개월 이하의 영아에서 수막염의 예측에 대한 연구

        송향순,장영택,김은옥 대한소아감염학회 2009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6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useful predictors for diagnosing bacterial meningitis and performing CSF studies in febrile infants three months or younger. Methods : Six hundred and fifty two febrile infants with a rectal temperature ≥38.0℃ presented from January 2003 to April 2008 and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The total white blood cell count (WBC), band count, absolute neutrophil count (ANC), quantitative C-reactive protein (CRP) and blood cultures were performed on admission. The clinical variables associated with bacterial meningitis were analyzed. Results : In patients with bacterial meningitis, the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CRP (P=0.036), band count (P=0.037), ANC (P=0.036) and age (P=0.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area under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as 0.969 for CRP, 0.946 for the band count, 0.765 for the ANC and 0.235 for age. A CRP cutoff point of 8 mg/dL was determined to maximize bot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sensitivity 83%, specificity 95%, likelihood ratio 16.6). A CRP concentration of <7 mg/dL "ruled-out" bacterial meningitis, with a likelihood ratio of 0.17, a posttest probability of <0.1%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91%. A CRP concentration greater than 9 mg/dL had a much higher likelihood ratio (20.1) than the band count (16.6) and ANC (2.2). Conclusion : The CRP concentration was a useful laboratory test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acterial meningitis among febrile infants three months of age or younger. A CRP concentration of <7 mg/dL effectively ruled out bacterial meningitis; a value ≥9 mg/dL increased the clinical suspicion of bacterial meningitis and the need for CSF evaluation. 목 적: 3개월 이하의 열이 있는 영아에서 세균성 수막염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2003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전주예수병원에 직장 체온으로 38℃ 이상의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3개월 이하 의 영아 652명을 대상으로, 내원 당시 체온, 말초 혈액에서 총 백혈구수, 대호중구수, 절대호중구수, C-반응 단백, 혈액 배양검사를 하였고, 세균성 수막염과 연관있는 인자를 분석하 였다. 결 과: 세균성 수막염과 관련된 인자로는 C-반응 단백, 대호중구수, 절대호중구수, 연령의 P value가 각각 0.036, 0.037, 0.036, 0.001로 모두 통계학적인 의의가 있었다. C- 반응 단백, 대호중구수, 절대호중구수, 연령의 곡선하면적은 각각 0.969, 0.946, 0.765, 0.235이었으며, C-반응 단백의 민감도, 특이도 및 차단점은 각각 83%, 96%, 8 mg/dL, 대호 중구수는 각각 83%, 95%, 2,500/mm3, 절대호중구수는 각각 83%, 62%, 5,100/mm3이었다. C-반응 단백이 7 mg/dL 미만 에서는 우도가 0.17이고, 사후확률은 0.1%, 음성예측도가 91% 이어서 세균성 수막염을 배제할 수 있었으며, C-반응 단백이 9 mg/dL 이상인 경우 우도는 20.1로, 대호중구수의 16.6, 절대호중구수의 2.18, 연령의 0.61보다 높아서, 혈청 C-반응 단백이 세균성 수막염을 예측하는데 가장 유용한 것 으로 판단되었다. 결 론: 3개월 이하의 영아가 발열이 있는 경우 C-반응 단 백, 대호중구수, 절대호중구수가 높은 경우에는 세균성 수막 염과 관련이 더 많았으며, 특히 혈청 C-반응 단백이 가장 유용 한 인자로, 7 mg/dL 미만인 경우는 세균성 수막염을 배제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9 mg/dL 이상인 경우에는 세균성 수막염 의 강한 예측인자가 되어 뇌척수액 검사를 적극적으로 고려해 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

        급성 췌장염에 동반된 고립성 비정맥 혈전증 1예

        송향순,양누리,진소희,최경단,장영택,Song, Hyang-Soon,Yang, Noo-Ri,Jin, So-Hee,Choi, Kyeong-Dan,Jang, Young-Taek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2

        저자들은 구토와 심와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12세 여아에서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급성 췌장염과 함께 동반된 비정맥 혈전증을 진단하였고, 정맥류출혈이나 비장 비대 등의 증상을 보이지 않아 보존적치료 후 추적 관찰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ancreatic disease is the most frequent cause of isolated splenic vein thrombosis. Splenic vein thrombosis causes a localized form of portal hypertension known as sinistral or left-sided portal hypertension. Splenic vein thrombosis may be complicated by the formation of gastric varices, with the potential of massiv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Whereas splenectomy is considered to be the treatment of choice for symptomatic splenic vein thrombosis, the role of splenectomy in the patient with asymptomatic splenic vein thrombosis remains controversial. We report a rare case of acute pancreatitis complicated by isolated asymptomatic splenic vein thrombosis. Recognition of this disease entity is important because the risk of secondary variceal bleeding, while uncommon, can be life-threate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