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에티오피아의 과학기술 및 혁신정책

        송치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Issues & Policy Vol.- No.-

        □ 주요내용에티오피아는 전체인구의 83%가 농업에 종사하며 수출의 90% 역시 농업 생산물인 국가이다. 경제정책기조 역시 ′농업발전 주도형 산업화(ADLI)′로서 지난 10년 동안 농업의 발전을 기반으로 경제성장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제조업을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려는 노력은 아직 부족하며, 이는 대규모의 기술이전 및 확산과 연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 에티오피아는 2025년까지 기술수출국이 된다는 비전 아래, 우수한 과학 기술기반의 조성과 기술역량의 구축 그리고 기술적 자립을 미션으로 상정하였다. 과학기술혁신 정책의 주요 목표로 2025년까지 GERD/GDP 비율을 2%까지 확대하고, 연구개발 인력을 10,000명당 18명까지 늘리겠다는 이정표(milestones)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술의 모방, 응용, 창출 및 활용에 있어서 경제사회적으로 지대한 효과를 주는 주요 이슈들을 선정하여, 정책적으로 다루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에티오피아의 과학기술혁신 정책체계 및 주요이슈에 대해 살펴보고, 경제성장 및 국가발전의 기반이 될 에티오피아 과학기술의 미래비전을 조망하였다.

      • KCI등재

        제조기업의 연구개발활동과 소비자지향성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송치웅,오완근 한국기술혁신학회 2010 기술혁신학회지 Vol.13 No.1

        This study analyzes determinants of innovation in Korea manufacturing industries from 2005 to 2007. In order to do this, we use raw data from ‘Korea Innovation Survey 2008: Manufacturing Sector’ conducted by STEPI, and also collect financial statement data from Korea Investors Service. As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empirical test, we utilize Probit model. Empirical results show that firm size and market concentration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rm's innovation activities. These support the ‘Schumpeterian hypothesis’. This would be the most distinguished feature of this study compared to previous literatures. Our study also shows that R&D personnel ratio, R&D intensity, and advertising intensity have positive effects on firms' innovation. Thus, we can say that R&D activities and consumer orientation are the main determinants of innovation. However, profit ratio and growth rate do no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irms' innovation.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지난 2008년도에 조사한 ‘기술혁신조사(KIS) 2008’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 제조업 기업들이 이루어낸 혁신의 결정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Probit 모형을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 기업규모와 시장집중도가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을 유인하는 주요 결정요인이라는 슘페터 가설을 지지하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또한 기업이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 역시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시장에 있어서 소비자지향성의 척도라 할 수 있는 광고 선전비 집약도가 혁신이 일어날 확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창조산업의 기술 및 수요기반 미래전망

