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합류식 및 분류식 하수관거에서의 유량 및 수질변동특성

        송창수,안승훈 호남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 2011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7 No.-

        In most cities, sanitary waste and stormwater are combined in the same sewer system. A significant amount of pollution entering the sewage treatment plant is the-refore from street wash-off during rainstorms. Wastewater flowrates can vary depending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water supply, structure and economic, social,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The flowrates in combined sewer system don't change for low rain intensity, but for high rain intensity increase sharply in rain period. The lower flowrate in mixing commercial and residental area is estimated 1,900㎥/day in combined sewer systems. The average flowrate on morning time in combined sewer systems 6,352㎥/day. The average flowrate in rainfall in combined sewer systems 10,237㎥/day and doubled the flowrate in dry period. The infiltration ratio of interval of two manhole using real measurements is 2.47㎥/m/day. To transform the in-sewer systems, we assumed that the unidentified water is 2 mg/L as BOD. The average BOD loading 114.4 kgBOD/day, the concentration of the real wastewater 56.4 mgBOD/L excluding the unidentified water in influent manhole. The concentration of real wastewater gone down 500m is 45.7 mgBOD/L. We deduce the in-sewer transformation from reducing the loading. The flowrate in separate systems is typically 2-mountain shape, the base-line flowrate is 92.4㎥/day. The BOD loading on rain days in separate sewer system is lower than that of dry days using missing connection between rain pipe and wastewater pipe.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하수와 우수를 함께 처리하는 합류식 하수관로가 부설되어 있다. 합류식 하수관에서 하수 차집관거의 용량을 초과할 경우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배출되는 월류수가 발생하며, 이는 도시하천의 수질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합류식 관거에 있어서 낮은 강우강도에서는 강우의 유출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하수관거의 유량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나, 높은 강우강도에서는 강우의 유입으로 높은 유량을 보인다. 생활 및 상업이 혼합되어 있는 지역의 합류식지역에서 최저 유량은 1,900㎥/일로 산정되었으며, 강우기의 평균 유량은 10,237㎥/일로서 건기시의 2배로 나타났다. 500m 간격을 가진 맨홀에서의 기저유량을 중심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측정한 불명수량 2.47㎥/m/day로 나타났다. 하수관거를 해석하기 위하여 불명수의 BOD농도를 2mg/L로 가정하였고, 평균 하수관거의 부하량은 114.4kgBOD/day이었으며, 불명수를 제외한 하수관거의 맨홀로 유입된 하수의 농도는 56.4mgBOD/L로 나타났다. 500m 후단에 설치된 맨홀에서 부하량 해석을 실시한 결과는 45.7mgBOD/L로 나타났으며, 이는 하수관거는 생물막의 형태로 작용함으로서 오염물질이 분해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분류식 지역에서의 유량은 전형적인 쌍봉형을 보여주며, 심야시간대의 기저유량은 92.4㎥/일이며, 강우시와 비강우시의 오염물질 농도를 시간대별로 비교하면, 강우시에 낮은 농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부분적인 오접으로 인하여 농도가 낮아짐을 보여준다.

      • 광주광역시 연차별 관거이송부하비의 변동

        송창수 호남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 2008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4 No.-

        The exclusion ratio of gwangju-1-WWTP is 0.36%, 1.11%, 1.55% and 0.83% from 2002 to 2006, but wastewater treatment plant is properly performed by control of effluent quantity. The leaking ratio of pipe is 0.00%. The overflow ratio is 6.80%, 9.80%, 7.38% and 7.49% from 2002 to 2006. The exclusion ratio of gwangju-2-WWTP is 0.15%, 0.16%, 4.07% and 2.25% from 2002 to 2006, but wastewater treatment plant is properly performed by control of effluent quantity. The leaking ratio of pipe is 0.00%. The overflow ratio is 7.62%, 8.09%, 6.25% and 7.87% from 2002 to 2006. 광주제1하수종말처리장 처리구역에 대한 관거배제부하비는 2002년에 0.36%, 2004년 에 1.11%, 2005년 에 1.55%, 2006년 에 0.83%로 계산되었으나, 하수종말처리장의 관리시설에서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유량에 대해서는 방류유량관리를 통하여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적정하게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거누수부하비는 0.0%이다. 관거월류부하비는 제 1하수종말처리장 처리구역에서 2002년 0.57, 2004년 0.70, 2005년 0.65, 2006년 0.69 이며, 유효강우일수를 고려한 관거월류부하비는 2002년 에 6.80%, 2004년에 9.80%, 2005년에 7.38%, 2006년에 7.49%이다. 시설용량을 기준으로 광주제 2하수종말처리구역의 관거배제비는 2002년 에 0.15%, 2004년 에 0.16%, 2005년에 4.07%, 2006년에 2.25%이다. 그렇지만, 하수종말처리장에서는 시설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유량에 대해서도 적정하게 처리한 후 방류구를 통하여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를 고려하여 관거배제부하비를 재산정하면 0 .42%을 적용할 수 있다. 광주제 2하수종말처리장 처리구역내 관거누수부하비는 2002년 0.153% 이나 200~2006년 모두 0.0%로 나타났다. 광주제 2하수종말처리장의 관거월류부하비는 2002년 에 0.66, 2004년 0.63, 2005년 0.55, 2006년 0.69로서 여타지 역의 결과보 다 낮은 값을 보여준다. 제 2하수종말처리장 처리구역내 유효강우일수를 고려한 관거월류부하비는 2002년에 7.62%, 2004년에 8.09% ,2005년에 6.25%, 2006년에 7.87%이다.