        송치웅,김왕동,박미영,김은희,최효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조사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창의성은 경제적 부가가치, 고용, 기술변화, 경영혁신, 도시발전 및 국가경쟁력을 유인하는 성장 동력으로 제시되고 있다(Landry,2000;DCMS,2001, 2002, 2004). 특히 미국의 도시경제학자 R. Florida는 2002년 자신의 저서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에서 21세기의 세계 경제는 지식기반경제에서 창조경제(Creative Economy)로 급속히 이행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서 도시, 지역 및 국가의 경쟁력은 혁신을 창출하고 창의적인 인재를 유인하며 개방적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역량에 의존한다고 주장하였으며 특히 창의적 계층(creative class)에 종사하는 창의적 인재들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이와 같은 창의성 및 창조경제의 논의와 함께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에 관한 논의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영국의 DCMS(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s)는 1998년 가장 먼저 창조산업의 개념을 제시하는 한편, 13개 부문을 창조산업으로 규정하였다. 이와 같은 영국정부의 제안에 기반을 두고 홍콩 및 싱가포르 역시 창조산업에 관한 독자적 분류를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Howkins는 2001년 미국을 중심으로 14개의 창조산업 분류를 제안하였으며 영국, 홍콩, 싱가포르 및 Howkins의 분류는 공통적으로 문화 콘텐츠 산업을 포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문화 콘텐츠 산업을 창조산업과 혼용하여 활용하기도 하며 또한 최근에는 미국을 중심으로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산업을 핵심적인 창조산업으로 제시하고 있다.본 연구는 위의 창조산업의 이론을 기반으로 창조산업의 기술적 기회 및 수요 특성을 바탕으로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미래예측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으며 창조산업의 제 분야 중 엔터테인먼트 분야인 방송 및 드라마, 영화, 음악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구조의 특성, 혁신 시스템 및 가치사슬 현황분석, 생산-유통-소비 등 생태계 분석, 기술적 기회 및 수요특성을 분석하고자한다. 엔터테인먼트 분야인 방송 및 드라마, 영화, 음악 산업의 기술적 기회 및 수요의 미래변화 예측을 위해 기술적 변화 예측, 수요의 변화 예측, 혁신 시스템 및 생태계 변화 예측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시장구조의 변화, 혁신 시스템의 변화 등의 분석을 통해 기술 기회 및 수요변화에 따른 창조산업 즉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미래를 전망하며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주요 연구내용 최근에는 창조산업의 분야 중에서 공연, 예술 및 대중매체(mass media)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주요 관심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은 북미산업분류(NAICS)에 따라 ‘정보산업(출판, 영화, 음악, 방송)’과 ‘예술,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 산업’ 영역의 합으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이해하고 있으며, 영국은 창조산업 분류에서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하나의 산업으로 명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문화산업의 맥락에서 이를 이해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이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주요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이 분야가 이른바 ‘정보통신(ICT)` 기술의 발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대중매체(mass media)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이 바로 이 대중매체 자체를 급속하게 발전시키고 변화시켜 왔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주요 엔터테인먼트 분야인 영화, 음악, 방송 및 공연예술이 각각 독립된 매체(media) 또는 플랫폼(platform)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면서 매체(media) 및 플랫폼의 다원화와 통합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즉, 컴퓨터 및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일차적으로 다원화 및 통합이 진행되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서비스가 통합된 매체 및 플랫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이와 같은 기술 진보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가치사슬 자체를 상당부분 변화시키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두었던 방송, 영화 및 음악과 같은 주요 엔터테인먼트 산업 역시 가치사슬의 변화가 현저하게 목격되고 있다. 먼저 새로운 제작방식이 등장하게 된다. 방송 드라마 및 영화의 경우 기존의 필름(film)기반 제작 대신 디지털 파일(digital file) 기반 제작이 보편화되었고, 음악의 경우에는 음반 제작에서 역시 디지털 파일기반의 음원제작으로 제작방식이 변화화게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digital) 기술의 보편화를 통해 파일(file) 기반 콘텐츠가 하나의 통합된 매체/플랫폼(컴퓨터/휴대폰)에서 통합적으로 유통 및 소비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방송 드라마, 영화 및 음악의 가치사슬 단계에서 기획, 제작 및 유통 과정의 분화 및 통합이 발생하게 된다. 방송의 경우에는 지상파 방송사뿐만 아니라 외주제작사 및 방송채널 사용사업자 등이 기획 및 제작에 참여하게 되었고 지상파 채널, 지상파 DMB, 위성방송, 위성 DMB 및 유선방송 등으로 유통채널이 다원화되었다. 기획 및 제작의 다원화와 분권화가 진행된 방송과는 달리 영화 및 음악의 경우에는 기획, 제작 및 유통의 통합과 집중화 현상이 두드러졌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영화의 경우 CJ E&M과 롯데 시네마로 대표되는 대기업들이 기획, 제작 및 유통의 전 단계에 참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기업들은 영화 사업이라는 하나의 비즈니스 모델에 기반을 두고 일종의 사업다각화(제작, 배급 및 상영)를 추진해 왔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음악 분야 역시 영화와 유사한 변화과정을 경험해 오고 있다. SM, JYP 및 YG 엔터테인먼트로 대표되는 3대 기획사가 기획, 제작 및 유통의 전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역시 음악 사업이라는 하나의 비즈니스 모델에 기반을 두고 사업다각화를 추진해 오고 있다. 다만, 영화 부문과는 달리 대기업의 계열사가 아니라 전문성을 갖춘 중핵기업(core company)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들은 가치사슬 전 과정에 대한 참여뿐 아니라 생산주체(가수, 작곡가, 작사가, 편곡자 및 녹음기사 등)들을 직접 보유하거나 육성하고 있다. 이는 다른 엔터테인먼트 산업 및 창조산업 분야와 차별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또한 방송, 영화 및 음악의 세 분야는 소비자 선호로 대표되는 시장수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소비자의 선호가 상품(드라마, 영화 및 음원)의 성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방송 드라마의 경우 시청자의 선호에 따라 방송분량의 조정되고 대본 자체가 수정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영화에서도 시사적인 내용을 담거나 당대의 유머코드를 포함시키고자 노력하게 된다. 음원제작의 경우에도 사전에 소비자의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해 데모(demo)곡을 시현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기술과 수요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해 왔고 그 과정에서 이른바 끊임없는 ‘혁신(innovation)’이 산업 내에서 진행되어 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서비스혁신’ 이론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서비스 혁신이론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특성을 동시에 보유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혁신 활동을 이해할 수 있는 분석 틀을 제공해 준다. 제조업에서의 상품혁신이 유형의 상품으로 나타나게 된다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의 상품혁신은 무형의 아이디어에서부터 유형의 콘텐츠까지를 포괄한다고 보아야 한다. 즉, 창의적 기획(시놉시스/악상에서부터 대본/시나리오/원곡) 단계부터 유형의 콘텐츠(해를 품은 달, 광해, 강남 스타일) 창출의 제작단계까지 상품혁신 활동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창의적인 기획을 유형의 콘텐츠로 만들어내는 제작방식이 획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면 이는 공정혁신에 속하게 된다. 그리고 마케팅 혁신은 소비자의 선호를 파악하고 유인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며 조직혁신은 기획, 제작 및 유통의 수행주체(기업) 구조변화를 의미한다.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제작 및 유통방식의 획기적 변화를 초래했다. 앞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파일 형

      • KCI등재후보

        Osteomyelitis on the Mandibular Malunion and Nonunion Site: A Case Report

        송치웅,윤현중,이상화 대한치의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Vol.6 No.2

        The proper management of mandibular fractures involves reduction, rigid fixation, and immobilization to allowbone healing. Nonunion or malunion at the fractured sites is a well-known complication of fracture when thetreatments are inappropriate. We present a case of left mandibular fracture due to shrapnel during the Korean War. The patients did not receive appropriate treatment at that time, so nonunion and malunion developed. Sixty yearsafter the accident, mandibular osteomyelitis on the fracture site developed due to dental-origin inflammation. Thetreatment was based on relatively conservative care, such as saucerization and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Therewas no complication during the short-term follow-up. We present the case with literature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