      • 광주 제1 하수종말처리장의 유입수 특성 분석

        송창수 호남대학교 2008 학술논문집 Vol.29 No.2

        Every community produces both liquid and solid wastes and air emissions. The liquid waste - wastewater- is essentially the water supply of the community after it has been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When untreated wastewater is allowed to go river, the decomposition of the wastewater will lead to shortage of oxygen, production of malodorous gases and eutrophication which can stimulate the growth of aquatic plants. As a result, some streams have lost much of their ability to supply water to human. Installing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to treat wastewater from point sources and repairing and maintaining sewer pipelines could be one of the solutions to protect the streams from contamination. Currently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are developed for strictly new standards, but the research of pipeline systems is short. The average BOD in influ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31.6 mg/L in summer and 82.1 mg/L in fall. The average total nitrogen in influ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6.0 mg/L in summer and 25.0 mg/L in fall. The average total phosphorous in influ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0.9 mg/L in summer and 1.9 mg/L in fall. In Summer, the unidentified water was affected on rising ground water due to rainfall, the loading is lowered.

      • KCI등재후보

        하수처리에서 염분에 따른 SOUR, SNR, SDNR의 영향 연구

        송창수,김형진 대한상하수도학회 2002 상하수도학회지 Vol.16 No.5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alinity on the SOUR (specific oxygen uptake rate), SNR (specific nitrification rate) and SDNR (specific denitrification rate) in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lants. The SOURs were enlarged as the salinity increased up to 10,000mg/L, but the SOURs were declined from 11,000mg as Cl^-/L. The SNRs at the steady state were exhibited a decreasing trend as the experimental salinity was increased. During the salinity-shocked period, the SNRs substantially decreased regardless of initial salinity concentration. Comparing with the SNRs of the steady state and the shock period, the nitrifying bacteria was very sensitive to an abrupt elevation in salinity of feed solution. The SDNRs in low organic load were uniformly maintained in wastewater containing salt concentration of 0 to 5,000mg/L NaCl, but were sustained to 10,000mg/L in high organic load. The SDNRs of shock-loading with salinity are less affected.

      • 하수관로의 바닷물 유입에 따른 SOUR의 변동

        송창수 호남대학교 2001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Vol.22 No.2

        Seawater infiltration is the cause of high salinity in the sewage on south coast. The high salt content in the wastewater can pose certain problems in treatment systems particularly on biological units. The SOURs at the steady state are directly increased with the salinity concentration till 11,000mg/L. Above 11,000 the SOURs abruptly are diminished. The cause of increasing the SOURs can be postulated the energetic osmotic pressure and retardation of intrinsic sensitivity of specific enzyme in high salt.

      • 합류식 하수관로에 있어서 강우의 영향에 관한 연구

        송창수 호남대학교 2002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Vol.23 No.2

        Flow in the combined system is composed mainly of rainfall runoff and wastewater. Flow enters the combined system continuously during both dry and wet weather from th contributing wastewater sources. During a rainfall event, the amount of storm flow is normally much larger than the dry - weather wastewater water flow, and the observed flows during wet weather can mask completely the dry weather flow patterns. The BOD in the stormwater i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he wastewater component. Unlike BOD. SS concentrations highly rise during the storm, and remains unchanged after the storm, indicating that SS concentrations from stormwater runoff and wastewater are similar. The rise in the SS concentration during the peak flow may be due to a phenomenon common to many combined sewer systems known as the "first flush".

      • KCI등재

        네덜란드의 토양환경정책

        송창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7 지하수토양환경 Vol.2 No.2

        The basic aim of the current policy is to achieve and preserve a sustainable soil quality. This means that soil must retain all its functions for years to come. The Soil Protection Act lays down a statutory "duty of care", which means that soil contamination occurring during certain activities must be cleaned up by the person who cause it. The Soil Cleanup (Interim Measures) Act(1983) was repeated on 15 May 1994, and its provisions, together with some ammendments and additions, were assimilated into the Soil Protection Act. These cleanup regulations are intended to deal with "old cases" of soil contamination, i.e. cases that came to light before 1 January 1987, when the Soil Protection Act entered into force. The urgency for cleanups is dependent upon the actual exposure. In most cases actual exposure win be less than potential exposure (underlying C-values) because only a few exposure routes are present. Cleanup of sites where exposure exceeds maximum tolerable risk levels are considered urgent, and the actual risk level is used to prioritize the cleanup.oritize the cleanup. 본 고에서는 네덜란드에서 시행하고 있는 토양환경정책에 대하여 정리하여 보았다. 네덜란드 토양환경관리목표는 토양의 다기능성의 유지 및 회복에 두고 있다. 네덜란드의 토양법체계는 토양보호법을 중심으로 환경관리법, 건축법 등을 통해 토양환경의 보전을 하고 있으며, 공장지대나 주유소는 토양보호법의 테두리 안에서 별도의 명령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 아울러 정화의 책임에 대하여 오염원인자부담원칙 및 정부부담의 원칙을 취하고 있는데, 1987년 이전에 대해서는 책임을 묻지 않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정화의 책임순서로는 오염원인자, 소유자, 권리행사자 순으로 되어 있으며, 정화는 오염자 스스로 정화를 하도록 유도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정부가 돈을 투자하여 정화를 행하고 있다. 아울러 건축물을 짓고자 할 경우에는 토양에 관한 조사를 하도록 하고 있으며, 토지를 사고 파는 과정에서는 반드시 토양의 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행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